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학습이론

Search Result 37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Analysis of Education Implemen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예비과학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실행 분석: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성 이론 접목을 중심으로)

  • Yeon-A, S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5 no.3
    • /
    • pp.391-409
    • /
    • 2022
  • In this study, class demonstrations conducted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the main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In addi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such education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ultidimens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in ES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er evaluation of class materials and class demonstrations design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average of the integration for 'sustainable happiness' was relatively high. Next,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sidered individual and social behavioral patterns as important in the sense of ESD. Regarding the need to integrate science education and ES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ought it wa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cience education to understand a sustainable way of life.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fidence in incorporating ESD in science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participation in the stud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more about the role of teachers who can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think about happy lives together than before. Overall, it is thought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of multidimensional science teacher professionalis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f the new ESD, which integrat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Animation Education as VCAE in the Digital Age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 Park, Yoo Shi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5
    • /
    • pp.29-65
    • /
    • 2014
  •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seems to be the new paradigm for art education after postmodernism. Getting beyond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VCAE has expanded its scope of interest to include the visual environment that surrounds our life, thus pushing the boundary of art education beyond the traditional fine arts to cover pop culture and visual art. VCAE shares the issues as well as a lot of elem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 fact serves as a major theoretic background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at it pays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mages and emphasizes visual literacy and constructionist learning.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lated issues of VCAE with a view to presenting a direction for animation education, which is gaining in importance coming into the Age of Digital Media. VCAE was born in the progressive cultural atmosphere from the 1970s and thereafter, and its gist consists in figuring out visual artifacts and their action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 and social life. Yet, VCAE continues with it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nging aspects of visual culture, and currently, it is expanding its scope of interest to cover the 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in visual culture and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Digital Age, animation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center of the visual culture, being a form that goes beyond an art genre or technology to realize images throughout the visual culture. Also, VCAE, which has so far emphasized visual communication and critical reading of culture, would need to reflect the new aspects of the visual culture in digital animation across the entire gamut from experiencing to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rt education. In this paper, I emphasize on Cross-Curricula, social reconstruction, the expansion of animation education, interests in animation as a digital media, and animation literacy. A study of animat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CAE will not onl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animation education, but also enrich the content of VCAE, traditionally focused on critical text reading, and promote its contemporary and futuristic orientation.

A study on linguistic the validity of characteristics and picture test inventories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과 그림검사의 타당도 연구)

  • Lee, Dal-Yob;Noh, Im-Dae;Lee, Seung-Woo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4a
    • /
    • pp.497-531
    • /
    • 2002
  • It is very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to deal with psychological aspec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fforts improving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 majority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situation of Korea have difficulty in having and maintaining a job. Work should and would be a source of self-respect and material well-being in this modern society.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measures in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of constructional concepts of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that have been utilized for the segregated groups of people such as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icture interest test inventories seemed to be valid for measuring psychologic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is finding can be extended to the group of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mild/moderate behavioral deficits. The Holland classification system seemed to be best fitted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 PDF

The Effects of Empathy and Perceived Preceptor's Empathy o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신규간호사의 공감수준과 인지된 프리셉터의 공감수준이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Ju-Hee;Lee, Sang-Ok;Kim, S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313-32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ew graduate nurses' empathy and their perceived preceptors' empathy o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new graduate nurses who were under 12 months old while working at three medical institutions that operated the preceptorship. In the preceptorship according to adult learning theory, the preceptors need to create a psychological environment for the new graduate nurses, and their empathy should be perceived by new graduate nur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ew graduate nurses group with high level of empathy had high levels of job satisfaction, low job stress, and low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and the level of empathy affects job satisfaction of new graduate nurses. The new graduate nurses group with low level of perceived preceptor's empathy had low job satisfaction, high job stress, and high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and their perceived preceptor's empathy affecte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ntroduction of a program to enhance empathy for new graduate nurses and preceptor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f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in Korea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연구)

