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태공간벡터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MPC-SVM Method using Segmentation of Space Voltage Vectors in a Voltage Source Inverter (전압원 인버터의 공간 전압 벡터 세분화를 통한 모델 예측 제어 기반의 SVM 기법)

  • Moon, Hyun-Cheol;Lee, June-Hee;Lee, June-Seok;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63-16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전류품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전압벡터를 인가하는 모델 예측 제어 기반의 공간 벡터 변조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모델 예측 제어 기반의 전류제어는 제어주기 동안 하나의 스위치 상태가 인가되어 낮은 스위칭 횟수로 인해 높은 전류품질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공간 벡터도 상에서 전압벡터의 세분화를 통해 스위칭 횟수를 늘려 전류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통 위상각을 이용해 필요한 전압벡터만을 사용하여 비용함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제어주기 동안 계산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모델 예측 제어 기법의 전류제어 기법보다 향상된 전류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Three Phase Active Series Voltage Compensator by Space Vector Detecting Method (순시보상전류의 공간 벡터 검출법에 의한 3상 능동 직렬형 전압강하 보상기)

  • Cho Jae-Yun;Jung Young-Gook;Kim Jung-Kun;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1.07a
    • /
    • pp.560-56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3상 능동 직렬형 전압 보상기의 제어 알고리즘으로 공간 벡터 검출법(3-D SV)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3차원 공간 벡터법은 종전의 순시전력이론에 의한 방법에 비해 보상 기준치 연산과정을 간략화 할 수 있고 좌표변환이 필요치 않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전원전압의 순간적인 sag가 발생되더라도 비선형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한 정현파로 제어 가능하며 동시에 전원전류의 고조파와 기본파 무효전류도 보상 가능하다.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에서 전력전자전용 시뮬레이터인 PSIM에 의해 제안된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An Applicable Verb Prediction in Augmentative Communication System for Korean Language Disorders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에 적용 가능한 동사예측)

  • 이은실;홍승홍;민홍기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1
    • /
    • pp.25-3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의 통신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처리방안으로 신경망을 이용하여 문장발생장치에 동사예측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단어들은 구문론과 의미론에 따른 정보벡터로 표현되며, 언어처리는 전통적으로 사전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상태공간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되어 개념적으로 유사한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통하여 알게 된다. 사용자가 심볼을 누르면 심볼에 해당하는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찾아가며, 신경망 학습을 통해 동사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약 20% 통신율 증진을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Interactive Facial Expression Animation of Motion Data using Sammon's Mapping (Sammon 매핑을 사용한 모션 데이터의 대화식 표정 애니메이션)

  • Kim, Su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1A no.2
    • /
    • pp.189-194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method to distribute much high-dimensional facial expression motion data to 2 dimensional space, and method to create facial expression animation by select expressions that want by realtime as animator navigates this space. In this paper composed expression space using about 2400 facial expression frames. The creation of facial space is ended by decision of shortest distance between any two expressions. The expression space as manifold space expresses approximately distance between two points as following. After define expression state vector that express state of each expression using distance matrix which represent distance between any markers, if two expression adjoin, regard this as approximate about shortest distance between two expressions. So, if adjacency distance is decided between adjacency expressions, connect these adjacency distances and yield shortest distance between any two expression states, use Floyd algorithm for this. To materialize expression space that is high-dimensional space, project on 2 dimensions using Sammon's Mapping. Facial animation create by realtime with animators navigating 2 dimensional space using user interface.

SMS Text Messages Filtering using Word Embedd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워드 임베딩과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SMS 문자 메시지 필터링)

  • Lee, Hyun Young;Kang, Seung Shik
    • Smart Media Journal
    • /
    • v.7 no.4
    • /
    • pp.24-29
    • /
    • 2018
  • Text analysis techniqu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deep learning represents words in vector form through word embedd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 document vector and classifying it into spam and normal text message, using word embedding and deep learning method. Automatic spacing applied in the preprocessing process ensures that words with similar context are adjacently represented in vector space. Additionally, the intentional word formation errors with non-alphabetic or extraordinary characters are designed to avoid being blocked by spam message filter. Two embedding algorithms, CBOW and skip grams, are used to produce the sentence vector and the performance and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 based spam filter model are measured by comparing to those of SVM Light.

The Space Vector Detection based Three-Phase Hybrid Series Active Power Filter for Compensating Dynamic Voltage Sag and Harmonic Current (순시전압 sag 및 고조파 전류 보상을 위한 공간벡터 검출법 기반의 3상 하이브리드 직렬형 능동전력필터)

  • 양승환;정영국;임영철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9 no.4
    • /
    • pp.303-310
    • /
    • 2004
  • In this paper, for compensating dynamic voltage sag and harmonic current, 3-phase hybrid series active power filter based on the space vector detection is proposed. The Space vector algorithm for detecting the voltage sag and the harmonic current 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ory is a simple method for calculating the compensating reference without any coordinated transform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is verified by the PSIM simulation in the steady state and the transient state, which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simultaneously compensate harmonics and source voltage unbalance / sag.

