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교사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1초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I·II 영역을 중심으로 - (A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Gap and Information Literacy)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9-1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가진 경제적 여건의 차이, 즉 교육격차에 따른 기초적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학교별 정보활용교육 경험의 차를 통제할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 629명을 대상으로 3월에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학교 정보공시에 제시되는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학생들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교별 교육격차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설명할 수 있는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격차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 II 영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점수의 회귀방정식을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켜 갈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계적 정보활용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이상적인 수준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으로 교육격차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 이덕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협력 수업의 바람직한 학습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중국어과 프로젝트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주제 선정 방침 및 선정된 주제 등 수업내용을 파악하고 학생의 보고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주제에 대한 흥미,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 과정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이 어떤 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 노진영;변우열;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3
    • /
    • 2014
  • 학교도서관에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인 Digital Library System(DLS)의 목록입력 규칙을 이용해 서지레코드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DLS 목록입력 규칙은 규칙 자체가 상세하지 않고, 규칙 상호 간에 모순이 있고, KCR4에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서지레코드 구축시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생산하는 서지레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LS 목록입력 지침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을 KCR4와 비교 분석하고, 3년 이상 경력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LS 목록입력 규칙에서 사용한 용어가 KCR4와 일치하도록 수정이 필요하고, 기술영역별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의 실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Reading a Book per Semest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 소병문;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8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독서 활동은 교과 지식과 이원화되어 정규 교과 수업 시간 밖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국어" 정규 수업 시간 내 이뤄지는 독서 활동으로, <읽기-생각나누기-표현하기>를 기본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실재 11종 "국어" 교과서 22개 유형의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한 권 읽기는 <도서 정하기-읽기-표현하기>로 실현되었다. 단계별 학교도서관과 협력방안으로, 도서 정하기 단계는 학교도서관을 대상 도서 검색 공간으로 활용하고, 읽기 단계는 독서전략을 추가, 보완해 독서일지를 재구성하며, 표현하기 단계는 기존 독후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권 읽기의 단계별로 협력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f the Roles of the Teacher-Librarians as Perceived by Supervisors, Principals,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Korea)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29-259
    • /
    • 1989
  • The school library plays very important and central role for the fullfill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edia specialist known as teacher-libraria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edia center. It is true that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depends greatly on the cooperative coordina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and principal in addition to the strong support and effective supervision of school district authority, specifically, supervisor of school library program. The successful program therefore is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librarian'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role perceived by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istrict supervisor. A standard task model describing both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librarian was proposed after studying the relevant current standards of four countries. Serveral hypotheses were made regarding role perception and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based on this proposed task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and the return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routin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ole percep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district supervisor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for bo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eacher­librarian. The mean score of the teacher-librarian was highest among four groups and the score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tasks were lower than that of management function tasks. 2)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hanging social trends such as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need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3)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view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 PDF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독서 동기 유형에 끼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mpact of the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Using Recommended Book Lists to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Motivation)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77-198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통하여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한 후, 학생들의 독서 동기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도서 선정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다수 영역, 다수 도서의 권장도서목록으로 제공하였고, 읽기와 쓰기를 통합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의 독서 동기를 측정한 결과 자율 동기 영역이 타율 동기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해 도서 선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자율동기에 따른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HP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n Priority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Utilizing the AHP)

  • 임정훈;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89
    • /
    • 201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평가의 방향성 탐구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 이지연;이연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27-2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교육청 및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학교도서관 관련 조사, 컨설팅 및 평가를 메타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기관의 평가 중복, 국가의 학교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미비, 공모형 평가로 인한 참여율 저조, 교육 평가지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방안은 법률에 평가 주체의 역할 명시, 국가의 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기관 간 평가 네트워크 구축, 사례 공유 시스템 운영, 교육청의 조사 및 컨설팅과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의 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매체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읽기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edia Type)

  • 노경국;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1-240
    • /
    • 2023
  • 이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원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매체별 읽기 성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자료의 완독 시간과 내용 이해도를 묻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한 기사 내용을 3개 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매체 유형을 달리해 읽는 시간을 측정하고 평가 문항을 통해 매체에 따른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웹 페이지의 평균 완독 시간은 3분 28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3.99문제였으며, pdf 파일의 평균 완독 시간은 5분 23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4.35문제였다. 또한 인쇄자료의 평균 완독시간은 7분 14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6.26문제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는 144명으로 연구자의 실험 결과만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방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류의 내용 요소 전개에 관한 연구 - 학습 내용의 내재적 통일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ent Components in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Focusing on the internal coher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4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의 내용 요소가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살펴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에 참고할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은 시간을 달리해 순차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별 교과서별 특징이 분명하게 구분된다. 『정보와 매체』(1996)와 『도서관과 정보생활』(2011)의 내용 요소는 선조적 구성으로 전개되는 반면, 『정보와 도서관』(2002)은 주제 중심의 단회성 프로젝트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서의 단원은 학습목표-학습내용-학습활동이 고르게 의미상 관계성을 맺어야 한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의 경우, 일부 단원에서 학습목표와 내용, 활동 사이의 관계가 단절되는 사례가 나타난다. 이런 단절은 교과서 내용 요소의 전개에 있어 신뢰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만큼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충분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