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회복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전통 산후 회복식과 한방 생화탕이 산모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raditional Recipes and Saenghwatang on Postpartume Care)

  • 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52-658
    • /
    • 2005
  • 우리나라의 한방영역에서 분만 후 빠른 회복을 위해 사용해오던 처방 중 생화탕과 관습적으로 산후 회복식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해오던 가물치와 호박 전탕액을 대상으로 분만 후 산모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 해 보고자 연구를 계획${\cdot}$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분만 후의 흰쥐에게 생화탕, 가물치 전탕액 및 호박 전탕액을 각각 7일간 투여한 후 적혈구, 백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트치, 혈소판 수, 피브리노겐과 혈청의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를 구하였고 소변 중의 나트륨과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cdot}$고찰하였다. 생화탕을 섭취한 군에서는 혈액의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트치, 알부민 및 타이록신 농도가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던 반면 백혈구 수와 피브리노겐 농도 및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 농도는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물치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 수, 피브리노겐 농도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고 혈 중 알부민과 타이록신의 농도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소변의 칼륨 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호박 전탕액을 섭취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변의 칼륨 함량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화탕은 산후회복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전통 산후 회복식은 분만 후 저하된 상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능은 있으나 그 정도가 생화탕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산후회복의 방법으로 적절한 효능은 인정되지 못하여 산후 조리법으로 권장하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온 가물치와 호박의 이수소종(利水消腫) 효과에 대하여는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식생활 정착을 위해 우리 식생활에서 약식동원의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전통 음식의 재료 및 사용분량에 대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가 시도된다면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으며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산후조리에 대한 임부 남편의 주관성 연구 (Sanhujori Subjectivity in Husbands of Pregnant Women)

  • 박소연;위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41-151
    • /
    • 2019
  • 본 연구는 문화적 특이성을 지닌 산후조리에 대해 한국의 임부 남편이 갖는 주관성을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탐색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임부 남편의 산후조리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207개의 Q 모집단에서 3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고, 임부의 남편인 40명의 P 표본에게 2018년 3월에서 5월까지 조사하였다. 임부 남편의 산후조리 주관성은 3개 유형인 '부부 중심의 여성건강 증진 추구형',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산모의 정서적 회복 기대형', '가족이 함께 새 가족체계 적응 노력형'으로 확인되었고, 유형의 공통된 특징은 남편에게도 충분한 출산휴가가 필요하며, 산모에게는 편안한 환경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융합적인 산전 서비스, 산후조리 프로그램, 전문가의 개입 및 남편에 대한 출산 전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관련 기관은 법령과 정책을 통해 남편의 적극적 산후조리 참여를 위한 방안을 더욱 확대하고, 부부 및 가족들의 요구에 대한 융합적 시각의 조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에 의한 해조류로부터 클로로필 색소추출

  • 홍석기;전병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1-92
    • /
    • 2000
  • 식용해조류인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늦가을부터 겨울, 이른 봄 동안 자라고 봄부터 초여름까지 성숙하는 1년생 해조류로 내만의 입구에 가까운 곳이나 조류가 빠른 곳에서 번식을 하며 극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전 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갈조류로써 그 생산량은 식용해조류중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후식품 또는 병약자의 건강을 회복하는 영양식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부드러운 해조류 맛과 탁도 및 점성으로 오랫동안 섭취해 온 식품이다. (중략)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에 의한 해조류로부터 유용성분 추출

  • 홍석기;전병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0-101
    • /
    • 2000
  • 식용해조류인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늦가을부터 겨울, 이른 봄 동안 자라고 봄부터 초여름까지 성숙하는 1년생 해조류로 내만의 입구에 가까운 곳이나 조류가 빠른 곳에서 번식을 하며 극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전 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갈조류로써 그 생산량은 식용해조류 중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후식품 또는 병약자의 건강을 회복하는 영양식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부드러운 해조류 맛과 탁도 및 점성으로 오랫동안 섭취해 온 식품이다. (중략)

