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10.022

Proposal of Collaborative Sharing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n, Ji-won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UX 디자인학과)
Kang, Jeannie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디자인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due to the temporary closure and isolation of faciliti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the pain suffered by consumers is getting worse, and there is no clear solution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inpatient ser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ervice system that can prevent institu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or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ystematic inpatient treatment guides, post-discharge management, and correc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After deriving the needs and improvement factors of consumers through domestic service case analysis, we conducted co-creation with end-users using the double diamond methodology. A possible service concept was derived. Accordingly, a collaborative sharing app service was proposed, and the usefulness of the service was confirmed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an assistance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ward based on user experience.
Keywords
User Experience Design; User Interface Design; Developmental Disability; Inpatient Treatment; Collaboration Sharing; Double Diamond Process; Service Design; Co-cre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소형, 구유리,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청년 1인가구 생활개선 온/ 오프라인 'Me-Doo' 서비스 제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6권, 제1호, pp.293-308, 2020.
2 https://blog.naver.com/lns_slp/220063582257
3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4198686Y
4 기우라미키오, 디자인 교과서 리서치, p.101, 2021.
5 우영종, "발달 장애의 개념과 소아과 의사의 역할," 대한소아과학회, 제49권, 제10호, pp.1031-1036, 2006.
6 http://blog.naver.com/mygomi99/222296722091
7 울산광역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팬데믹(COVID-19) 시대 발달장애인의 생활 실태와 서비스 욕구 변화 연구 보고서, 2021.
8 서유경, 송하경, 김소연, 구유리, "지체장애인과 그 가족의 연대감 증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 인 개발 연구-2030년 비전 QoLT 기술융합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7권, 제4호, pp.217-234, 2021.
9 김혜경, 이현진, 최민영,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 시스템의 통합 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제19권, 제3호, pp.136-137, 2005.10
10 www.mohw.go.kr/react/jb
11 https://www.designcouncil.org.uk/
12 http://blog.naver.com/mygomi99/222296722091
13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기술의 시대,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p.13, 2016.
14 행정안전부, 사례로 배우는 국민정책디자인 매뉴얼, p.121, 2020.
15 홍수희, 구유리,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독립보행을 위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 연구-대중교통 환승 경험 시 나리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7권, 제2호, pp.503-520, 2020.
16 박서라, 유은이, 고은지, "발달장애 아동 보호자를 위한 개인 건강 기록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 설계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3-19, 2020(2).
17 박수진,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한국디자인학회지, 제32권, 제4호, pp.85-95, 2019.
18 이남식, 임해영, 백승희,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제68권, 제1호, pp.347-385, 2021.
19 안현서, 구유리,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본 공공 서비스.정책개발 시 수요자와 효과적인 Co-Creation 을 위한 Co-Design Tool Kit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6권, 제1호, pp.293-308, 2020.
20 이현진, "VR-Tangible Interaction을 이용한 발달 장애 아동의 치료 시스템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p.71, 2007.
21 http://blog.naver.com/1bestmcgy/222268378591
22 https://deep-wide-studio.tistory.com/13
23 행정안전부, 사례로 배우는 국민정책디자인 매뉴얼, p.8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