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지 검사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연구 (The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involve Visual Illus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 최성열;김수경;이재홍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 적용 시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시 착시현상을 반영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과 착시현상을 반영하지 않는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 각각 3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매회기 반복 측정 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거울치료를 적용한 결과 모든 대상자는 중재기에서 마비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기초선 회귀에서 그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착시현상이 반영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받은 그룹이 중재기에서 더욱 상향된 경향선을 보였고, 기초선 회귀에서 더 높은 상지기능이 지속되었다. 결론 :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운동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과제 지향적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편측 움직임을 포함하는 과제를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뇌성마비 아동의 진동 자극 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강셋별;김만제;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편마비 뇌성마비 후기 아동의 위팔두갈래근에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상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3세에서 15세 사이의 경직성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개별실험연구를 이용한 AB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진동자극은 마비측 손에 제공되었다. 상지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는 라파엘 스마트 보드는 매 회기 별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er hand function test)와 운동 활동 척도 검사(Motor Activity Log; MAL)를 실험 전, 후로 실시하였다. 결과 : 라파엘 스마트 보드로 매 회기 상지기능의 부드러움과 종합점수를 측정한 결과 대상자 3은 평균값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고 대상자 1, 2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중재 전후로 평가한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 및 운동 활동 척도 검사에서는 대상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진동자극을 적용한 훈련이 마비측에 대한 경험이 적은 편마비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 기능과 움직임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운동신경전도검사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of Diabetic Polyneuropathy: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 강지혁;이윤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37-245
    • /
    • 2010
  • 신경전도검사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 및 당뇨병의 불현성 신경병증환자를 진단하기위한 중요한 검사이며 신경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 환자에서 보이는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평가하기위하여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으로 진단된 120명과 정상대조군 77명의 운동신경전도검사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상지와 하지의 각 운동신경에서 정상기준치에 대해 비정상 값을 보인 비율의 특징을 신경전도속도, 말단잠복기, 복합근육활동전위의 진폭, No potential의 빈도, 전도차단의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은 상지에 비해 하지를 더욱 침범하는 전신성 탈수초성 말초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이 관찰되었고, 특히 비골신경에서 비정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전도차단의 특징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신경전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 하지의 비골신경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중요한 전기생리학적 소견으로 사료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이민재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67-75
    • /
    • 2016
  • 목적 : 본 사례연구는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변화와 일상생활활동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실험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 진단을 받은 44세 남자 환자로 손상 측 상지에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을 주 5회 30분씩 8주간 훈련을 받았다. 평가는 주사 전, 중재 4주 후와 8주 후의 상지기능 변화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변화를 평가하였다. 상지기능 평가는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로 평가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평가는 수정된 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측정하였다. 결과 : 상지기능평가에서 손의 조작능력과 기민성이 향상되었고 또한, 일상생활활동 하위 영역 중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움직임에 미치는 단기 효과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Arm Reach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홍원진;김용욱;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79-9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상지 로봇 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진단을 받고 1회 1시간씩 상지 로봇 치료와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를 받았던 환자 20명의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서, 중재 전/후의 3차원 동작분석검사 결과 값을 토대로 두 중재간의 변화량을 비교 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결과 값을 파악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상지 로봇 치료를 한 경우 팔 뻗기를 하는 동안 팔굽관절 움직임의 순발력, 효율성, 부드러움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과 비교 하였을 때 팔굽관절의 부드러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단기적 상지 로봇 치료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시 팔굽관절 움직임에 효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상지 기능의 움직임 개선에 대한 효과 입증이 필요하다.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주민애;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22-232
    • /
    • 2017
  • 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 후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연구 (The Effect of Gradually Observation-Reduction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 한민;박주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29-238
    • /
    • 2020
  • 본 연구는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을 하는 실험군 4명과 기존의 동작 관찰 훈련을 받는 3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주 6회, 회당 30분씩,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상지 기능 평가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BT)와 푸글 마이어 상지 운동기능평가 (FMA)를,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평가는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와 운동 활동 지표 (MAL)를 사용하였다. 그룹 별 중재 전·후 차이의 비교 결과와 두 그룹 간의 비교 결과는 BBT, FMA, K-MBI, MA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 점수 측면에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은 기존의 동작관찰훈련 보다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쪽위관절융기의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상지의 통증과 근활성도 미치는 즉각적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Immediat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upper extremity pain and muscle activation of lateral epicondyle DOMS)

  • 인태성;김경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3-8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쪽위관절융기 지연성 근육통 유발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상지의 통증과 근활성도의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단일맹검법을 적용하였다. 24명의 대상들이 참가 하였으며 무작위 방법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KT군), 플라시보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그룹으로 나뉘었다. 가쪽위관절융기에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한 후 키네시오 테이핑 방법을 적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상지의 압통역치검사와 근활성도를 테이핑 적용 전·후에 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군이 플라시보 테이핑을 적용한 군보다 통증과 상지의 근활성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가쪽위관절융기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여 상지 통증과 근활성도의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지연성근육통의 지속적인 융합중재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상상훈련이 아급성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agery training effects of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방대혁;소윤지;조혁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235-242
    • /
    • 2013
  • 본 연구는 아급성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상상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총 16 명으로 상상훈련군과 대조군에 8 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상상훈련군은 4주 동안 주 5회, 매일 30의 상상훈련과 30분의 과제지향훈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4주 동안 주 5회, 매일 30분간 과제지향훈련을 시행하였다. 측정은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울프운동 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와 Fugl-meyer 운동기능평가(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를 측정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상훈련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검사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리고 훈련 전후의 효과크기는 상상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WMFT와 FMA는 각각 1.59, 2.02로 큰 효과를 나타냈으며, MBI는 0.37로 최소의 효과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상훈련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상상훈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지지한다.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Dexterity of Affected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엄숙;김수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선정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동영상을 통하여 과제지향적 동작수행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20~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환측 상지기민성에 대해 MFT, 10초 검사, 박스와 나무상자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MBI, MAL을 수행하였다. 전, 후 비교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를 사용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민성은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 또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과제지향적 과제를 적용한 동작관찰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동작관찰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