  • PDF

산후우울증 환자에서 혈장 Cytokine의 농도변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Plasma Levels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Postpartum Depression)

  • 이윤정;김용구;김계현;이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77-184
    • /
    • 2020
  • 연구목적 산후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산모의 10~15%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으로는 정신사회적인 요인과 산과적인 요인이 모두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감염, 손상, 악성종양, 자가면역질환,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가 자극되면 proinflammatory cytokine과 anti-inflammatory cytokine이 생성되고 분비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후우울증이 있는 경우 산후우울증이 없는 군에 비해 혈중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TGF-β1),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β-Nerve growth factor (β-NGF), Interleukin-2 (IL-2), IL-4,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feron-γ (IFN-γ)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임산부에서의 우울증의 경과에 따라 cytokine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총 104 명의 임산부와 60명의 임신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은 임신 24주, 출산 1주, 출산 6주에 에딘버러 산후 우울 척도(EPD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EPDS의 총 점수가 10 이상인 경우,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EPDS 점수 변화에 따라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 과 임신군과 비임신 정상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TGF-β1, IGF-1의 혈장 농도는 임신군에서 비임신 정상대조군보다 더 높았다(TGF-β1 ; p<0.01, IGF-1 ; p=0.026). 그러나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는 비임신 여성대조군에 비해 임산부 정상대조군에서 그 농도가 낮게 측정되었다(β-NGF ; p=0.001, IL-2 ; p<0.01, IL-4 ; p<0.01, IL-6 ; p<0.01, IFN-γ ; p<0.01, TNF-α ; p<0.01) 임신 24주에 TGF-β1, IGF-1,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의 농도를 살펴보면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출산 6주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임신 24주, 출산 6주에 시간에 따른 농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세 군에서 모두 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비임신 정상대조군과 임신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으나 산후우울증군과 정상 임신대조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밝혀내지는 못했다.

산후 건강회복에 대한 비교 연구 : 미숙아 출산모와 만삭아 출산모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9
    • /
    • 2002
  •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postpartum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role performance between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and preterm infants over 3 months postpartum period. The study used a correlational and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ho had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was followed up for 3 times (postpartum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Postpartum physical health was assessed by level of fatigue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and number of physical symptoms. Postpartum mental health was assessed by positive affect,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tpartum rol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role functional statu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fatigue in the morning,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anxiety and higher depression over 3 data collection time points, compared to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lso resumed lesser self-care activity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y than the counterparts. It implies that some aspects of preterm birth and caring for preterm infants continue to negatively affect the mother's health outcome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모성 취업과 미숙아 출산이 산후 건강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n Postpartum Health)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8
    • /
    • 2002
  • While the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and employment rates of mothers with infant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having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health recovery after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ostpartum health by mother's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ver time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The study used a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as recruited with mothers who had fullterm or preterm infants through the postpartum unit. They were followed up for 3 times (at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Level of fatigue and hysical symptoms were indicators for postpartum physical health;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re assessed for postpartum mental health, and role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was for role performance. Finding indicated that health indicator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but there was no main or interaction effect for maternal employment status. There were main effects of infant's prematurity 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role functional status (self-care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postpartum health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s well as those with fullterm infant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산후 여성의 기능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under the Sanhujori)

