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terpretation of a Korean Folk Tal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 Ji Youn Kim (Good Mind Psychiatry Clinic, C.G. Jung Institute of Korea)
  • 김지연 (좋은마음정신건강의학과의원, 한국융연구원)
  • Received : 2017.10.23
  • Accepted : 2017.12.12
  • Published : 2017.12.25

Abstract

I tried to understand a folk tale "The half-boy" in terms of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story, a lady without children prayed to the Buddha. The white old man came and gave three fishes, but the cat ate half of it. So, she ate two and a half. She gave birth to two perfect sons. The third son had one arm, one leg, and one eye. They grew well. Brothers went to tak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he half-boy followed. But two brothers did not like the half-boy coming along. So, brothers tied the half-boy to the rocks and trees, and he picked them up with force and gave them down to the yard of the house. And the half-boy followed his brothers again, and brothers tied him with kudzu and put him in front of the tiger. The half-boy won the tiger by betting with cutting kudzu. The half-boy stripped off the tiger's skin. The host coveted the tiger skin and they played with janggi. The half-boy won the game and was permitted to take host's daughter. The half-boy went with a string, a drum, a flea, and a bedbug. He teased host's people with these. The half-boy brought a virgin and lived well. "The Half-Boy" folktale is an old stor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ere are similar stories in India and Africa. Unilateral figures are universally distributed archetypal images. In numerous cultures gods and spirits are being portrayed as unilateral figures. In the creation mythology, half-figure beings have immortality. In Indonesian and African folk tales, the half-born boy goes to heaven and merges with its half and becomes perfect. Some of one-sided spirits are harmful to humans but some of one-sided birds, chickens, and spirits are helpful to people. Sometimes half being is a cultural hero who steals grain from heaven or gets some advice how to use bamboo. There are stories that half body becomes a whole body afterwards. But in this folktale and most of the similar folktales, half-figure does not change and maintains half-figure to the end. And as a half-figure he does various great things and marries a virgin. The half-boy symbolizes a psychic experience born in the unconscious. The unconscious contents may seem strange and weird at first an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does not want to accept them. But the unconscious exerts greater power and brings vitality and creativity to consciousness. This folk tale seems to have compensated for the stubborn collective consciousness of our society, which was a Confucian class society. It also allows people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and recognize strengths and creativity of the handicapped.

