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능력

검색결과 3,320건 처리시간 0.028초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 지능 간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Theory of Mi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안효진;김상림;이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79-202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지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38명 씩, 총 76명을 대상으로 내용교체과제, 위치이동과제, 그리고 틀린 믿음과 제로 마음이론을 측정하였으며, 그들의 교사들에게 이들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SPSS 18을 사용하여,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성차, 마음이론, 정서 지능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라 마음이론 전체점수와 위치이동과제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능력의 전체점수와 협조성, 참여성, 순응성, 지도성에서 차이가 났고, 정서지능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차이가 났다. 또한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사회적 능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나, 참여성과 순응성에서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정서지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타인조절 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가장 영향력을 미쳤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돌봄 능력,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Self-leadership, Caring Ability, Self-efficacy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박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95-403
    • /
    • 2019
  • 간호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간호제공자와 간호대상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간호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03명이며 자료분석 방법으로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들의 돌봄 능력(${\beta}=0.39$, p<.001), 자기효능감(${\beta}=0.28$, p<.001), 셀프리더십(${\beta}=0.23$, p<.001), 성별 (${\beta}=0.14$, p<.01)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53%를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자율성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지 및 정서적 측면의 균형을 갖춘 융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 on Happiness of Social Worker : Focus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Effect)

  • 유영주;안태숙;박일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58-267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사회복지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문적 능력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0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은 사회복지사의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적 능력향상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불안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 차경숙;전원희;홍성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4-33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불안 정도 및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와 Y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27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불안과 문제해결능력 수준은 중간정도의 수준이었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불안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반응과 일반적 특성 중 지각된 대인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사회불안에 대한 설명력은 23.6%이었다. 결론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인지적 왜곡을 탐색하고 이를 수정하는 교육과 상담 및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적용은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The Research of Ability to Use Internet, Interpersonal Skill, and Social Activity among the 50's and 60's in Seoul: Latent Mean Analysis)

  • 김동배;김상범;김세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33-74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장·노년층 세대 내 정보화격차를 고려하여 50대와 60대 간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활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시복지재단에서 실시한 2008년 서울시복지패널조사이며, 50대 644명과 60대 297명이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 집단 간 평균비교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기술 분석, t-test,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매개모형의 검증과 50대와 60대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 결과 50대는 인터넷활용능력이 높으며 60대는 사회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노년기 사회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인터넷커뮤니케이션 활용기술과 관련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세대 내 인터넷활용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얼굴표정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ading Ability on Prosocial Behavior: Centered on Facial Expression)

  • 고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33-4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만 5세 192명이다. 2018년 12월 17일부터 12월 27일까지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서읽기능력 향상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웃 및 대중매체경험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eighborhood and Mass Media Experi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 황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15-625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의 이웃 및 대중매체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공감능력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을 할당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19명의 자료를 SPS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긍정적 대중매체경험, 공감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수준을 상으로 인식한 집단이 중상이나 중하로 인식한 집단보다 지역사회환경만족도,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이웃 및 긍정적 대중매체경험이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특히 긍정적 대중매체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웃경험 중 지역사회환경만족도와 긍정적 대중매체경험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공감능력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치위생학 교육의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67-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의 현장실습과 연계한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강생 30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학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에 대한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젝트 학습법이 지역사회치위생학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자기주도적이며 능동적인 학습법을 활성화하여 융합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Abilities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

  • 이소은;장정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68-177
    • /
    • 2019
  •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2018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A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여 총 223명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유능감은 대인관계능력, 외모만족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유능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좋고 외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 대인 관계능력, 외모만족의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하위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외모만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pon Psychosocia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의 다문화 가정 중학교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은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타인인식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