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소재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8초

화학적으로 변형된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반응성염료의 생물흡착 (Biosorption of Reactive Dyes using Chemically Modified Sewage Sludge)

  • 한민희;최기욱;윤영상
    • 청정기술
    • /
    • 제13권3호
    • /
    • pp.215-221
    • /
    • 2007
  • 생물흡착은 염색폐수로부터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처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흡착제로써 저가이면서 풍부한 소재중의 하나인 하수 슬러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매스의 변형을 통하여 흡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FT-IR 분석과 적정실험을 통하여 흡착에 관여하는 작용기는 카르복실 그룹, 인산 그룹, 아민 그룹으로 판명하였으며 그 중에서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4, RR 4)를 흡착할 수 있는 작용기는 아민 그룹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이온성 염료인 RR 4의 흡착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카르복실 그룹을 제거함으로써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카르복실 그룹이 제거된 바이오매스의 최대 흡착량이 변형 전에 비해 pH 2에서는 130%, pH 4에서는 210%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하수 슬러지는 산업폐수내 염료제거에 효과적이면서 값싼 생물흡착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의 효능 연구 (Physiological activity and efficacy of cosmetic products in bio-converted soybean embryo extract)

  • 민경남;이건희;박성진;최태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11-220
    • /
    • 2019
  • 생물전환한 콩 배아추출물을 미용학적 측면에서의 생리활성을 연구하고 이를 함유한 수면 팩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ectinase로 생물전환 한 콩 배아추출물을 HPLC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확인하였고, in vitro 실험한 결과 무독성, 항염증, 항멜라닌, 항노화의 활성이 나타났다. 이후 이를 함유한 수면 팩을 제조하여 4주간 인체적용시험한 결과 저자극으로 피부의 거칠기, 눈가 주름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여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을 함유한 수면팩은 피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은 피부의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고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상나무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hnella sp. HS21의 전체 게놈 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ohnella sp. HS21 isolated from Korean fir (Abies koreana) rhizospheric soil)

  • 지앙 링민;강세원;김성건;정재철;김차영;김대혁;김석원;이지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71-173
    • /
    • 2019
  • Paenibacillaceae계의 Cohnella 속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서식한다. 여기에 우리는 한국 한라산 꼭대기의 구상나무(Abies koreana)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Cohnella sp. HS21의 전체 게놈 서열을 보고한다. 균주 HS21은 원형 염색체 7,059,027 bp와 44.8%의 GC 함량을 가지고 있다. 5,939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와 78개의 트랜스퍼 (tRNA) 유전자, 27개의 리보솜 RNA (rRNA) 유전자, 4개의 비 코딩 RNA 유전자(ncRNA), 90개의 위 유전자가 존재했다. 박테리아는 항생제 관련 유전자 클러스터와 식물 세포벽 분해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양봉꿀벌이 생산한 감로꿀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oneydew Honey Produced by Apis mellifera L.)

  • 김세건;김효영;최홍민;이혜진;한상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69-673
    • /
    • 2022
  • 국내 생산 감로꿀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와 ABTS [2,2-az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능,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생산 감로꿀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최고농도 10 mg/mL에서 DPPH에 비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이 3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FRAP 분석에서는 ferric ion (Fe3+)를 126 µM의 ferrous (Fe2+)로 환원시켰다. 또한, 국내 생산 감로꿀에 함유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총량은 73.41 mg GAE/kg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생산 감로꿀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가지며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페놀성 화합물을 존재로 인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생산 감로꿀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바이다.

Lactobacillus sakei B2-16에 의한 γ-amino butyric acid(GABA)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f γ-Amino Butyric Acid (GABA)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B2-16)

  • 국무창;조석철;최찬익;박훈;김승섭;정명훈;변유량;이현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09
  • 혈압저하작용, 이뇨기능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gamma$-amino butyric acid(GABA)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B2-16을 이용하여 GABA의 산업적 생산 배지를 연구하였다. L. sakei B2-16의 최적 상용 배지는 Lactobacilli MRS 배지였으며, Lactobacilli MRS 배지에 1% mono sodium glutamate(MSG)를 첨가하고, L. sakei B2-16을 배양했을때 MSG의 99.3% 는 GABA로 전환되었다. MRS 배지를 기본으로 최적 배지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4% sucrose와 질소원으로 1% yeast extract를 첨가하였을 때 균체 증식과 GABA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산업적 배지를 확립하기 위하여 미배아를 온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 배지에 L. sakei B2-16을 배양한 결과, 7%의 MSG를 100% GABA로 전환시켰으며, 미배아 추출액을 이용한 배지는 산업적 생산용 배지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실내 광량에 따른 동백나무속 목본 2종의 생육 및 엽록소 형광 반응 (Growth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s of Two Camellia woody Species according to Indoor Light Intensity)

