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성요인

Search Result 4,23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discourse on how to integrate society and science: the applicability of participatory evaluation (과학기술과 사회 연계에 대한 담론: 사회참여형 과학기술 평가방법의 적용가능성 모색)

  • Kim, Tae He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5 no.2
    • /
    • pp.163-189
    • /
    • 2015
  • While Science tries to be far from Society, it actually does yearn for the trust from Society, on the other side. Its efforts getting back the trust has been witnessed with its fast evolution, consistent distrust from Society and Scientists' accountability with investment of public fund. Furthermore,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re is the need to integrate science and society. In this regards, this paper explores how to integrate both spheres by participatory evaluation. To identify how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works and should be, three main issues are mentioned. One is about evaluation methods; Objective-oriented and Behaviour aspects. Second is about prerequisite factors; sharing scientific language and changed recognition between civil society and scientists. Third is about challenge to be tackled; epistemological gap among evaluators and complex index. Under these issues, this paper sets out that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should adopt th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ology. Last but not least, self-recognition and motivation by evaluators themselves are important factors, along with societal system which can take participatory evaluation.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ausual Analysis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ppling GIS for Social-Science Research (사회과학연구에서 GIS 활용 동기와 만족의 인과분석)

  • Choe, Byong Nam;Han, Seon Hee;Jin, Heui Cha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1-11
    • /
    • 2014
  • It is possible to design a strategy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GIS by identifying why social science researchers use GIS. This study analyses motivating factors for the researchers to utilize GIS and their satisfying factors towards the result. It is based on survey results which was answered by social science researchers at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al research institutes in South Korea in the perspective of merits of applying GIS, level of GIS usability and experienced effectiveness of applying GIS.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motivating factors to researchers applying GIS are correlated with efficiency in their research and satisfying factors are correlated to the usability. Then, we induced a fact that motivative factors for applying GIS is not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at. It may be a reason which researchers use GIS less applying in social science field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motivating and satisfying factors to further expand GIS applications.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Model for Social Enterprise Investment (사회적기업 투자 의사결정 모델 연구)

  • Suh, Sung-Moo;Chang, Dae-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3
    • /
    • pp.1109-1115
    • /
    • 2013
  •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build a decision making model for social enterprise investment. The proposed model includes four factors; social compatibility, growth, profitabil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al suitability. Thirteen social enterprise investors were requested to rate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 four factors when they make investment decisions. Financial stability (25.8%) and social compatibility(25.7%) turned out to b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rofitability(17.5%) and growth(17.1%). Organizational suitability(13.9%) was least important. This study uncovered the first empirical factors for social enterprise investment decision making in the early stage of exploratory research. In practice, also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to social entrepreneurs, investors and policy makers.

RELATIONS BETWEEN SHYNESS AND INTERPERSONAL VARIABLES - FOCUSING ON SOCIAL SKILL AND MOTIVATION FACTOR - (수줍음과 대인관계 변인간의 상호관련성 - 사회적 기술 및 동기 요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

  • Kim, Guen-Young;Yoon, Gen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6 no.1
    • /
    • pp.90-99
    • /
    • 199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yness,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former and comprehensive factors of social anxiety disorder,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ticularly, the relations among Social Skill Factor, Motivation Factor, and Shyness were examined in order to verify a conventional belief('the most shy people have both low social skill and high motivation.') 497 middle school students(231 males and 266 females) in seoul were administrated with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and Shyness Scale, and Peer-Group Popularity was measure. The results are : 1) the lower social skill is and hight Motivations is the more he or she is shy. 2) influence of Social Skill Factor is greater than that of Motivation Factor. 3) interaction effect among sex, shyness, and peer-group popularity was found.

  • PDF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 Yoon, Bang-Seob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7 no.2
    • /
    • pp.89-110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individuals' career orientati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ere examined.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supports and successful role models, classified as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examined, and social perceptions for entrepreneurs, classified a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also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s of business department, and graduates of the same department. The samples of 208 and 81 for each group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s a whole, career orientations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Specifically, entrepreneurial orientations had positive effects, and security orientations had marginally nega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unexpectedly, autonomy orientations had no significant eff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ocial supports and successful role models, which were not identified as distinct variables by the respondents, were integrated as a new variable of 'network environments' for analysis in this study. Network environments positively affec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ocial perceptions for entrepreneurs, however, did not a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career orientations, self-efficacy, and network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were discussed.

  • PDF

An Analysis on Korean Mortality Structure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분석)