한국 민담 <외쪽이>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외쪽이> 민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에 유화가 있다. 대상 민담을 보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수태 음식 두 개 반을 먹고 온전한 아들 두 명과 팔도 하나, 다리도 하나, 눈도 하나인 반쪽 아들을 낳았다. 형들은 과거 보러갈 때 외쪽이가 따라오는 것을 싫어해서 바위와 나무에 묶어 놓지만, 외쪽이는 힘이 세서 쑥 뽑아서 집의 뜰에 가져다 놓았다. 형들은 외쪽이를 칡으로 묶어서 호랑이 앞에 던져 놓지만 외쪽이는 호랑이와 칡 끊기 내기에서 이겨 호랑이 가죽을 벗겨 돌아온다. 호랑이 가죽을 탐낸 숙소 주인과 장기 내기에서 이겨 주인의 딸을 데려오기로 하고 노끈과 북, 벼룩, 빈대를 가지고 가서 주인집 사람들을 곯려주고 처녀를 데려와서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부처에게 비는 제시부는 창조성이 고갈된 의식의 한계 상황에서 의식의 자아가 무의식에 겸허한 태도를 취하며 정신의 자발적 활동을 기다리는 태도이다. 하얀 영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는데 고양이가 와서 반 마리를 먹어서 부인은 고기를 두 마리와 반 마리만 먹고 온전한 아들 둘과 막내 아들 외쪽이를 낳는다. 노현자 상으로 나타난 정신(Geist)과 고양이로 나타난 동물적 본성이 작용하여 무의식에서 낯설고 새로운 형상을 지닌 정신적 내용이 생성되었다. 반쪽 존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신과 정령이 반쪽만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창조 신화에서 반쪽 존재는 생식 능력이 없지만, 죽지 않고 불멸한다고 전해진다. 인도네시아와 아프리카의 설화에서는 반쪽으로 태어난 소년이 하늘나라에 가서 자신의 반쪽을 만나 합쳐져서 온전한 몸이 된다. 반쪽 정령이 인간에게 해로운 경우도 있지만, 반쪽만 있는 새, 닭, 정령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야기도 있다. 반쪽 존재는 하늘에서 곡식을 훔쳐 오거나 대나무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오는 문화영웅이다. 반쪽 존재가 나중에 온전한 몸이 되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상 민담과 대부분의 유화에서는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쪽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외쪽이는 무의식에서 태어난 정신적 체험의 상징이다. 형들이 외쪽이를 싫어하는 것에서 보이듯이 무의식의 내용은 처음에는 이상하고 기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집단적 의식은 무의식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지만 새로운 정신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의식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외쪽이는 호랑이를 퇴치하고 호랑이 가죽을 벗겨 오는데 호랑이는 집어 삼키려는 무의식이며 집단적 무의식의 부정적 모성 원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괴물이다. 숙소 주인의 딸을 데려올 때 외쪽이는 떨어져 있는 것을 연결해 주는 끈과 음악과 무속에 쓰이는 악기, 하찮아 보이는 벌레를 들고 가서 점잖은 척 하는 사람들을 놀려주는 동시에 활기와 창조성을 가져다준다. 외쪽이는 트릭스터로서 유교적 신분 사회였던 우리 사회의 집단적 의식을 보상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진다. 외쪽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상 혹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주며 그전에 없던 것을 가져다 주는 문화 영웅이기도 한 정신적 내용으로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며 점차 드러날 심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금자(2012) : "<외쪽이 설화>의 공간구조 연구", 석사학위논문(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 김기호(2004) : "반쪽이 설화의 심리적 전이구조와 의미", ≪인문연구≫.
  3. 김나영(2006) : "비틀어진 인물 형상을 통한 인식의 전환과 변신의 의미 확장 가능성외쪽이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13.
  4. 김선자(2011) : ≪김선자의 이야기 중국신화(하)≫, 웅진씽크빅, 서울.
  5. 김인규 : 국립중앙과학관 : 포유류×양서×파충류정보,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2091&cid=46677&categoryId=46677
  6. 김환희(2013) : "한국 <반쪽이> 설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에 관한 비교연구", ≪민족문화연구≫, 58.
  7. 김환희(2013)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8. 네이버 지식백과 : 생활 속의 우리 나무.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76652&cid=46690&categoryId=46690.
  9. 노영근(2007) : "민담 각편 형성 원리에 대한 실증적 연구-반쪽이 유형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38.
  10. 두리안 스케가와/이수미 옮김(2015) : ≪앙 : 단팥 인생 이야기≫, 은행나무, 서울.
  11. 변현단(2010) : ≪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 약이 되는 잡초음식≫, 들녘, 서울.
  12. 손진태, 최인학 편(2009) : ≪조선설화집≫, 민속원, 서울.
  13. 솔 뫼(2010) : ≪약초도감≫, 넥서스BOOKS, 서울.
  14. 신동흔(2014) : ≪살아있는 한국 신화≫, 한겨레출판, 서울.
  15. 신연우(2002) : "<외쪽이 설화>와 <지하국대적퇴치 설화>에 보이는 자아의 자기실현양상", ≪열상고전연구≫, 15.
  16. 안인희(2007) : ≪북유럽신화1≫, 웅진지식하우스, 서울.
  17. 이기문(편)(1980) : 속담사전. 일조각, 서울.
  18. 이부영(2011) : ≪분석심리학 : C.G. 융의 인간심성론≫ 제3판, 일조각, 서울.
  19. 이부영(2011)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파주.
  20. 이부영(2012) :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길사, 파주.
  21. 임석재(1987) : ≪임석재전집1≫, 평민사, 서울, pp114-115.
