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교환이론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4초

서비스 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 (The Exploring of Servant Leadership's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ervice Industry)

  • 방용태
    • 서비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89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Bandura의 사회적 학습 이론과 Blau의 사회적 교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하였다. 사회적 학습 이론에 의하면,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매력적인 역할모범의 태도와 가치관, 행동을 모범으로 삼아 학습을 하며, 사회적 교환 이론에 따르면, 상호주의의 규범에 입각하여 개인이 타인에게 유익한 편익을 제공해주면 수혜자인 타인은 그 편익에 보답할 의무를 갖게 된다고 한다. 항공사 승무원 직종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과 사회적 교환 차원이 하위직급 리더(사무장)에 대한 부하의 신뢰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리더신뢰에 대해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이 사회적 교환 차원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반면, 부하의 직무몰입에 대한 영향력은 그 반대임이 밝혀졌다. 이런 분석 결과는 서번트 리더의 섬김의 언행을 학습하려는 것이 리더에 대한 부하의 신뢰를 한층 공고히 하는데 보다 주효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사회적 교환을 위한 서번트 리더의 언행은 팀 구성원으로서 자기 몫을 다하려는 부하의 직무몰입에 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는 항공운송서비스라고 하는 특정 서비스산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의 보편성에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향후 서번트 리더십을 포함한 리더십 연구 및 조직 연구 전반에 걸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사회적 학습 이론 및 사회적 교환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연구 분석의 새로운 틀의 출현을 가져올 이론적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자본이론을 통한 사회마케팅의 응용확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장실패와 복잡한 교환의 맥락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pplication Extension of Social Marketing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 여운승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7권2호
    • /
    • pp.23-46
    • /
    • 2005
  • 사회마케팅은 1960년대 후반에 마케팅 개념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주류 마케팅관리학파에 속하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이 제기되면서 태동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회마케팅 종사자들은 주로 전통적인 마케팅 수단에 의존하여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데 응용하여왔다. 그러나 사회마케팅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문헌을 보면 사회마케팅 종사자들이 상업마케팅의 경우와는 매우 상이한 상황이라 할 수 있는 시장실패와 복잡한 교환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마케팅은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전통적인 수단만으로는 사회적 문제를 충분히 다룰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이론이 시장실패와 복잡한 교환현상은 물론 행동변화와 사회적 현상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마케팅 종사자들에게 유용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사회자본이론을 사회마케팅에 원용하면 사회마케팅 종사자들이 유익한 행동변화를 추구하는데 하나의 지침이 될 것이다.

  • PDF

온라인 커뮤니티 교환구조, 결속력, 교환혜택에 관한 연구 (Reciprocity Structure, Solidarity, and Exchange Benefits in Online Communities)

  • 한은영;김경규;이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48-462
    • /
    • 2021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교환구조가 커뮤니티 결속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더욱이 이 연구들은 서로 상충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재조명하기 위해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커뮤니티 내 교환구조를 직접적 및 일반적 교환구조로 분류하고, 일반적 교환구조의 결정요인으로 지식의 분산도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상충된 연구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교환혜택을 조절변수로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네이버에서 활동하는 380개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식의 분산도는 일반적 교환구조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적, 일반적 교환구조 모두 커뮤니티 결속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이 관계는 교환혜택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환혜택이 높은 그룹에서는 일반적 교환구조가 직접적 교환구조보다 커뮤니티 결속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반면, 교환혜택이 낮은 그룹에서는 두 교환구조의 영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물류서비스기업의 사회적 교환행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고인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70
    • /
    • 2021
  •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로 관광·항공업계가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항공업계의 대안 중 하나는 화물운송이다. 항공사들은 여객수요 급감으로 인한 매출감소 폭을 줄이기 위하여 화물운송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은 타 운송과 구분되는 제반 특성으로 인하여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 대리점(forwarder)은 수출과 수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인 항공사와 수출입자와 우호적인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계속 유지해야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은 이러한 관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거래당사자 간의 거래규모나 거래기간, 거래빈도 등의 유형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신뢰와 몰입, 애착 등의 무형적인 측면의 교환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서비스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과의 사회적 교환행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한다. 둘째, 이러한 사회적 교환행동이 물류서비스기업의 다양한 경영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각 구성원 간의 관계기간에 따라서 이러한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많은 기존연구에서 구분되었던 신뢰(trust)와 몰입(commitment) 개념을 통합함으로써 연구모형의 간결성(parsimony)과 실용가능성(practicality)을 제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에 대한 물류서비스기업의 사회적 행동이 신뢰에 기반한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지, 경영성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관계기간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창업 물류서비스기업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 Park, Jonghy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69-276
    • /
    • 2020
  • 최근 조직에 이익이 되는 비윤리적 행동을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이라 정의하고 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리더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 및 사회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파악하였다. 10개 서울 및 수도권 기업 9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의 발휘가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영향관계의 검증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 발휘의 의도치 않은 부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제고 및 효과적인 윤리적 리더십 발휘를 위한 방안,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on Old-Age Security)

