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시간조사

Search Result 6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생활시간조사의 탐색과 분석

  • Choe, Jong-Hu;So, Seon-Ha;No, Wo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7-131
    • /
    • 2005
  •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는 국민들이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이다. 이를 통하여 인구 속성에 따른 개인유지, 주업, 가정관리, 레저시간 등에 관한 시간활용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량 분석의 관점에서 생활시간조사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시도한다.

  • PDF

생활시간소비형태에 따른 피로도에 대한 연관성 분석

  • Choe, Jong-Hu;Lee, Dong-Hui;So, Se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6.12a
    • /
    • pp.41-47
    • /
    • 2006
  • 통계청은 1999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를 실시한 바 있다. 이 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24시간을 어떠한 이용 행태로 시간 사용을 하고 있는 지를 조사함으로써 오늘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시간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특히 생활시간조사는 각 개인의 시간별 활동내용 뿐 아니라 개인의 여러 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을 함께 조사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개인의 생활시간소비 행태는 성별 및 사회적 역할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특히 개인의 피로도의 정도와 생활시간 소비 형태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로지스틱 회귀, 대응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1999 생활시간조사의 군집분석

  • 최종후;안민영;김유진;김수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1.06a
    • /
    • pp.83-92
    • /
    • 2001
  • 통계청(2000)은 1999년 9월 2일부터 9월 14일까지 13일간에 걸쳐 전국 약 17,000만 가구, 10세 이상의 가구원 42,973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9년 생활시간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통계청(2000)에 의하면 향후 5년 주기로 동 조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이 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24시간을 어떤 행태로 보내고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오늘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시간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중략)

  • PDF

Using Time Use Data for Weighting Internet Survey Results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한 가중치 부여방법: 인터넷 조사에 대한 적용 가능성 검토)

  • Cho, Sung-Kyum;Park, Ah-Hyun;Huh, Myung-Hoe
    • Survey Research
    • /
    • v.12 no.2
    • /
    • pp.145-157
    • /
    • 2011
  • There are limitations as to how internet surveys can be used. Applying various weighting procedures has not always resulted in error reduction. A good reference survey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the weighting metho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 reference survey for non-demographic weighting variables, which restricts the use of internet surveys. We hypothesized that time use variables could be employed as weighting variables. The time use survey is conducted regularly by KOSTAT and includes various time-related variables. We tested our hypothesis using the 2009 survey results, which had been gathered by KOSTAT in 2009. When we applied weighting variables which were based on the 2004 time use survey results to the online version of the 2009 KOSTAT social survey, the gap between the online and off-line versions was slightly reduced. This result shows that we could use time use survey results to develop a better weighting scheme.

  • PDF

생활시간조사에 기반한 노인층 생활유형분석

  • Choe, Jong-Hu;So, Seon-Ha;No, Wo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5.12a
    • /
    • pp.55-70
    • /
    • 2005
  •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실버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2005년 11월 1일부터 보름간 실시되는 인구주택총조사에서도 고령화와 관련된 항목이 추가 조사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국가차원에서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4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 자료를 바탕으로 1999년 조사결과와 비교 검토해 보고 노인들이 주어진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생활유형을 군집화하고 군집 간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Home Manager's Time Use & Management Strategies of ChungJoo City (청주시 주부의 생활시간 사용과 관리전략)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74-87
    • /
    • 1995
  • 본 연구는 청주시 주부의 시간사용과 관리전략을 조사하여 가정생활 개선과 질적향상을 도모하기 위한것이다. 94년 10월 중순에 예비조사를 거쳐 동안 11월~12월에 걸쳐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재미비를 제외한 38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PC progra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리적 생활시간 사용은 휴일이 평일보다 2시간 더 많고 가사적 생활시간은 휴일과 평일이 거의 비슷하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생활시간 사용은 휴일이 평일보다 2,2시간 더 많았던 반면, 수입노동시간은 평일이 휴일보다 5배나 많았다. 마감시간, 가사분담, 편의품 및 서어비스이용 의 관리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긴장해소, 시간계획, 가정기기이용의 관리전략을 적게사용한다. 2) 배경변인에 따라 생활시간 사용 및 관리전략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3) 역할갈등인식이 낮을수록, 결혼지속년수가 짧을수록, 주부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소득이 많을수록, 시간관리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y the Daily Time use Method-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 Kim, Mi-Ok;Kim, Go-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2 no.1
    • /
    • pp.317-3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aily liv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daily time use method that monitors and records 24 hours of the subjec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ily lives of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verbal interaction patterns within each facility.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cused on 'frequency of activities' and 'lives', with the method of time budget. Based on the activity category table of the 2004 nationwide Time Use Survey, the analysis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in terms of daily time use. The interaction pattern analysis method on grounds of the Flanders Category system(1963) indicates the level, the type, and the full details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the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This study is all the more significant in that it monitored the daily lives of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for the first time to allow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daily lives of the disabled; analyzed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disabled an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pplied time budget study method, a frequently used one in adjacent fields, and therefore should serve as a valuable source material for future studies.

  • PDF

Time-Balanced Quota Sampling for Telephone Survey (전화조사를 위한 시간균형할당표본추출)

  • Huh, Myung-Hoe;Hwang, Jin-Mo
    • Survey Research
    • /
    • v.7 no.2
    • /
    • pp.39-52
    • /
    • 2006
  • Most of Korean survey institutions adopt quota sampling for telephone surveys based on region, gender and age-band. In weekdays, it is well blown that there exist substantial differences in day time in-house rate by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attributes. So, quota sampling may induce systematic respondent selection bias.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time-balanced quota sampling" in which interviewer's call time-band is added as an quota variable. Furthermore, we propose "time-balanced quasi-quota sampling" which is derived by partially relaxing evening time quotas in time-balanced quota sampling. We compare the conventional and the newly proposed quota sampling schemes by drawing Monte Carlo samples from the hypothetical population for which the Korea 2004 time use survey data is assumed.

  • PDF

The Family Life Job and leisure Satisfaction of Employed Married Women (기혼취업 여성의 가정, 직업, 여가생활만족과 영향요인)

  • 한경미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47-5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성의 가정과 직업 여가생활만족의 경향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 있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취업여성의 생활만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 고자 하였다. 1) 기혼 취업여성의 생활만족은 중간수준이고 가정생활만족도가 직업생활만족 도 보다 약간 더 높은 수준이며 여가 생활만족도는 가장 낮다. 세부적으로 물적 객관적 조 건보다는 인적측면에 보다 만족하고 있다 2) 전체생활만족과 가정과 직업, 여가 생활만족은 가정환경변수에서는 남편의 가사조력, 부인 취업에 대한 남편의지지, 취업동기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시간관련 변수에서는 시간갈등, 근무시간의 융통성 수면시간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다 살제할애하는 시간양의 많고 적음보다는 지각하는 시간갈등과 근무시간의 융통성 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3) 영역별 만족과 세부문항에 대한 만족간에는 모 두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 전체 생활만족은 직업생활보다는 가정생활만족도 약간 더 높은 강 한관련을 가지고 여가생활 만조과는 중간정도의 관련을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