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 심리적 건강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23초

사회심리적 건강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 김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4-31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PWI to utility of PWI. this newly developed by Sejin Jang which measures stress. The subject were 186 workers in service area. Cronbach's a and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is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PWI.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of the GHQ-60. GHQ-30, GHQ-28, GHQ-20, and GHQ-12 with the PWI is used to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data was 0.894 and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as 0.7097. The PWI was classified as 13 principle component (eigenvalue>1.0). After exploring 4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previous study result, 4 factors was explained 40.5% out of the total variance. The factor 1 was explained 15.9% and then the rest three factor was 24.6%. Factor 2 and 4 showed good agreement but factor 1 and 3 did not. Depression-related items were classified two factors. Anxiety and depression-related items were loaded unifactor. It was not clear that the PWI was consist of 4 concepts(factors). The correlation of the GHQ-60, GHQ-30, GHQ-28, GHQ-20, and GHQ-12 with the PWI were 0.744~0.905. According to findings of this study. the PWI showed a high degre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PWI in general setting for screening for str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further study. it my be considered to the factor structure of PWI and studied to two or un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 PDF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사무직 및 생산직 근로자들에서의 스트레스 평가 (The Assessment of Stress betwee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by using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 허성옥;장성실;구정완;박정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609-61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tress state an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in 967 white collar workers and 275 blue collar workers by using Psycosocial Well-being Index.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the white collar workers and blue collar workers, young age, low education and low income groups had high scores of stress, while in white collar workers, female had high scores of stress but in blue collar workers, male had high scores of stress. 2. According to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mild stress sto were 73.9% and 53.1%, high risk stress state were 8.9% and 44.4%, and healthy state were 17.2% and 2.6% in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ers respectively. 3. The total stress score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factors of depression, social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general well-being and vitality, and sleeping disturbance and anxiety in order. 4. In reliability test of stress factor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of depression, social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general well-being and vitality, and sleeping disturbance and anxiety were 0.89, 0.81, 0.79, and 0.74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age, sex, marital status, income, education, sleeping time, smoking and exercise habit were associated with stress score, all of the above factors should considered to occupational health.

  • PDF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 윤현숙;조영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5호
    • /
    • pp.351-362
    • /
    • 200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assess the mental health of nurses working for university hospitals and to establish which factors determine their mental health.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86 nurses employed in six participating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between July 1 st and August 31st, 2006.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sociodemographic, job-related, and psychosocial factors, with job stress factors (JCQ)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dices of mental health status (PWI, SDS and MFS) as dependent variable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hi-square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ed for determining the factors effecting mental health. The influence of psychosocial and job-related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was assess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status among subject nurs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number of hours of sleep, number of hours of leisur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job-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tatus, job satisfaction, job suitability, stresses such as demands of the job, autonomy, and coworker support; and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Psychosocial facto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mental healt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determined that psychosocial factors affected job stress levels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that the lower job stress levels were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status among nurses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manage job stress factors and/or psychosocial factor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어머니의 비만여부에 따른 딸의 비만지표, 사회심리적 건강지수, 영양소 섭취 비교 (A Comparative Study Examining the Obesity Indices,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cores, and Nutrient Intakes of Daughters According to Their Mother's Degree of Obesity)

  • 조강옥;김연수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a mother's degree of obesity has on her daughter's obesity index,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and nutrient intakes. The daughters, as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her's body mass index (BMI): an obese group [BMI>25 kg/m$^2$, mother obesity group (MOG)] and a normal weight group [BMI<25 kg/m$^2$, mother normal weight group (MNG)]. The daughters in MO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 ideal body weight values than the daughters in MNG (p<0.001). MOG and MNG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cores in terms of being classified into a highly stressed group (p<0.001), potentially stressed group (p<0.05), and healthy group (p<0.001). Intakes of daily energy, protein, fat, thiamin, riboflavin, niacin, phosphorus, and ir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between MOG and MNG. In particular, the vitamin A and C intakes of the MNG daught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G daughters (p<0.001).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a mother's level of obesity was essentially related to her daughter's obesity index,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core, and nutrient intakes.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for mothers to maintain an ideal body weight to prevent obesity and diet related problems in their daughters.

  • PDF

클로닌저의 생리심리사회 모델에서 위험회피-자율성 프로파일에 따른 다면적 정신건강 특성 (Multi-Phasic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m-Avoidance and Self-Directedness Profile of Cloninger's Biopsychosocial Model)

  • 채한;이수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9-266
    • /
    • 2022
  • Objectives: The combination of Harm-Avoidance (HA) and Self-Directedness (SD)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has been reported pivotal for mental health; however its clinical usefulness in integrative medicine has not sufficiently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multi-phasic mental health of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life,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pathology, following the HA-SD profile groups. Methods: A total of 527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HA and SD scores as to render their HA-SD profile, and multi-phasic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using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ith composite well-being scales of SC (Sum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veness score) and HI (Happiness Index, subtraction of Negative Affect (NA) score from Positive Affect (PA) score) as standardized.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repor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ANCOVA with age and sex as covariates,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between the HA-SD profile groups. Results: The HA-SD profile groups showed distinctive multi-phasic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scores of SWLS, PA, SC and HI decreased following the order of hS (low HA and high SD), HS (high HA and high SD), hs (low HA and low SD) and Hs (high HA and low SD) profile groups; however the non-health related scores of NA and BDI showed contrasting order. Conclusions: The HA-SD profile was found to be clinically useful for examining multi-phasic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tatus, and the TCI may be an imper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integrative medicine.

