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업용배지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 균주의 생산을 위한 배지개발 및 질산이온 흡수 (Development of Media for the Cultivation of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 and its Nitrate Uptake)

  • 박성완;윤영배;왕희성;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52-257
    • /
    • 2011
  • 농업 환경 중에 과잉으로 축적한 질산이온의 제거를 위하여, 질산이온 흡수력이 우수한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는 Pseudomonas agar F (PAF)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3,000 ppm (50 mM) 이상의 질산이온 흡수가 가능하므로, 농업용 토양, 축산폐수, 산업폐수를 포함한 오염된 환경의 질산이온 제거를 위한 좋은 후보 균주가 될 수 있다. GG0461 균주의 대량생산을 위한 상업용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PAF 배지 성분을 상업용 재료로 대체하고,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 활력을 측정하였다. 탄소원인 글리세롤은 상업용 제품으로 대체하였고, 질소원으로 tryptone과 효모추출물, 대두박, 생선발효액을 배양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활력은 2% tryptone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효모추출물, 대두박, 생선발효액의 순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Tryptone을 2% 첨가한 배지에서 균주의 질산이온 흡수는 배지의 pH를 낮추었으며, 이것은 질산이온의 흡수가 nitrate/proton antiporter의 활성으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상업용 tryptone을 사용한 배지는 균주의 생리활성에 적합하였으며, peptone을 제외한 PAF 배지의 각 성분은 그것에 해당하는 상업용 재료로 대체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GG0461 균주의 배양을 위한 상업용 배지성분 조성은 2% tryptone과 1% glycerol, PAF 배지를 위한 무기이온들로 결정하였다.

토마토 공정묘의 상업적 생산을 위한 배지구성물질로서 발포유리와 탄화 밤나무 칩의 이용 (Use of CGF and CCW as Medium Components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of Seogun Tomato)

  • 황승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89
    • /
    • 2004
  • 본 연구는 배지 구성물질로서 발포 유리질 소재(CGF)와 탄화 밤나무 목재입자(CCW)를 이용하여 배지를 재발하고 원예재배용 배지의 국산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토마토 종자는 발포 유리질 소재, 탄화 목재입자, 입상암면(GR), 그리고 피트모스를 혼합한 4종의 배지를 만들어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하여 종자를 200구 플러그 트레이에 4반복으로 파종한 후 fog 번식상에서 3일간 발아시켰다. 발아 후 양지붕형 유리온실에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저면관수로 양액을 공급하여 육묘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공정육묘 배지(토실이)를 대조구로 이용하였다. 플러그묘의 생육은 파종 후 31일째 측정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생육결과를 나타냈지만 특히 CCW(67%)+peatmoss(33%) 혼합배지에서 초장, 뿌리등급, 생체중, 그리고 배지의 기상과 가비중이 다른 처리에서보다 유의성 있게 좋았다. 모든 배지의 pH는 6.3∼7.4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CGF와 입상암면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배지의 pH는 증가하였다. 재배 후 배지의 EC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독성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엽수와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천연배지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큰느타리버섯 균사배양 적합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the Optimal Media for Mycelial Culture of Pleurotus eryngii using the Hot-water Extract of Raw Materials)

  • 김민근;류재산;이영한;이성태;허재영;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53
    • /
    • 2012
  • 본 연구는 버섯재배에 이용되는 배지재료를 이용하여 상업용 PDA 고체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 원균 증식용 천연고체배지 제조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천연고체배지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에 이용되는 재료를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포플러톱밥, 밀기울, 미강이 버섯의 균사생육에 좋은 특성을 보였다. 천연 고체배지 제조를 위한 포플러톱밥, 밀기울, 미강의 적정 혼합 비율은 50 : 20 : 30(v/v/v, PWR523)와 50 : 30 : 20(v/v/v, PWR532) 수준이었다. 열수수출물 함유 천연 고체배지인 PWR523 및 PWR532에 대한 버섯 균사생육은 PDA 배지에 접종된 것보다 빠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수추출물 함유 천연 고체배지에 의해 만들어진 접종원을 이용한 경우 버섯의 배양 및 수확에 있어서 상업용 배지를 이용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ED 광원에 따른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by LED Light Source)

