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교사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Prospect of School Library Rehabilitation Project)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7-14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2년에 수립되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되어 온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지난 4년간의 성과를 종합 분석하고자 하며, 분석결과와 평가를 기반으로 향후 2단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3.000억이라는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여 신설되고 리모델링된 도서관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서교사라는 것이다.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을 개발하되, 학년별. 학급별, 교과별, 단원별로 세분화 전문화시켜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증명해 냄으로써 학부모와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나설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다양한 이용자 연구를 통해 고객에 해당하는 이용자들의 현실적인 요구를 분석하고 이들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사서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서교사의 자질, 역할.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교직이수 트랙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서교사는 스스로의 역할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고객인 학생과 교사들이 전문가로 인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교도서관 사서직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chool Librarian Experience of Burnout: Focused on Contract Teacher Librarians and Contingent Librarians)

  • 임성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1-1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가 어떤 경우에 소진경험을 하는지 밝혀,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학교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직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업무 환경, 심리 상태가 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들의 소진도가 높지 않으며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자아존중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이하로 나타나 보상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학교정보화를 위한 교장과 사서교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Principals and Teacher-Librarians Working Within an Information Literate School Community-Research from Korea)

  • 한윤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1-167
    • /
    • 1999
  • 이 연구는 학교장과 사서교사의 협력관계가 학교사회의 정보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진행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장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이해, 사서교사에 대한 지원, 정보화에 대한 이해 등을 설문서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같은 질문을 사서교사에게도 함으로서 학교장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사서교사들이 받아들이는 관점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학교장의 이해와 협력은 학교사회의 정보화를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나 조사 결과 우리나라 학교장의 정보화에 대한 이해 정도나 지원은 부족하였으며 또한 교장 자신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것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 in Library Based Instruction)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개별 학생을 위한 사서교사의 독서자료 추천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 Librarians'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for Individual Student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27-152
    • /
    • 2021
  • 본 연구는 개별 독자에 대한 사서교사의 독서자료 추천활동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사서교사의 독서자료 추천활동의 세부과정 및 주요 특징, 추천 시 고려하는 요소, 독서자료 추천활동에서 대두되는 주요 쟁점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서교사의 독서자료 추천과정은 질문과 면담, 책 추천, 후속조치라는 단계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독서자료 추천 시 고려하는 요소는 학생의 관심사, 독서이력, 책의 재미, 읽기수준, 도서수준, 교사, 수업 및 교과과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이들 요소를 고려하는 과정에서 사서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독서자료 추천활동의 단계 및 주요 요소는 향후 사서교사의 추천활동 수행에 있어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에서 독서자료 추천활동의 다각화와 개별 독자를 위한 독서자료 추천활동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9-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이 2018년에 발행한 "학습자,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을 위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문서에 제시된 기준의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방향과 내용에 참고할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ASL의 미국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습자 기준과 사서교사 기준, 학교도서관 기준 및 이들 3개의 기준을 통합한 통합 학교도서관 기준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라는 시설과 공간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육자인 사서교사의 교육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이 어느 정도 구축된 상황에서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교육내용과 역량에 관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을 포함한 자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활용한 사서교사 계속교육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 Teachers Using Kirkpatrick Education Model)

  • 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5-31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 교육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있다. 2022년 하계 『사서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사서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3단계의 교육평가를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교육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이며 교육 후에 조사되었으며, 2단계와 3단계는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조사하였고, 전후 차이 분석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학습평가이며 3단계는 직무역량향상 평가이다. 연구 결과 모든 단계에서 높은 측정 점수가 산출되었고, 2단계 학습평가에서 교육의 전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직무역량향상평가에서는 교육 후에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단계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이 보완되고, 유효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ducational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 김성준;서진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63-19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여, 교육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여 변수를 선정하였고, 이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학교구성원의 인식과 지원, 사서교사의 전문성,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 학교교육과정, 사서교사의 시간부족, 교육환경, 교육서비스이며, 이 7개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14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핵심요인은 사서교사의 전문성, 교과교사와의 협력, 학교 교육과정으로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