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on Old-Age Security

  • 발행 : 2002.06.01

초록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중년층의 노부모 부양관이 세대간 지원관계와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대관계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환이론적 접근을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검증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수집한 김두섭 외(2000) 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거나 상호적 관계에 있는 중년층에 서 전통적 노부모 부양관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교환이론의 설명에 바탕을 둔 기존 연구들의 설명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며,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 분석에서 효규범을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부모 부양이 단일세대에 한정되어지는 교환적 관계의 설명이 아니라, 효규범의 영향력에 의해서 자녀의 지원이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연결적 보상체계라는 새로운 설명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년층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환한 분석에서는 세대관계 유형이나 자신의 노부모 부양관과 무관하게 절대 다수의 중년층이 자신의 노후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사회 중년층이 자신은 노부모 부양의 경험이 있고, 전통적인 노부모 부양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노후에는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교환이론의 설명과는 다른 대안적 설명틀을 제시하면서, 중년층의 현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and its effects on old-age security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est is the effects of the middle aged's attitudes on old parents'security on their intergenerational exchange relationship and on their own old-age security as well. This study also attempt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o the stud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in Korea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consider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as an exchange of aids and rewards between generations. However due to strong norm of filial duty and inadequate welfare system, supporting old parents is regarded as younger generation's duty in Korea This study utilizes a survey data conducted by Kim et al.(2000).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 aged who gives one-sided supports to their parents tends to have the traditional attitude on old parents' security. It implies that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in Korea is not 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s from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a 'chained reward system'as an altermative explaining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Second, an absolute majority of the middle aged tend to think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old-age security regardless of the pattern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and attitudes on old parents' security. It implies that the middle aged in Korea holds the status of 'marginal men' who supports their parents but can't take the similar supports from their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복 (1983), '전통사회의 효개념과 현실적 과제,' '현대사회와 노인복지', 아산복지재단
  2. 권태환 . 김두섭 (1990),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권태환 . 박영진 (1995), '가족구조와 가족형태,' 권태환 . 김태헌 . 최진호, '한국의 인구와 가족', 일신사
  4. 김두섭 (2001), '한국 사회구조의 변화와 노년기의 가족관계,' 김두섭(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5. 김두섭 . 강남준 (2000),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 나남출판
  6. 김두섭 . 박경숙 . 이세용 (2000),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한국인구학' 23(1), 56-89
  7. 김명자 . 안선영 (1996), '신세대 부부와 중년기 부부의 효도관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4(6), 113-125
  8. 김명자 . 안선영 . 한정화 (1996), '신세대와 중년기 부부의 노부모 부양에 따른 부담감 및 보상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 14(2), 97-110
  9. 김정석 . 김익기 (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10. 김태현 (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가족부양의 실태와 부양만족도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1. 박종우 (2000), '노인과 자녀간의 권력관계: 미국이민 노인들의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31-151
  12. 박재흥 (1991), '한국사회의 노인문제: 교환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9(여름), 1-19
  13. 은기수 (1996), '노인문제: 노령화와 노인들에 대한 이해,' 한완상 . 권태환(편),'전환기 한국의 사회문제', 민음사
  14. (2001), '한국 노인들의 경제생활,' 김두섭(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 한양대학교 출판부, pp. 271-332
  15. 이신숙 . 서병숙 (1994), '기혼여성(며느리, 딸)의 노부모 부양스트레스와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57-71
  16. 장경섭 (1994), '한국 가족의 이념과 실제: 가족규범의 다중성과 내부 모순,' '철학과 현실' 22, 51-67
  17. (2001), '노년기의 건강,' 김두섭(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한양대학교 출판부, pp. 189-220
  18. 정기원 (2001), '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24(1), 123-148
  19. 조병은 . 신화용 (1992), '사회교환적 관점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성인딸/며느리와노모의 관계,' '한국노년학' 12(2), 83-98
  20. 조지 리처(Ritzer, G.) (1983), '현대사회이론', 최재현(역), 형설출판사
  21. 통계청 (2001), '장례인구추계'
  22. Bengtson, Vern L., Burgess, Elisabeth O. and Parrott Tonya M. (1997),'Theory, Explain, and a Third Generation of Theoretical Developmentin Social Gerontology,' Journal of Gerontology 52B(2), S72-88 https://doi.org/10.1093/geronb/52B.2.S72
  23. Blau, P.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York: Wiley
  24. Cho Nam-Hoon, Lee Sam-Sik (2000), 'Low Fertility and Policy Developmentin the Republic of Korea,' Low Fertility and Policy Responses toIssue of Aging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UNFPA), 145-168
  25. Dowd. J. (1975), 'Aging as Exchange: A Preface to Theory,' Journal of Gerontology 30, 584-594 https://doi.org/10.1093/geronj/30.5.584
  26. Hareven, T.K. (ed.) (1996), Aging and Generational Relations: Life-Cource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NewYork: Aldine de Gruyter
  27. Hendricks, J. (1995), 'Exchange Theory in Aging,' In G. Maddox(ed.), The Encyclopedia of Aging(2nd ed.), NewYork: Springer
  28. Homans, G.C. (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York:Harcourt Brace Jovanovich
  29. Pampel, F.C. (2000), '노년될평등과 사회복지정책', 김정석 . 김영순(역), 나눔의 집
  30. Silverstein, Merril and Vern L. Bengtson (1997),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the Structure of Adult Child-Parent Relationships in American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3, 420-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