  • 이상식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51-80
    • /
    • 1990
  • 한국의 사망력은 높은 수준의 성별 사망력 차이와 중년 남성의 급격한 사망력 상승을 그 구조적 특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인 사망력 구조의 특이성은 직접적으로는 사망원인의 성별, 년령별 차별적 역활에 기인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 원인의 차별성을 초래하는것으로 추정되는 경제개발기간동안의 사회, 경제 및 공공정책상의 변화 및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차이를 결과짓는 여러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상에서 나타난 년령별 및 성별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주요점을 두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과에 의해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자료는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의 특성을 사망원인과 관련시켜 연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될수 있다. 첫째, 40대 이후 남성의 높은 사망력에 의거한 요인들은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암질환 및 기지 심질환 및 간의 악성신생물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0세에서의 남녀간의 기득개념의 차이는 차이는 초년 또는 청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보다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뇌혈관 질환, 악성간질환 및 고혈압성 질환, 간의 악성 신생물,및 기타 심질환 및 간의 악성 신생물 질환들이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를 결정하는데 주역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위의 년령간의 및 남녀간의 사망력 수준의 차이를 결정짓는 주요한 사회적 간접요인들로는 첫째, 사회.경제개발과 함께 이어 병행되어온 보건정책들이 즈로 어린이 또는 여성에 편향된 결과 였으며, 둘째,환경적 요소로서 중년 남성들의 Social stress, 운동부족과 관련된 질병들과 공해, 먼지, 유해화학물 가스 등 산업재회와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사망률이 높으며, 세째, 행위적 요소로서 음주와 흡연과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중년 남성의 사망률이 높은것들로 요약될수 있다. 중년 남성의 높은 사망률은 기술적,사회적 경험이 축적된 노동력의 상실로서 국가적 손실이 크며, 고 년령층 인구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성의 불균등을 초래하여 미혼 여성의 증가등 사회적인 기반문제의 주요한 요인이 되므로서 그 중요성은 지대하다고 할수 있겠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으로는 지금 까지 도외시 되어 왔던 중년 남성의 건강을 위한 프로젝트의 실지와 함께 이들에게 노출되어 왔던 운동 부족, 사회적 스트레스 및 산업재회의 해소 내지 제거에 대한 방안들이 연구 되어야 하겠다. 한편 음주 및 흡연등의 개인행위적 습관의 개선을 위한 사회 계몽활동의 추진 및 건전한 스트레스 해결책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Causality of E-Commerce on the Door-to-door Delivery Service Market Using the Granger-Sims Causality Test (Granger-Sims 인과관계검정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택배서비스시장에 대한 인과성(因果性) 분석)

  • Lee, Woo-Se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69-84
    • /
    • 2004
  • 1990년대 중반이후 정보통신의 발달에 의한 인터넷의 활용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팽창하면서 사이버마켓이라는 새로운 시장형태하에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성장은 기존의 유통구조를 오프라인으로부터 온라인으로 전환시키고 물류체계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인터넷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발달에 의해 독자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거래를 위한 물류와 연계해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문전배송서비스(door-to-door delivery service)가 가능한 택배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내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키는 어떤 요인이 택배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고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해 보는 것도 흥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시계열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전자에 의한 후자의 성장요인을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서비스시장의 성장요인을 시장내부의 내적요인과 외부의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외적요인을 다시 교통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전자상거래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이 사회경제적 요인으로서의 전자상거래에 의한 택배서비스시장의 인과관계성을 그랜저-심즈(Granger-Sims) 인과관계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전자상거래는 EDI(전자문서교환)도입업체수, 인터넷 쇼핑몰수, 인터넷 이용자수, 전자상거래를 위한 법제도 체계 등의 증가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택배서비스시장도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주도에 의한 정보화추진이 전자상거래를 촉진시켜 택배서비스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ender Gap of Wages for Social Workers : An Analysis for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Daegu Metropolitan Area (사회복지종사자의 성별 임금격차와 그 요인 : 대구광역시 사회복지기관을 중심으로)

  • Kim, Hwanj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7 no.3
    • /
    • pp.139-15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g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to determine its factors. For this purpose, a Blinder-Oaxaca decomposition and regression models are applied to analyze wage survey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nder wage gap of social workers is a bit smaller, compared to the average of wage earners. Secondly, about two-thirds of wage gap is due to differences in productivity(endowment) factors; the other part is due to discrimination. Thirdly, the most important cause of gender wage gap is career disruptions of female workers largely due to marriage and birth. Fourthly, other causes of gender wage gap include differences in education, in job grade, in employment status, and in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Finally, among the discriminating factors worsening gender wage gap, a key factor is a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compensation for age.

The Effect of Network Variety and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네트워크 다양성과 강도가 사회적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Kim, Min-S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03-806
    • /
    • 2010
  • 저고용을 통한 고효율로 기업생산성을 추구하는 결과, 야기되는 고용의 불균형을 타개하기 위해 2007년 정부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통해 사회적 기업을 장려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 으로도 사회적 기업에 관련된 연구를 미국의 로버츠 재단, 영국의 Social Firms, EMES European Research Network 등이 중심이 되어 사회적 기업의 생존 전략과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한 발전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사회적 기업 발전에 필요한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을 종속변수로 Granovetter Mark, Burt Ronald, Coleman James, Peter Witt, Andreas Schroeter, Christin Merz, Helen Haugh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독립변수인 네트워크다양성과 강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먼저 실증 분석하고 나아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 발전을 극대화시키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국내의 295개 사회적 기업 가운데 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25개 회사로 이루어졌으며 SPSS 12.0으로 요인분석, 타당성, 신뢰성, 상관관계 등의 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의 결과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 전 과정에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특히, 기업생존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강도에 관련된 요인을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다양성에 관련된 요인을 잘 관리하고 유지 발전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적 기업 창업을 준비 중인 국내의 많은 회사나 비영리법인, 사회단체가 계속기업으로 발전해 가기위한 사회적 자본 활용 전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