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영향

Search Result 3,98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Eco-Toxicity of Silicone-Based Antifoaming Agents Discharging into Marine Environments (해양으로 배출되는 실리콘계 소포제의 생태독성 연구)

  • Kim, Tae Won;Kim, Young Ryun;Park, MiOk;Jeon, MiHae;Son, Min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81-88
    • /
    • 2019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main components of antifoaming agents on the marine benthic ecosystem when silicone-based antifoaming agents are discharged into marine environments, eco-toxicity testing was performed on silicone and alcohol-based antifoaming agent by using benthic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and luminescent bacteria (Vibrio fischeri). The toxic effects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as a main component of silicone-based antifoaming agents on aquatic organisms were also researched. In the results of the eco-toxicity test, luminescent bacteria showed a maximum of 9 times more toxic effects than benthic amphipod for alcohol-based antifoaming agents, and silicone-based antifoaming agents showed a maximum of 400 times more toxic effects than alcohol-based. The $LC_{50}$ and $EC_{50}$ values of PDMS ranged from 10 to $44,500{\mu}g/L$ in phytoplankton, invertebrate, and fish. In the results of applying PBT (P: persistency, B: bioaccumulation, T: toxicity) characteristics as an index show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PDMS, persistency (P) and bioaccumulation (B) were confirmed. Thus, when PDMS is discharged to marine environments, it could accumulate in the upper trophic level through bioaccumulation and the food chain, which c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benthic organism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objective and scientific risk assessment, considering the major components of antifoaming agents whe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arious discharged antifoaming agents in marine ecosystem.

Effect Assessment and Derivation of Ecological Effect Guideline on CO2-Induced Acidification for Marine Organisms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해수 산성화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평가 및 생태영향기준 도출)

  • Gim, Byeong-Mo;Choi, Tae Seob;Lee, Jung-Suk;Park, Young-Gyu;Kang, Seong-Gil;Jeon, Ei-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7 no.2
    • /
    • pp.153-165
    • /
    • 2014
  •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y is recognizing one of method responding the climate change with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atmosphere. In Korea, due to its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b-seabed geological $CO_2$ storage is regarded as more practical approach than on-land storage under the goal of its deployment. However, concerns on potential $CO_2$ leakage and relevant acidification issue in the marine environment can be an important subject in recently increasing sub-seabed geological $CO_2$ storage sites. In the present study effect data from literatures were collected in order to conduct an effect assessment of elevated $CO_2$ levels in marine environments using a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 (SSD) various marine organisms such as microbe, crustacean, echinoderm, mollusc and fish. Results from literatures using domestic species were compared to those from foreign literature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effect levels of each biological group and end-point. Ecological effect guidelines through estimating level of pH variation (${\delta}pH$) to adversely affect 5 and 50% of tested organisms, HC5 and HC50, were determined using SSD of marine organisms exposed to the $CO_2$-induced acidification. Estimated HC5 as ${\delta}pH$ of 0.137 can be used as only interim quality guideline possibly with adequate assessment factor. In the future, the current interim guideline as HC5 of ${\delta}pH$ in this study will look forward to compensate with supplement of ecotoxicological data reflecting various trophic levels and indigenous species.

Understanding ICT Platform Business by Ecosystem Research Review (생태계 연구 리뷰를 통한 정보기술 플랫폼 비즈니스의 이해)

  • Hyunjeong Ka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2 no.1
    • /
    • pp.183-198
    • /
    • 2020
  • The development of I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f IT-driven ecosystems. Platform business is the representative business model in the era of innovative IT-based businesses. However, it lacks the review research that entails ecosystem perspectives from traditional disciplines in which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had been applied. Further most of platform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ecosystems as a whole rather than exploration on complementors in the ecosystem who are selected and survive and, in turn, contributed to maintain the ecosystem to compete with other ecosystems. The current study listed highly cited papers from economics, sociological ecology, socio-technical ecology, organization studies, and marketing research which have cumulated research on ecosystems. And the three most critical feature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complementors, which are competition, relationality, and adaptability. Present study showed how the features were explained by each perspective from the different disciplines.