  • 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0-419
    • /
    • 1999
  • This study sought to figure out women's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under the Sanhujori. Functioal status was defined as the women's readiness to assume infant care responsibilities and resume her usual activities including household, social and community, self-care and occupational activity. A convenience sample of 211 women who are in the postpartal period of the range from 1 week to 3 months above and residing in Seoul. Korea was studied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8 for two years. Mean age of respondents was 29.9 years and mean of the present postpartal period was 7.5 weeks. The present postpartal period was of 5-8 weeks 26.5%, 3-4weeks 26.1%, 9-12 week 23.7% and below 2 weeks 7.1%, 32.7% of women had a job and the mean period of return to job was 2.76 weeks. During Sanhujori the non professional care giver was family members from women's maiden home 73.5% and only 2% of husband. The period women needed for the recovery from now was 5.39 weeks and it means that women need 12.9weeks for recovery after childbirth. For the present subjective health status after childbirth, bad was 20.2%, good 18.3 and average 61.5% and for the recovery status, completely recovered 29.5%, slightly 61.8% and rarely 8.7%. The mean of functional status at the 7.5weeks was baby care activity 3.65, household 2.57, self-care 2.46, occupational 2.44 and social 1.53 in rank. Except baby care the functional status was generally low or very low. The related factors to the functional status were the period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Sanhujori women experienced, the present period of postpartum, and subjective feeling of recovery. This result strongly reflects the effects of Sanhujori culture and Sanhujori per se on women's postpartal life including functional status and re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Sanhujori after delivery as the previous findings from various study showed. It provides a challenge to the professional care givers to research further on the effects of Sanhujori on the health status, health recovery after abortion or delivery from the various aspects through th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for the refinement of the reality of Sanhujori not only as cultural phenomenon but as an inseparable factor influencing in women's postpartal healthy adaptation and for the appropriateness of intervention and quality of care for desirable health outcome.

  • PDF

호박 및 한방 생약재 추출물이 산모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mpkin and Medical Herb Extract Supplement on Blood Composition of the Women delivered of a child)

  • 장상문;이주백;안홍;김지향;박난영;한천지;장경호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7권1호
    • /
    • pp.45-49
    • /
    • 2002
  • 본 실험 은 한방에서 특히 산모의 산후 회복에 효과적 이라고 알려진 호박이 산욕기 산모의 혈액성상 회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호박을 주원료로 8가지 한방 생약재를 첨가하여 압출액을 만든 후분만 직후의 산모 50명 에 게 21일간 복용시키고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와 hemoglobin을 복용전과 비교하였으며 또 호박 및 한방 생 약재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과도 비교 하였다. 본 실험 의 결과 적혈구 수치 는 분만직후의 3.65 $\times$$10^{6}$/mm에 서 4.6$\times$$10^{6}$/mm로 증가하여 3.9$\times$$10^{6}$/mm인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증가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정상적인 적혈구 범 위 에 드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Hemoglobin의 경우도 분만 직후 10.35 g/dL에서 복용 21일 만에 12.61 g/dL로 증가하여 대조군인 10.88 g/dL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보여주었다 Hemoglobin수치 역시 임신 초기의 평균적인 수준을 초과하였으며 정상의 범위에 속하는 수준으로 회복하는 결과였다. 이후 적혈구와 hemeglobin 뿐 아니라 좀더 자세한 혈액성상을 연구할 과제가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 호박을 주원료로 한 한방 생약재 추출액은 분만 직후 산모의 적혈구 수치 및 hemoglobin의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목향생화탕(木香生化湯)과 목향생화탕가녹이(木香生化湯加鹿茸)이 산후회복(産後回復) 및 유즙분비(乳汁分泌)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okhyangsaenghwa-tang and Mokhyangsaenghwa-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on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 김동환;전호남;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127
    • /
    • 200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khyangsaenghwa-tang (MS) and Mokhyangsaenghwa-tang plus Cervi Pantotrichum Cornu (MS-C) on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used 18-week pregnant Spraque Dawley rats and administered the decoctions of MS and MS-C to rats once a day for 4 days or 8 days. Then we observed changes in the body weight of pup rats and complete blood cell count, liver function test, renal function test, mammary gland tissue, level of serum prolactin, ${\beta}-casein$ and WAP of postpartum rats. Result : A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weight was observed in MS-C treated pup rats compared with in MS treated group. The levels of WBC and platelet from MS group and MS-C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RBC, hemoglobin and hematocrit from MS group and MS-C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protein, albumin from MS group and MS-C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BUN, creatinine from MS group and MS-C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ammary gland tissues from MS group and MS-C group showed increased angiogenesis. The levels of serum prolactin from MS group and MS-C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beta}-casein$ and WAP genes from postpartum rats treated with MS and MS-C was increas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MS and MS-C improved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in ra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