만성 요통 환자와 요통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의 척추 뼈분절의 압통 역치 수준 비교와 만성 요통 환자에 통증 수준,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적 수준 간에 상관성 (Comparison of the Pressure Pain Thresholds the Vertebral Segments Between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nd Healthy Individuals, and Correlation Between Pain,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 유진영;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3-84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ressure pain thresholds (PPTs) in the vertebral segments between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CLBP) and healthy participants without back pain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ertebral bone-segment PPT and pain level, lower back pain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patients with CLBP.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healthy adults and 23 adults with CLBP. PPT was measured in 23 spinal bone segments using a PPT device, and the CLBP group was subjected to a pain level test (NRS) and a psychological test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catastrophizing scale (KPCS). The functional level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Results: PPTs of the spinal sclerotom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LBP than in healthy participants. In the CLBP group, the composite score of lumbar PPT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omposite scores for all segments, but not with the pain level (NRS), KPCS score, and spinal sclerotome PPT. Moreover, PPT in the sacral sclerotom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function, with a KODI score of -.462 (p<.01). Conclusion: In this study, PPTs in all spinal segments in patients with CLB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healthy subjects. The PPTs of the lumbar reg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PTs of other spinal reg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hanges in PPTs in CLBP patients not only in the lumbar region but also in other spinal regions. This in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during clin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PDF