Categorization of Citiesin Gyeonggi-do Us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 Kim, Ilkwon;Kim, Sunghoon;Lee, Jooeun;Kwon, Hyuks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3
    • /
    • pp.201-214
    • /
    • 2019
  •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gional ecological resources. Multipl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regional ecosystems are represented as ecosystem service bundles, which define the co-occurrent ecosystem services in a specific region. Bundl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services and categorize sub-reg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ecosystem service provision. We assessed eleven ecosystem services using modeling approaches and statistical data and produced bundles of cities in Gyeonggi-do.We also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o categorize these c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servi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ities in Gyeonggi-do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types of provision,regulation, and cultural services, and were designated as urbanized, urban-forest, agriculture, or forest cities. These groups were influenced by land use patterns reflecting regional social-environmental features. Th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regional ecosystem services and facilitate decision-making in regional ecosystem service management.

Effect of Thought s of Suicide of Elderly that Care for a Chronic Invalid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 Choi, Sin-Ae;Ha,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265-279
    • /
    • 2012
  •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ecosystem factors which influence suicide thoughts of elderly that care for a chronic invalid. Ecosystem factors are consist of personal system, familial system and social system, tried to analysis ecosystem factors with characteristics of social population that influence suicide thoughts. For the study, I collected 274 samples from people of 55 year-old care a chronic invalid adults who reside of in Gyeonggi-do. I us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regression, t-test, ANOVA with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icide thoughts had a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uty of supporting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Second, familial system as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familial support had a strong influence on suicide thoughts by long-term care and deficient familial support. Third, the result of stud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apply as independent variable then every factors of social support are negative influence but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are not influence.

Influence of Agricultural Water Return flow on Aquatic Ecosystem in Downstream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 Lim, Eunjin;Kim, Jonggun;Shin, Yongchul;An, Hyunuk;Nam, Won Ho;Lim, Kyoung Jae;Lee, Kwang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6-246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 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abou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iver, downstream of damand establishing a river management plan (댐 직하류 하천조사분석 및 관리방안 수립 연구)

  • Su Yeon Kim;Kyoung Won Park;Young Ho Lee;Yong Kyu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4-514
    • /
    • 2023
  • 댐 건설은 하천의 유황, 유사량을 변화시켜 이·치수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댐 운영에 사용하고 있는 하천 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고 있어 하천 지형 측량자료, 식생 및 수생태를 고려한 하천 관리 계획은 대부분 과거자료이다. 또한 홍수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하도식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홍수 등 물재해에 적극적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최신의 하천 기초조사 자료 기반, '20년 댐 하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한 4개 댐(대청, 합천, 용담,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하상변동, 식생 영향 등을 고려한 댐 직하류 하천관리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신 하천 기초조사 자료 확보를 위해 하천기본계획 등 문헌정보를 수집하고 댐 직하류의 수중부·육상부 측량, 유사량·하상재료 조사, 식생조사, 홍수흔적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확보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상변동 분석 모델 및 물리적 서식처 모의 모델을 통해 이수, 치수, 생태 측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수 분석으로 HEC-RAS의 유사이송 분석을 통해 현재부터 20년 뒤의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치수 분석으로 HEC-RAS 2D 등의 유사이송 분석을 사용하여 한 개의 홍수기 사상 발생 시 하상변동을 분석하였으며, 식생의 유무가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생태 분석으로는 PHABSIM을 사용하여 대상어종에 대한 하상변동 및 식생 유무에 따른 환경생태영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각 대상 댐 직하류에 이수, 치수, 생태 측면의 하천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수 분석을 통해 20년 뒤의 취양수장의 제약수위를 예측, 검토하고 취약구간 모니터링 구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침식과 퇴적이 크게 일어나는 구간을 산정하여 장·단기 하상변동 모니터링 구간을 제시하였다. 치수 분석을 통해 식생이 댐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식생 저감 구간을 선정하는 등 적정 식생 밀도 조절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상변동량이 큰 구간은 하상 안정 유지를 위한 수제 설치를 모델 결과를 통해 검토하였으며 제방 정비가 필요한 구간은 드론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제안하였다. 생태 분석을 통해 대상 어종이 서식하기 가장 적합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 댐 하류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증가방류, 유사환원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Potential Feedback of Agroecosystem to Climate Changes (농업생태계의 기후변화 관련 피드백 기능)

