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식지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8초

우수한 후보돈의 조건과 입식요령

  • 이장형
    • 월간 양돈
    • /
    • 제23권9호통권265호
    • /
    • pp.146-150
    • /
    • 2001
  • 양돈장의 소득향상을 위하여 능력이 우수한 번식돈을 확보하여 모돈두당 년간 이유두수(PSY)를 높여 품질이 우수한 비육돈의 출하두수와 출하체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고능력 번식모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전적으로 산자수가 많고 비유능력이 우수하여 자돈의 복당 이유시 체중이 무거운 가계능력이 우수한 혈통을 가진 후보돈을 구입해야 하고, 외형적으로는 건강상태가 양호하여 후보돈의 교배시 등지방층이 16mm이상이고, 유두수가 많고 유두의 배열 및 간격이 일정하고 유두상태가 양호하여 부유두와 맹유두가 2개 이하이며, 외부 생식기의 발달이 좋으며, 지제가 튼튼한 후보돈을 선발 구입하여 돈군의 적정한 산차 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생식주기

  • 장영진;장해진;민병화;방인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63-264
    • /
    • 2000
  •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는 자웅이체로서 난생 또는 난태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강, 호수, 연못 및 계곡 등에 널리 서식하며, 식용으로서 기호도가 높은 유용 수산자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생활하수, 농약, 중금속 등에 의한 다슬기 서식지 오염과 행락객의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자원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중략)

  • PDF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발생 및 산란시기에 관한 연구 (Studies of Development and the Spawning Season of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Bivalvia : Sphaeriidae))

  • 박제철;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38
    • /
    • 1993
  • 강원도 춘천군, 명주군, 평창군에서 채집한 산골조개(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발생형태 및 산란시기에 대한 조직학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골조개는 난태생이고 아가미를 보육장으로 이용하여 발생을 하였다. 유패는 한 개체의 성패내에서 최고 19마리까지의 유패를 보유하였으며 방출 즉시 독깁 생활을 하였지만 수관의 구별은 어려웠다. 산란은 일년내내 할 수 있으며 생식소내에서 난소와 정소의 배우자 발생 시기가 다른 것으로 보아 자가수정을 하지 않는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고깔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의 종자 생산 특징 (Characteristics of Seed Production of Viola rossii, V. japonica and V.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 홍행화
    • 환경생물
    • /
    • 제27권3호
    • /
    • pp.266-2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낙엽수림 지역에 혼재하고 있는 제비꽃 속 중 고깔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의 생육기간 중 개화 시기와 생식 방법에 따른 종자의 생산량 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종 모두 수관이 폐쇄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 개화 시기에 미세한 차이를 두고 개방화를 생성하였고, 폐쇄화는 수관이 폐쇄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삭과 한 개당 종자 수는 고깔제비꽃<남산제비꽃<왜제비꽃 순서였고, 종자 무게는 고깔제비꽃>남산제비꽃>왜제비꽃 순서로 종간과 생식 방법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세 종의 종자 생산 특성을 비교해보면 고깔제비꽃이 왜제비꽃이나 남산제비꽃보다 본 조사지와 같은 낙엽활엽수림에 적응도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의 계군분석 -1. 군의 분리- (Population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1. Separation of Population-)

  • 김영혜;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3-173
    • /
    • 1995
  • 본 연구는 1991년 2월부터 1992년 7월까지 우리 나라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에 대해 외투장 조성과 생식소 발달 상태에 의해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과 같이 세 군으로 분리하였다. 오징어의 크기와 성숙에 관한 축적된 지견에 근거하여 외투장 조성에서 군을 분리시, 채집시의 외투장과 생식소 발달 상태를 오징어의 크기와 성숙에 관한 연구자의 축적된 지견과 비교하여 분리한 군과 Tanaka(1956)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리한 군이 가장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hattacharya(1967)와 Cassie (1954)의 방법에 의해 분리된 군과는 잘 일치하지 않았다.

  • PDF

실험실에서 배양한 Eucyclops serrulatus(검물벼룩목 요각류)의 생식과 성장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Eucyclops serrulatus(Copepoda: Cyclopoida) in the Laboratory Culture)

  • 윤경아;김원
    • 생태와환경
    • /
    • 제33권1호통권89호
    • /
    • pp.1-8
    • /
    • 2000
  • 실험실에서 배양을 하기 위해 담수에서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4종류의 검물벼룩목 요각류를 실험하였다. 이 중 Eucyclops serrulatus만이 성공적으로 배양되었다. 다음으로 9가지 먹이 조건 중 어떤 것에서 유생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선정된 실험실 배양 환경하에서 E. serrulatus의 생식과 성장을 관찰하였다. 배양 방법이 간단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순수배양된 개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으로 볼 때 Eucyclops serrulatus는 담수 생태계의 오염을 측정하는데 bioindicator 생물로서 응용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한국산 노랑초파리 군(Drosophila melanogaster group) 8종의 진화유전학적 연구 :생식적 격리 및 단백질 분석 (Evolutionary Genetic Studv on the Eight Species of the Drosophila melonogaster Group from Korea: Reproductive Isolation and Protein Analysis)