한국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일본, 중국과의 비교를 토대로 (Body Imag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a Cross-National Study Focusing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 김완석;유연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301-32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일본 남녀 대학생들의 신체가치관과 신체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n=347), 중국(n=341), 일본(n=271)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에 대한 가치관인 신체조작성, 신체편향성, 신체평가소재, 외모도구성과 객체화 신체의식 그리고 신체존중감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신체가치관과 객체화 신체의식, 외모존중감에서 국가간 차이가 있었다. 한국대학생들은 신체에 대한 자의적 조작에 가장 허용적이며, 건강보다는 외모를 중요한 것으로 믿으며, 자신의 신체를 타인의 관점에서 평가하며, 외모가 이성관계나 사회적 성취에서 도구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믿는 정도가 일본이나 중국대학생에 비해 높아서 삼국 중 가장 덜 보수적인 신체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외모존중감은 중국대학생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일본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감시성과 수치심은 일본대학생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중국대학생에 비해서는 높았다. 성별 차이에 관해, 여대생은 남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에 비해 외모를 더 중요한 것으로 믿고 있으며, 외모존중감이 더 낮으며, 감시성이나 수치심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신체가치관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외모존중감이나 객체화신체의식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볼 때, 한국여대생은 신체가치관은 가장 덜 보수적이었으며, 외모존중감과 객체화 신체의식은 중국여대생과 일본여대생의 중간수준이었다. 일본여대생은 특히 외모존중감이 가장 낮고 신체에 대한 감시성과 수치심이 가장 높아서 가장 부정적인 신체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여대생은 가장 보수적인 신체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외모존중감이 한국과 일본여대생에 비해 높고 감시성이나 수치심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일본표본에서 신체가치관은 객체화 신체의식의 매개과정을 통해 외모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표본에서는 신체가치관이 외모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Is 'Life Satisfaction' satisfactory?: Complementing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 김정호;유제민;서경현;임성견;김선주;김미리혜;공수자;강태영;이지선;황정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87-20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김정호 등의 동기상태이론에 기초해서, 주관적 웰빙의 인지적 요소의 측정으로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삶의 만족척도 외에 삶의 기대척도를 추가한 김정호(2007)의 연구를 확장하여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는 삶의 기대척도 외에 삶의 만족을 위한 동기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삶의 동기척도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는 모두 286명의 남녀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 주관적 웰빙의 구성요소로 삶의 만족과 삶의 기대가 독립적으로 구분이 되는지 보기 위해 각각의 측정에 사용되는 총 10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족척도와 삶의 기대척도의 문항들이 두 개의 요인으로 잘 구분되었다. 특히 삶의 만족척도뿐만 아니라 삶의 기대척도도 별도의 집단을 통한 검사-재검사에서 좋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웰빙과 관련된 변인의 설명에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및 삶의 동기가 유의한 예측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이 주요한 예측변인이었고 삶의 기대가 추가적으로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예외적으로 특성분노의 경우에는 삶의 동기가 주요한 예측변인이었다. 셋째, 삶의 동기,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웰빙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우울, 특성불안, 특성분노, 부정정서 등의 설명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동기상태이론의 입장에서 주관적 웰빙의 측정에서 삶의 기대의 포함이 갖는 중요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PDF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a Korean Folk Tal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김지연
    • 심성연구
    • /
    • 제32권2호
    • /
    • pp.122-168
    • /
    • 2017
  • 한국 민담 <외쪽이>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외쪽이> 민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에 유화가 있다. 대상 민담을 보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수태 음식 두 개 반을 먹고 온전한 아들 두 명과 팔도 하나, 다리도 하나, 눈도 하나인 반쪽 아들을 낳았다. 형들은 과거 보러갈 때 외쪽이가 따라오는 것을 싫어해서 바위와 나무에 묶어 놓지만, 외쪽이는 힘이 세서 쑥 뽑아서 집의 뜰에 가져다 놓았다. 형들은 외쪽이를 칡으로 묶어서 호랑이 앞에 던져 놓지만 외쪽이는 호랑이와 칡 끊기 내기에서 이겨 호랑이 가죽을 벗겨 돌아온다. 호랑이 가죽을 탐낸 숙소 주인과 장기 내기에서 이겨 주인의 딸을 데려오기로 하고 노끈과 북, 벼룩, 빈대를 가지고 가서 주인집 사람들을 곯려주고 처녀를 데려와서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부처에게 비는 제시부는 창조성이 고갈된 의식의 한계 상황에서 의식의 자아가 무의식에 겸허한 태도를 취하며 정신의 자발적 활동을 기다리는 태도이다. 하얀 영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는데 고양이가 와서 반 마리를 먹어서 부인은 고기를 두 마리와 반 마리만 먹고 온전한 아들 둘과 막내 아들 외쪽이를 낳는다. 노현자 상으로 나타난 정신(Geist)과 고양이로 나타난 동물적 본성이 작용하여 무의식에서 낯설고 새로운 형상을 지닌 정신적 내용이 생성되었다. 반쪽 존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신과 정령이 반쪽만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창조 신화에서 반쪽 존재는 생식 능력이 없지만, 죽지 않고 불멸한다고 전해진다. 인도네시아와 아프리카의 설화에서는 반쪽으로 태어난 소년이 하늘나라에 가서 자신의 반쪽을 만나 합쳐져서 온전한 몸이 된다. 반쪽 정령이 인간에게 해로운 경우도 있지만, 반쪽만 있는 새, 닭, 정령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야기도 있다. 반쪽 존재는 하늘에서 곡식을 훔쳐 오거나 대나무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오는 문화영웅이다. 반쪽 존재가 나중에 온전한 몸이 되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상 민담과 대부분의 유화에서는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쪽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외쪽이는 무의식에서 태어난 정신적 체험의 상징이다. 형들이 외쪽이를 싫어하는 것에서 보이듯이 무의식의 내용은 처음에는 이상하고 기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집단적 의식은 무의식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지만 새로운 정신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의식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외쪽이는 호랑이를 퇴치하고 호랑이 가죽을 벗겨 오는데 호랑이는 집어 삼키려는 무의식이며 집단적 무의식의 부정적 모성 원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괴물이다. 숙소 주인의 딸을 데려올 때 외쪽이는 떨어져 있는 것을 연결해 주는 끈과 음악과 무속에 쓰이는 악기, 하찮아 보이는 벌레를 들고 가서 점잖은 척 하는 사람들을 놀려주는 동시에 활기와 창조성을 가져다준다. 외쪽이는 트릭스터로서 유교적 신분 사회였던 우리 사회의 집단적 의식을 보상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진다. 외쪽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상 혹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주며 그전에 없던 것을 가져다 주는 문화 영웅이기도 한 정신적 내용으로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며 점차 드러날 심성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Child Abuse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Cause of the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 이경숙;박진아;최명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27-252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보육교사 514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목격 시 대처방안,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상담 관련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중 92명(17.9%)이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으며, 목격 후 대처방안으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학대 받은 영유아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주었다', 원장의 경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보육은 담당교사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어서', 원장 학대의 경우 '신고 후 부과될 책임이나 역할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직무스트레스, 과다한 업무, 보육교사 정신건강 문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 판정 시, 필요한 후속조치로 보육교사의 경우 '교사 자격정지', 영유아 및 부모의 경우 '영유아 대상 심리평가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 상담 기관이 신설된다면, 보육교사 중 457명(88.9%)이 사용할 의사가 있으며 본인의 아동학대 신고의사 결정 및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고, 설치 장소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상담실'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 중 490명(95.3%)이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상담요원(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이 필요하며, 담당 역할은 '영유아 대상 전문적 심리평가 및 사례판정', 자격요건으로는 대졸이상, 심리학 및 아동학 전공, 3년-5년 경력, 자격증 보유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전문적 상담 실시'을 요구하였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