Encoding Scheme for Error Propagation Control Using Motion Vector in Video Communication (화상통신에서의 오류전파 제어를 위한 보조 모션벡터 압축 기법)

  • 이주경;최태욱;정기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550-552
    • /
    • 2002
  • 표준 비디오 압축 기법은 프레임 간의 시간적,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한다. 압축된 프레임이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중에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패킷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면 손실된 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화질 뿐 아니라, 이 프레임을 참조하여 압축된 이후의 프레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오류가 발생한 경우, 디코더에서의 오류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 모션벡터를 이용한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즉, 여러 개의 후보 프레임 중 현재 압축하려는 매크로블록과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진 두 개의 매크로 블록을 선택하여 그 위치를 기본 모션벡터와 보조 모션벡터로 지정한다. 이때, 두 모션벡터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 속한다. 디코더에서 압축해제를 위해 참조하는 기본 모션벡터의 프레임이 손실된 경우, 보조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원래의 화질에 가깝게 디코딩 할 수 있다. 이 기법은 오류제어를 위한 피드백 채널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상의 전송오류 발생시 표준 H.263 압축보다 높은 성능을 보인다.

  • PDF

Realtime Facial Expression Control and Projection of Facial Motion Data using Locally Linear Embedding (LLE 알고리즘을 사용한 얼굴 모션 데이터의 투영 및 실시간 표정제어)

  • Kim, S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2
    • /
    • pp.117-124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methodology that enables animators to create the facial expression animations and to control the facial expressions in real-time by reusing motion capture datas. In order to achieve this, we fix a facial expression state expression method to express facial states based on facial motion data. In addition, by distributing facial expressions into intuitive space using LLE algorithm,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animations or to control the expressions in real-time from facial expression space using user interface. In this paper, approximately 2400 facial expression frames are used to generate facial expression space. In addition, by navigating facial expression space projected on the 2-dimensional plane,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animations or to control the expressions of 3-dimensional avatars in real-time by selecting a series of expressions from facial expression space. In order to distribute approximately 2400 facial expression data into intuitional space, there is need to represents the state of each expressions from facial expression fram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distance matrix that presents the distances between pairs of feature points on the faces, is used. In order to distribute this datas, LLE algorithm is used for visualization in 2-dimensional plane. Animators are told to control facial expressions or to create animations when using the user interface of this system. This paper evaluat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 Optimization method of CDHMM using Genetic Algorithms (유전자 알고리듬을 이용한 CDHMM의 최적화)

  • 백창흠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71-74
    • /
    • 1998
  • HMM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음성인식은 현재 가장 널리 쓰여지고 있는 방법으로, 이 중 CDHMM (continuous observation density HMM)은 상태에서 관측심볼확률을 연속확률밀도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우스 혼합밀도함수를 사용하는 CDHMM의 상태천이확률과, 관측심볼확률을 표현하기 위한 인자인 평균벡터, 공분산 행렬, 가지하중값을 유전자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전자 알고리듬은 매개변수 최적화문제에 대하여 자연의 진화원리를 모방한 알고리듬으로, 염색체 형태로 표현된 개체군 (population) 중에서 환경에 대한 적합도 (fitness)가 높은 개체가 높은 확률로 살아남아 재생 (reproduction)하게 되며, 교배 (crossover)와 돌연변이 (mutation) 연산 후에 다음 세대 개체군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최적의 개체를 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태천이확률, 평균벡터, 공분산행렬, 가지하중값을 부동소수점수 (floating point number)의 유전자형으로 표현하여 유전자 알고리듬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알고리듬은 복잡한 탐색공간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다.

  • PDF

Image Coding Using LOT and FSVQ with Two-Channel Conjugate Codebooks (LOT와 2-채널 결합 코드북을 갖은 FSVQ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 채종길;황찬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4
    • /
    • pp.772-780
    • /
    • 1994
  • Vector quantization with two-channel conjugate codebook has been researched as an efficient coding technique that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codebook storage. This paper proposes FSVQ using two-channel conjugate codebook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state codebooks. Input vector in the two-channel conjugate FSVQ is coded with state codebook of a seperated state according to each codebook. In addition, LOT is adopted to obtain to obtain a high coding gain and to reduce blocking effect which appears in the block coding. As a result, although FSVQ can achieve higher data compression ratio than general vector quantization, it has a disadvantage of having a very large number of state codebooks. However FSVQ with two-channel conjugate codebooks can employ a significantly reduced number of state codebooks, even though it has a small loss in the PSNR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SVQ using one codebook. Moreover FSVQ in the LOT domain can reduce blocking effect and high coding gain compared with FSVQ in the spatial dom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