  • 김남우;이택준송은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1-218
    • /
    • 1992
  • 한국산 노랑초파리 군에 속하는 8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생식적 격리 그리고 수용성 단백질을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였다. 생리적 격리 실험에서 교배전격리 실험결과를 Watanane와 Kawanishi model에 근거하여 보면 D. aurario complex 3종 중 D. triauror물가 원시종이며 남 auraria는 팍생종으로 나타났다. 교배후 격리 실험에서 나. melonogaster와 D. simuions의 교배시, D. melonogoster를 수컷으로 하였을 때는 불임의 수컷만이, 또 D. melonogaster를 암컷으로 곯였을 때는 불임의 암컷만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남 ouraria complex 3종간의 교배에서는 수정 능력이 있는 수컷과 암컷이 출현하였는데, 이는 아직 남 auraria Complex가 semispecies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SDS-PAGE로 분석한 노랑초파리 군 8종의 band pattern을 densitometer로 scanning한 결과 남 susu상가 가장 특이하였으며, TDE에 의한 유전적 거리(Aquadro and Avise's)는 남 auror지와 봉 triauror지사이가 0.155로 가장 낮았고, D. melonogaster와 고. mfa 사이가 0.422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UPGMA법 뜨로 분석하면, 한국산 노랑초파리 군 8종은 4개의 아군으로 나뉘어지며 이들은 2개의 다른 큰무리로 구분되었는데, D. suzu가기 아군, D. lutescens의 아군, D. melanogoster와 봉 simulons의 아군이 속한 큰무리와, D. mfa,0. ouroria, D. biauroria 그리고 남 triourario가 속한 다른 큰무리로 나눌 수 있다.

  • PDF

옴개구리의 생식주기와 난자의 성숙유도 (Reproductive cycle and Maturation Induction of Oocytes in Rana rugosa)

  • 유명식;나철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6-105
    • /
    • 1995
  • 본 연구는 옴개구리(Rana rugosa)의 생식주기를 파악하고 이들 난자들의 체외 성숙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개구리들의 gonadosomatic index(G51)는 4월에서 8월사이에는 비교적 낮았고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는 높았다 여포들의 성장은 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지는데 난소내에서도 여포들의 성장 속도는 일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 관찰에서 이 개구리들은 서식지의 온도에 따라 4월에서 7월 사이에 산란을 한다는 것과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동면을 한다는 것을 말았다. 산란기에 취한 여포 난자들은 생체외 배양에서 progesterone에 성숙반응(germinal vesicle breakdown(GVBD))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protein klnase C(PKC)의 촉진제인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TPA) 혹은 Na+/K+ ATPase의 저해제인 ouabain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성숙반응을 일으켰다(각각 86%와 80%). TPA 로 핵붕괴를 일으킨 난자의 세포질을 미성숙 난자에 주입하면 미성숙 난자의 핵붕괴를 유도하였으며 성숙된 다른 종의 난자들의 세포질도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TPA의 성숙유도 효과는 5분의 노출 기간으로도 충분하였으며 PKC의 저해제인 H-7을 처리하면 그 효과가 없어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옴개구리의 난자는 호르몬에 성숙반응을 일으킨지 않으나 PKC 활성화 이후 단계는 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오마하체계에 따른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 (Nursing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es at Public Health Centers according to Omaha system)

  • 최인희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43-154
    • /
    • 2020
  • 본 연구는 오마하체계를 이용하여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를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문간호사의 간호업무는 '개인위생', '통증', '약물요법', '영양', '신체활동', '위생', '수면과 휴식양상', '구강건강', '정신건강', '인지'순으로 수행도가 높았다. '성생활', '산후', '수입', '가족계획', '임신', '영성', '학대', '생식기능', '방임', '말과 언어' 순으로 간호업무 수행도가 낮았다. '성생활', '학대' '방임', '생식기능' 문제는 문제의 사정 및 적극적 개입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산후', '임신', '가족계획' 등의 문제는 출산지원을 위한 지역의 정책방향에 따라 방문간호사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수입', '주거', '지역사회자원과의 의사소통'은 보건복지 연계 및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결과는 방문간호사의 역할규명 및 역할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