  22. 임석재, 이보형(1986) : ≪풍물굿, 한국인의 놀이와 제의≫, 평민사, 서울.
  23. 정영림 편역(2011) : ≪반쪽이 삼파파스≫, 창비, 파주.
  24. 조준호(2013) : "반쪽이 전래동화에 나타난 설화의 의미 변용 연구", ≪한국문예창작학과≫, 12(2).
  25. 조희웅(1996) :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서울.
  26.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1992) :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서울, p222.
  27. 한국사전연구사(1998) : ≪종교학대사전≫ Retri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0530&cid=50766&categoryId=50794
  28. Brosse J/주향은 역(2007) : ≪나무의 신화≫, 이학사, 서울.
  29. Calvino I/이현경 역(2014) : ≪반쪼가리 자작≫, 민음사, 서울.
  30. Cooper JC/이윤기 옮김(2001) :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서울.
  31. Eliade M/최건원, 임왕준 역(2006) : ≪메피스토펠레스와 양성인≫, 문학동네, 파주.
  32. Huizinga J/이종인 역(2010) :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고양.
  33. Jensen A, Niggemeyer H/이혜정 역(2014) : ≪하이누웰레 신화≫, 뮤진트리, 서울.
  34. Jung CG/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2001) : 융 기본저작집 1권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 서울.
  35. Jung CG/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2002) : 융 기본저작집 2권 ≪원형과 무의식≫, 솔, 서울.
  36. Jung CG/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2004) : 융 기본저작집 3권 ≪인격과 전이≫, 솔, 서울.
  37. Jung CG/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2004) : 융 기본저작집 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 서울.
  38. Ness P, Dowd S/홍한별 옮김(2012) : ≪몬스터 콜스≫, 웅진주니어, 서울.
  39. Platon/강철웅 옮김(2016) : ≪향연≫, 이제이북스, 서울.
  40. Victor T/박근원 옮김(2005) : ≪의례의 과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서울.
  41. Archive for Research in Archetypal Symbolism(2010) : The Book of Symbols, ed. by Ronnberg A, Taschen, Koln.
  42. Ashliman DL(1987) : A guide to folktales in the English language, Greenwood Press, Conneticut.
  43. Frazer JG(2013) : The Great Flood, Jason Colavito, New York.
  44. Hambruch P(2014) : Malaiische Marchen aus Madagaskar und Insulinde, 3. Aufl., Holzinger, Berlin.
  45. Hannah B(1992) : The Cat, Dog and Horse Lectures, Chiron Publications, Illinois.
  46. Jung CG(1956) : CW 5, Symbols of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47. Jung CG (1969) : CW 11, "Psychotherapists or the Clergy", Psychology and Religion : West and E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48. Jung CG, Radin P(1956) : "On the Psychology of the Trickster Cycle", The Trickster, Schocken Books, New York.
  49. Lang A(1966) : The Violet Fairy Book. Dover Publications, New York, pp345-355.
  50. Needham R(1980) : Reconnaissanc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51. Rose C(1996) : Spirits, Fairies, Leprechauns, and Goblins: An Encyclopedia, Norton, New York.
  52. Schoffeleers M(1991) : "Twins and Unilateral Figures in Central and Southern Africa: Symmetry and Asymmetry in the Symbolization of the Sacred". Journal of Religion in Africa 21.
  53. Steel FA and Temple RC(1884) : "Prince Half-a-son." Wide-Awake Stories : a Collection of Tales Told by Little Children, Between Sunset and Sunrise, in the Panjab and Kashimir, MacMillan and Co., London, pp383-384.
  54. Thomson S(1960) :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Vol 6.1,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55. Thomson S(1960) :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Vol 6.2,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56. Von Beit H(von Franz ML) (1981) : Symbolik des Marchens, 6. Aufl., Fancke Verlag, Bern.
  57. Von Franz ML (1992) : Psyche and Matter, Shambhala, Boston.
  58. Von Franz ML (1996) :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Shambhala, Boston & London.
  59. Von Franz ML (1999). The Cat : A Tale of Feminine Redemption, Inner City Books, Toron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