  • 이건우;김송이;유용진;이영복;김진우;김호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4-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의 성장에 미치는 배양 배지와 광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한 성분 배지인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와 상업용 액체 비료 배지인 Neo, 그리고 파장이 서로 다른 7개의 광원을 사용하여 H. pluvialis를 39일 동안 배양하고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한 성분 배지인 MBBM에서 H. pluvialis의 성장은 fluorescent light 광원에서 세포 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blue+red LED에서 세포 성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업용 배지인 Neo에서 H. pluvialis의 성장은 fluorescent light 광원에서 세포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lue LED에서는 세포 성장이 가장 낮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MBBM 배지가 Neo 배지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MBBM 배지를 이용하여 fluorescent light에서 성장한 미세조류는 본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세포 성장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위한 H. pluvialis 배양에서 배지, 광원과 광량을 최적화한 것으로 미세조류 대량 배양에 기초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교정용 브라켓상의 인공치태 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on orthodontic brackets)

  • 양규호;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5
    • /
    • 1999
  • 구강내의 교정 장치는 미생물 전파에 있어서 다양한 장소를 제공한다. 치태는 치아 우식증 발생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하며 미생물, 비세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외에서 교정용에서의 인공 치태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type c는 $CO_2$ incubator내의 $37^{\circ}C$에서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 배양 되었다. 중절치에 사용하는 9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3개씩 비이커의 배양액에 매달았다. 3개 비이커의 배양액 pH는 각 각 pH 5.5, 7.0 그리고 8.5로 조절되었다. 5시간 후에 비이커에서 각각의 bracket을 꺼내서, bracket의 평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배지의 stirring effect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씩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2개의 비이커에 위치시켰다. 12개의 brackets을 $CaCl_2$(0.25, 1.0, 4.0 그리고 16.0mM). KCl(2.5, 10, 40 그리고 160mM) 그리고 $MgCl_2$(0.1, 0.4, 1.6, 그리고 6.4mM) 용액에 각각 매달았다. 6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 6개의 $.022"{\times}.028"$ Roth brackets과 6개의 $.022"{\times}.028"$ Broussard brackets을 각각의 비이커 내에 매달았다. 배양액 내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brackets을 근사값의 milligram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룹 사이의 차이는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test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p value<0.05의 조건에서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는다. 5시간 동안 pH 5.5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형성된 인공 치태는 pH 7.0 이나 pH 8.5에서 배양된 것보다 작았다(p<0.05). 인공 치태는 배양하는 동안 저어졌을 때 더 많이 형성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bracket에 형성된 인공 치태는 좀 더 높은 알칼리성 배지에서 배양됨으로써, 그리고 배양 동안 배지를 저어줌으로써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지의 $CaCl_2,\;KCl,\;MgCl_2$의 농도와 상업적으로 다른 종류의 이용 가능한 교정용 bracket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액체배양에서의 양조용 곰팡이의 균체 생산 및 전분분해효소 활성 (Mycelial Production and Amylase Activity of Fungi for Brewing in Different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 노종민;최지호;정석태;여수환;박장우;이진원;최한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3-838
    • /
    • 2013
  • 양조용 곰팡이 12균주에 대하여 WEB(wheat extract broth), PDB(potato dextrose broth), MEB(malt extract broth) 배지에서의 배양특성 및 전분분해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PDB 배지에서의 균체 생산량은 1.26(R. oryzae KACC 45741)~4.80(A. oryzae KACC 46959) g/100 mL로 WEB, MEB 배지보다 각각 2.3~9.2배, 1.7~14.6배 낮았다. A. oryzae의 경우, 상업유통 균주인 Suwon, CF1001, CF1003 균주들이 야생 균주인 KACC 46421, KACC 46423, KACC 46424, KACC 46959보다 건조 균체량이 높았다. Rhizopus sp.의 산 생성량은 WEB, PDB, MEB 배지에서 각각 0.12~0.47, 0.22~1.0, 0.16~0.68%(as lactic acid)이었으며, A. oryzae는 0.06~0.11, 0.03~0.04, 0.06~0.08%(as citric acid) 범위이었다. 전분분해효소 활성은 Rhizopus sp.의 경우, R. delemer KACC 46419 균주만 WEB와 MEB에서 각각 0.013 U, 0.019 U의 활성을 보인 반면, A. oryzae의 효소 활성은 WEB, PDB, MEB 배지에서 각각 0.019~0.037, 0.017~0.033, 0.028~0.046 U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액체 종국용 배지는 균체 생산성이 비교적 우수하였고, 효소활성이 높았던 MEB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추출물에서 Bacillus velezensis HKB-1의 배양적 특징 및 고추역병의 생물학적 방제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HKB-1 in the water extract of the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pepper)