  • 박경태;이철희;김현우;황정인;박철;조주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19
  • 본 연구는 몇 가지 광량 조건하에서 자생 동백나무속 상록활엽 목본 2종의 생육 및 엽록소 형광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실내 도입가능 여부를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재료는 2년생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Kuntze] 삽목묘와 3년생 동백나무(C. japonica L.)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내 광환경의 사전조사를 토대로 광량을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달리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광 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및 습도($55{\pm}3%$)를 통일하였다. 총 8주간 재배하였으며, 유리온실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중인 식물을 대조구로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차나무는 50 PPFD 이상의 조건에서 초장, 줄기직경, 엽수 및 엽장 등의 생육이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10 PPFD에서는 모든 식물체의 잎이 말리거나 떨어지는 등의 관상가치가 저하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광량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형광 반응은 100, 200 PPFD의 광량에서 모든 조사 항목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동백나무는 50 PPFD에서 25%의 고사율이 나타냈다. 100 또는 200 PPFD에서 전반적인 생육이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우수하였으며, 엽폭과 SPAD는 광량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100, 200 PPFD의 엽록소 형광 반응은 모든 조사 항목에서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전통 발효식품으로부터 Protease 활성을 보유한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Proteas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국무창;조석철;박훈;김승섭;변유량;최운용;이현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82-187
    • /
    • 2011
  • 김치 및 젓갈 등의 150여 전통 발효 식품을 시료로 하여 protease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한 결과, 24 U/mgcrude protein의 높은 활성을 갖는 젖산균 BV-26 균주을 분리하였다. API 50CHL kit를 이용하여 BV-26 균주의 당 이용성을 분석하고 16S rRNA 염기서열(99.9%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분리된 균주를 L. plantarum BV-26으로 표기 하였다. L. plantarum BV-26의 생장과 protease 활성 변화를 MRS 배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L. plantarum BV-26의 생장은 배양 6시간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어 18시간에 최고의 균체 농도를 보였으며, protease 활성은 배양 후 12시간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16시간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BV-26을 동물사료의 발효용 스타터로 이용할 경우 유산균이 갖는 유익한 장점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두박의 발효시 사료의 영양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퍼리고사리의 전엽체 및 포자체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 조성과 배양토의 종류 (Effect of Medium and Soil Conditions on Propagation of Gametophyte and Sporophyte in Leptogramma pozoi (Lag.) Ching subsp. mollissima (Fisch. ex Kunze) Nakaike)

  • 이상인;장보국;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0-295
    • /
    • 2019
  • 본 연구는 진퍼리고사리의 전엽체 증식을 위한 배지를 선발하고, 포자체 증식을 위한 적정 배양토를 구명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엽체 증식연구는 배지종류(1/4, 1/2, MS 배지, Knop 배지), sucrose (0, 1, 2, 3, 4%),의 농도를 달리한 배지에 전엽체 300 mg를 각각 접종하여 8주간 배양한 후 전엽체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포자체 형성 연구는 분쇄한 전엽체를 인공토양위에 접종하여 수행하였다. 인공토양은 원예상토, 펄라이트, 마사토의 비율을 다르게 조성하거나 원예상토 단용으로 사용했다. 그 후 접종한 전엽체를 12주간 배양한 다음 포자체 형성 및 생육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내 전엽체는 2% sucrose를 첨가한 MS 배지에서 생체중과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자체 형성을 위한 배양토 조성 실험에서는 원예상토:펄라이트 2:1(v:v)와 원예상토:마사토 2:1(v:v)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이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인 생육은 원예상토:마사토 2:1(v:v)가 우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에틸렌이민/실크 피브로인 수화겔의 화상치유효능 (The Efficacy of β-cyclodextrin/polyethyleneimine/silk Fibroin Hydrogel in Healing Burnt Wound)

  • 서승리;이미선;김진철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599-604
    • /
    • 2011
  • 이 연구는 화상이 유발된 mouse에 사이클로덱스트린/폴리에틸렌이민/실크 피브로인이 함유된 수화겔을 처치하여 화상 치유효능을 평가한 실험이다. 상처치유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silk fibroin (SF)을 함유한 polyethyleneimine (PEI)/${\beta}$-cyclodextrin (${\beta}CD$) conjugate를 epichlorohydrin (EPI)로 가교시켜 ${\beta}CD/PEI/SF$ 수화겔을 제조하였고, 이를 화상이 유발된 mouse에 처치하여 일반 거즈만 처치한 음성대조군과 상용화되어 있는 상처치유 제품(OTC)을 처치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해 시간에 따른 화상치유 경과를 지켜보았다. 약물이 로딩되지 않은 ${\beta}CD/PEI/SF$ 수화겔과 약물이 로딩된 ${\beta}CD/PEI/SF$ 수화겔을 처치한 동물 실험군의 화상치유경과는 육안으로 관찰 시,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에 큰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상처가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OTC 연고를 처치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상처의 크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H&E staining을 통하여 진피 층에서의 상피재생을 확인한 결과 또한 ${\beta}CD/PEI/SF$ 수화겔의 화상치유에 대한 효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확보한 해양미생물과 미세조류에 대한 기초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Bioactivity Exploration of the Collected Marine Microorganisms and Microalgaes in Korea)

  • 배승섭;권용민;정다운;유운종;조기철;조은서;정윤희;박윤경;안혜미;이대성;박진수;이재욱;오동찬;오기봉;조은지;박상익;전유진;이효근;김근용;남상집;최혁재;판철호;최그레이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9
    • /
    • 2023
  • 우리나라 여러 해양환경 지역으로부터 확보한 370주의 해양세균, 균류, 미세조류로부터 기초생리활성(항산화, 항염,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을 조사하여 채집지, 분리원, 종(種) 수준에서의 활성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양세균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용성이 많이 알려진 Streptomyces 속과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두드러진 강한 효능이 관찰되었고, 주로 해양퇴적물로부터 유용한 자원을 분리할 수 있었다. 해양균류와 미세조류의 경우에도 종 특이적으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효능 특이적으로 활성을 보이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질병에 선택적으로 효능을 보이는 화학물질 연구 또는 자원 기반 연구 수행 시 유용성을 전제로 한 자원 확보 전략 수립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소재로 우선적 접근이 용이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 생각된다. 또한, 이들 결과를 해양바이오 뱅크를 통한 분양소재로 활용함으로써 학계, 산업계에서 활용하여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에 좀 더 빠른 접근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