  • 이상림;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5권1호
    • /
    • pp.83-111
    • /
    • 2002
  •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중년층의 노부모 부양관이 세대간 지원관계와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대관계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환이론적 접근을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검증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수집한 김두섭 외(2000) 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거나 상호적 관계에 있는 중년층에 서 전통적 노부모 부양관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교환이론의 설명에 바탕을 둔 기존 연구들의 설명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며,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 분석에서 효규범을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부모 부양이 단일세대에 한정되어지는 교환적 관계의 설명이 아니라, 효규범의 영향력에 의해서 자녀의 지원이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연결적 보상체계라는 새로운 설명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년층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환한 분석에서는 세대관계 유형이나 자신의 노부모 부양관과 무관하게 절대 다수의 중년층이 자신의 노후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사회 중년층이 자신은 노부모 부양의 경험이 있고, 전통적인 노부모 부양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노후에는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교환이론의 설명과는 다른 대안적 설명틀을 제시하면서, 중년층의 현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상커뮤니티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Virtual Community)

  • 박경수;임용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53
    • /
    • 2008
  • 본 연구는 가상 커뮤니티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부여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인지 이론의 자기효능감, 커뮤니티 관련 기대성과 요인과 사회적 교환이론의 부호화 노력, 이미지, 상호호혜성, 타인을 돕는 즐거움요인을 통합하여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246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이미지, 상호호혜성, 타인을 돕는 즐거움, 커뮤니티 관련 기대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지식공유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식공유 행동의 선행 요인 중 부호화노력, 타인을 돕는 즐거움, 커뮤니티 관련 기대성과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미지와 상호호혜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향후 가상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식공유와 관련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웹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친사회적 행동 관점 (Factors Affecting Sustainable Web Technology Adoption : Pro-social Behavior Perspectives)

  • 김선희;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5-229
    • /
    • 2014
  • 오늘날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업 기회 창출을 위해 지속가능한 정보기술에 대한 수용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환경적 영향 요인 외의 여러 사회적 영향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웹 기술 환경에서 소비자의 친사회적 행동이 지속가능한 정보기술 수용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정보기술 개념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사회적 교환 이론에 두었다.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웹 서비스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사용 의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웹 기술 서비스의 사회적 책임성과 사회적 유용성을 고려하여 수용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정보 기술의 수용에 있어서 해당 기술이 가진 사회적 특성과 영향력을 처음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정보기술의 초기 도입 단계 수용에서 기술의 사회 책임적 특성과 유용성을 인식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이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호텔 레스토랑 물리적 환경의 중요도-성과분석(IPA) -사회교환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Hotel Restaurant's Servicescape)

  • 배준호;박정숙;신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78-38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레스토랑의 식음료이외에 제공되는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측정을 통하여 호텔레스토랑의 운영 및 경영자들에게 향후 마케팅 활동에 있어 도움을 주는데 있으며, 이러한 각 콘텐츠의 측정을 위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레스토랑 이용객들에 대하여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하여 차이를 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레스토랑의 중요도-성과에 대한 평균비교 결과 시설의 청결성이 가장 높은 중요도와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사회교환이론에 따른 IPA분석결과 두 집단에서 2사분면의 '유지'분면에서 9번, 10번, 11번 문항, 3사분면의 '저순위'분면에서 1번, 3번 문항이 동일하게 포함되고 있었으며, 1사분면의 '집중'분면에서는 집단 간에 서로 다른 문항이 포함되고 있었으며, 특히 4사분면인 '과잉'분면에서는 소비비용이 없는 집단에서만 8번, 2번항목이 해당 사분면에 포함되고 있었다. 소비비용의 유무에 따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성과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물리적환경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형적 환경요인만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맑스의 생택학과 생산적 정의 (Ecology and Productive Justice in Marx)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49-472
    • /
    • 1999
  • 본 논문은 맑스가 자본주의의 사회적 및 환경적 부정의를 비판하고 정의로운 사회 및 자연과의 관계를 위한 사회주의적 프로젝트를 제안했던 원칙들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적 생태학 일반 그리고 특히 환경정의 이론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주의 사회 및 자연에 대한 맑스의 비판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에 관한 그의 개념은 두가지 기본적인 정의 원리들, 즉 인간과 자연 간 관계에 관한 그의 생태적 개념화에서 도출될 수 있는‘필요’원칙과 ‘노동’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도덕성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그의 거부로 인해, 맑스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일관하면서 자본주의에서의 정의 이론을 발전시키지 않았지만, 반면 그는 사회주의 사회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환경)정의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안했다. 그리고 끝으로 그의 환경정의에 관한 개념화는 단지 분배적 정의 패러다임으로만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그가 생산을 교환.분배 그리고 소비를 포함하는 유기적 전체로서 이해한 바와 같이 ‘생산적 정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과 관련지어 이해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