  • 김자윤;서현지;강대선;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2-278
    • /
    • 2021
  • Bacillus velezensis HKB-1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고추역병균(Phythopthora capsici), 인삼모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탄저병균(Collectotrichum coccodes)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ium)의 균사체 성장을 70% 이상 억제하는 항 진균 활성을 보였다. B. velezensis HKB-1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과 당밀 1% 첨가배지에서 다른 상업용 세균배지보다 10~100배 더 높은 세균증식률을 보였으며 고추 역병균의 균사체 생장을 90% 억제하였으며 고추생육 촉진효과 및 고추역병에 대하여 70%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국내 아까시나무 숲에서 수집한 감자덩이버섯(Mattirolomyces terfezioides)의 균사 생장 특성과 효소 활성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Enzyme Activities of Mattirolomyces terfezioides Collected from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Korea)

  • 전성민;왕은진;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5-173
    • /
    • 2015
  • 감자덩이버섯(Mattirolomyces terfezioides)은 단맛을 가진 트러플의 한 종류로, 주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상업적으로 인공재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버섯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까시나무 숲에서 수집한 감자덩이버섯균의 균사 생장특성과 효소활성에 대해 조사한 바를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이 균은 PDA 배지, $30^{\circ}C$에서 가장 잘 생장하였고, 액체배양 시에는 pH 8.0의 MMN 배지에서 균 생장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암모늄염보다는 질산염 형태의 무기질소원이 함유된 액체배지에서 균체량이 1.8배 더 높았으며, 효소 검색용 고체배지 상에서 carboxymethylcellase와 laccase 활성을 나타냈다.

Phenolic Foam 배지를 이용한 파프리카의 플러그묘 생산 (Use of Phenolic Foam as a Medium for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of Paprika)

  • 박지은;안철근;정병룡;황승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34-41
    • /
    • 2012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무기물인 phenolic foam 배지를 이용한 파프리카 파종용 플러그묘의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Grodan 암면, UR 암면, phenolic foam LC, phenolic foam RC, phenolic foam 3813-4의 5종류 펠릿형 배지에 파프리카 'Fascinato'를 파종하였다. 종자는 식물생장상($25^{\circ}C$, 상대습도 90%, 암상태)에서 4-5일 동안 발아시켰고, 발아가 시작된 후에는 유리온실로 옮겨 두상관수로 양액을 관주하였다. 파프리카의 생육은 파종 20일 후에 측정하였다. 배지의 pH를 측정한 결과 Grodan 암면이 가장 높았고, EC는 phenolic foam 3813-4가 가장 높았지만 식물의 독성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배지에서 9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다. 초장, 경경, T/R률, 엽면적, 엽록소 함량은 암면 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생육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엽수, 최대근장, 지상부의 건물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phenolic foam 배지인 LC와 RC는 암면배지와 비교하여 유사한 생육을 보였다. 본 실험결과 파프리카 'Fascinato'의 상업적 규모의 육묘를 위해 암면을 신개발 물질인 페놀릭 폼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무토양재배용 암면과 코이어 배지의 수분 이동 및 함수율 특성 비교 (Comparisons of Water Behavior and Moisture Content between Rockwools and Coir used in Soilless Culture)

  • 신종화;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44
    • /
    • 2015
  • 무토양재배에서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최적의 수분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배지의 종류에 따른 수분 이동을 포함한 배지의 물리적 특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배지를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수분의 이동 형태 및 함수율과 FDR 센서 측정값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로드셀을 이용하여 배지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지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량에 따른 실제 함수율과 FDR 센서값의 비교를 통해 배지 종류에 따른 FDR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암면에 비하여 코이어 배지는 입자가 크고 거친 특성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수력이 낮았다. 중량 기준의 동일 함수율 조건에서 FDR센서 측정값은 코이어에서 큰 오차를 보였으므로 FDR센서 사용전 보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코이어의 낮은 보수력과 재수화력 때문에 관수제어에 적합한 함수율 범위도 암면에 비하여 좁았다. 무토양재배에서 최적 관수제어를 위한 관수전략 수립에 실험을 통한 위와 같은 데이터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