  • Lee Byong-Lyol;Guh Ja-Oc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 no.2
    • /
    • pp.151-159
    • /
    • 1999
  • 지구규모의 대기-지표-생물권(Atmo-Geo-Bio-Sphere)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Interaction)의 피드백(Feedback)의 결과로 야기되는 기상변화는 아직도 이해를 위한 우리의 노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자연현상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궁극적으로는 환경변화에 순응하여 생태계의 안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므로 생물자원의 관리분야라 할 수 있는 농업생산도 결국 기상자원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인간활동인 것이다. 최근 빈발하고 있는 세계적인 이상기상의 출현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과도한 인간활동에서 야기된 대기질의 악화에 기인하는 비가역적이고 비선형적인 현상이라는데 불확실성과 심각성이 매우 크다. 지구상의 모든 농업생태계는 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기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생물권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다. 농업활동의 결과는 항상 크던 작던 간에 대기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다시 상호작용과 피드백에 의해 기상과 기후를 변화시키는 동인이 될 수 있다. 지구환경변화와 농업과의 관계는 지금까지는 주로 "기후변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접근방법을 택하여 왔다. 여기에서는 이와는 달리 "농업활동이 기후변화와 변동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한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농업과 기상과의 상호작용과 피드백효과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견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 중 먼저 기후학적 변화원인으로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농업생태계의 온실기체 방출과 고정의 측면에서 이와 연관성이 높은 농업활동별로 온실가스의 방출/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생물지리화학적 및 생물지리물리학적 해석 방법을 검토 소개하였다. 한편 농업활동에 따른 지표면 특성의 변화가 국지기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를 에너지수지와 수분수지 관점에서 소개하였으며, 끝으로 농업활동의 근거지인 농촌지역의 인문사회학적 변화와 농업활동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이 기후변화/변동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PDF

자연친화적으로 시공된 경천에서 몇 가지 공법적용이 어류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

  • 이승휘;권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59-360
    • /
    • 2003
  • 현재 대부분의 직할 하천은 인공적인 콘크리트와 보도블럭으로 제방이 이루어진 직강하천으로서 생태적으로 하천의 제 기능을 발취하기 어렵다. 이에 하천의 생태 환경을 복원하고자 전라북도 순창군의 경천을 시범구간으로 설정하여 2000년부터 1년간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사업을 시행하였다. 이때 경천의 자연친화적 하천정비 사업시 적용된 몇가지 상이한 토목공법(환경부, 2002)이 어류의 생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3개년(2000∼2002)간 하천수변의 국세조사 매뉴얼-하천판(생물조사편)(건설기술연구원, 2002)에 준하여 수행한 수변조사 및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 생명과학분야의 하천생태와 토목공학분야의 공법적용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하여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 Focused on Policy and Research Base in Major Countries - (생태분야 기후변화 적응의 흐름과 발전방향 - 국내외 정책 및 연구기반을 중심으로 -)

  • Yeo, Inae;Hong, Seungbum;Park, Eun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1
    • /
    • pp.1-22
    • /
    • 2019
  •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policy and research target regarding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n ecosystem sector in Korea. The common ground of exemplary cases of "world leaders" in terms of adaptation policies and researches was that they emphasize nationwide study on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in target of establishing scientific evidence-bases and reducing uncertainty for their national adaptation policies and plans. In light of this trend, Korean government should settle down more successful adaptation structure by leading adaptation system in further national policy-settings to observe UNFCCC and CBD integratedly and effectively, considering the economic value of adaptation in policy, and strengthening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Moreover, risks assessment based on diagnoses and analysis on the risk factors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for climate change in nationwide habitats and species and consolidations with subsequent adaptation strategies could make adaptations in ecosystem sector more effective and success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