  • Kang, Chul-Hee;Kim, Mi-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2
    • /
    • pp.5-38
    • /
    • 2007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theory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in Korea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s have in-depth interviews with 11 exemplary wealthy major donors who have more than one million US dollars in his or her own asset and donate more than ten thousand US dollars annually. In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161 concepts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and the concepts are categorized with 33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In the paradigm model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it is identifi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practicing sharing lives as noblesse oblige', is related with the causal conditions such as 'learning through memories and observation', 'realizing my duties', and 'emphasizing'; and the central phenomenon is related with the contingent conditions such as 'being sensitive to external evaluation', 'having limited information on giving', 'distrusting donation related environments'. The action/interactional sequences such as 'utilizing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active participation' are accomplished by moderating conditions such as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s' and 'guiding by firm conviction'. It reveals that as a result, wealthy major donors enjoy the feeling of becoming a ideal and true wealthy person, establish sharing lives as firm and major parts of overall lives, and experience strong desires for better future and society. In this study, 'generous sharing that shares personal heritages and social benefits' is analyzed as a core category; it shows that sharing of wealthy major donor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osity practice based on moral self-benefiting rather than complete altruistic characteristics or self-sacrificial characteristics. The process analysis reveals that it has the following stages: first, initial giving by exposure to causes or requests; second, routine practice of giving; third, evolution of practice of giving with gradual expansion in quantities and qualities; and fourth, living with giving. In the process, the following four types are identified: devoted wealthy donors for sharing,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in daily life,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with learning on external stimulus, and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on empathy.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both meanings of identifying and developing a theory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in cultivating and developing potential wealthy major donors in Korea.

  • PDF

Effects of Group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Motor Function, ADLs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Case Study (과제지향적순환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 Ko, Myung-Sook;Jeon, Hye-Seon;Hwang, Su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894-190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TOCT) based on motor learning applied in conjunction with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on functional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Six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for a duration of 31 weeks. Treatment outcomes were assessed via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the Berg Balance Scale,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 (AMPS), and the Stroke Impact Scale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mpairment,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mood and emotion after group TOCT. The results of AMPS indicated an improvement in the motor area in 3 of the subjects. In the process area, 4 of the subjects exhibite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CT is beneficial to physical functions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in community-dwelling.

STEAM education cases study analysis using Open Source : Focusing on the use of the Knitting Machine (오픈소스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STEAM) 사례분석 연구 : 니팅기의 활용을 중심으로)

  • Park, Ji-Hoon;Nam, Won-Suk;Jang, Joong-Si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2
    • /
    • pp.199-204
    • /
    • 201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xpected effects and implications of STEAM education using open source-based knitwear to be designed as an open source task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trends and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STEAM education using open sourc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s a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STEAM education using open source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social interest in STEAM education using open source was confirmed to be increasing, and the education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interest,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ducation were visible.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e expected effects of using an open source made knitter are presented and the design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EAM training to be designed in the future are reviewed.

The Effects of a Stag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 Kim, Jae-Hee;Lee, Yu-Jeong;Kang, Seong-Mi;Oh, Yu-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131-5139
    • /
    • 2014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5 children in the first to third grade selected from 4 primary schools. Among them, 212 children belo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3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provided respectively to first, third and fifth grade children for 2, 4 and 6 teaching-hours from 2013.1.1 to 2013.12.19.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n/toward smoking, self-concept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Before and after program-implemen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smoking, but no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self-concep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should be applied step-by-step in conjunction with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program should aim for long-term effects rather than short-term effects.

An Analytical Study on the Philosophy on Curriculum and the Knowledge-based Viewpoint of Amended Curriculum for Optional Subject of Computer in Secondary School for 2007 (중·고 컴퓨터 선택과목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철학 및 지식관 분석 연구)

  • Kim, Tae-Gyun;Kang, Shin-Che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5
    • /
    • pp.1-9
    • /
    • 2007
  • Although the need for overall amendment of curriculums recognized, tentative plan for amendment is being established without improving the sense of satisfaction of the users of curriculums from the nation-wide dimension and without review on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psychological viewpoints on curriculum with focus on curriculums that reflects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until the tentative plans for amendment of computer subject is made at the time of amendment. Therefore, new/old curriculums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from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viewpoint of curriculums in order to definitively establish status and identity of curriculum, and to cope with changes in educational system. It can be seen from the outcome of such comparative analysis that goals of the philosophical viewpoint of amended curriculum had been defined as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while that for the knowledge-based viewpoint on constructivism and cognitiv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