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교사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1-468
    • /
    • 2009
  • 사서 및 사서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서(사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각종 시험에서 채택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영역과 교육 내용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국가고시에서 요구되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술한 현장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사서 및 사서교사의 자격기준 및 임용고시와 관련된 국가의 고시 및 령과 시행규칙 등을 검토하고 둘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교과목들의 타당성을 검토하며 셋째, 전술한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도출된 교과목들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도서관 현장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토의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영역 교과목 운용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Area in the LIS Education)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71-392
    • /
    • 2004
  • 이 연구는 사서교사 양성과정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직과정 이수가 승인된 전국 31개 문헌정보학과를 대상으로 교과교육 영역과 학교도서관 관련 영역의 교과목 운영 실태를 자세하게 조사하여 그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충실한 사서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과교육론 영역의 교과목을 원칙대로 운용하고 학교도서관 관련 교과목의 편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PDF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05-33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나타난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artnerships Appeared in the Middle School Library Programs)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63-384
    • /
    • 2009
  • 학교도서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는 구체적인 전략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 교내 외 자원 간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파트너십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도서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파트너십 분석 결과,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교내 독서 행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교과교사와 교외 인적자원의 참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 공동체에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사서교사의 리더십과 협동적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PDF

사서교사가 바라보는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적합성 (Issues and Problems in LIS Education Programs : from a viewpoint of School librarians)

  • 이은주;이제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42
    • /
    • 2005
  • 이 연구는 현재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는데 적합한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현장 요구 반영도를 조사하였다. 이어,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사서교사를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과과정을 제안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도입에 대한 사서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 Librarians on the Introduction of ChatGPT in School Library)

  • 김지수;강수정;권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349-377
    • /
    • 2023
  •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ChatGPT가 등장하게 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교육분야에서 ChatGPT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서교사에게 있어서 ChatGPT를 활용하는 것은 미래적인 학습도구로써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ChatGPT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도입에 대한 인식, ChatGPT를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ChatGPT를 활용한 실질적인 운영, 성공적 수행을 위한 고려사항, 사서에게 필요한 역량과 환경(인프라), 학교도서관에서의 ChatGPT 활용 서비스 발전 방향' 6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ChatGPT 활용 교육 서비스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ChatGPT를 도입하고자한 최초의 연구로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85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나 정보활용교육의 종류는 학교도서관 이용법,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연계 수업모형 개발, 사서와 교과교사 협력하는 통합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학교별 그 수준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할 사서의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제도의 환경 때문에 교과교사 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용성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 학교교과과정 내에 정보활용교육이 자리매김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보활용교육을 교과과정 내에 통합하는 정책적 측면과 교과과정 분석 그리고 사서교사의 전문인 양성의 실천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 PDF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 자격제도와 배치기준 (A Study 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Personnel Standard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in the United Stat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90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 SLMS) 자격제도의 구성과 발전, 자격요건, 명칭, 교육 프로그램, 배치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SLMS의 자격요건은 주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중요한 요건은 교사자격과 문헌정보학 석사학위이다. 자격명칭 역시 주에 따라 다양하지만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Library Media Specialist가 가장 일반적이다. 자격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 교육청, 준비교육기관(대학), 전문직 단체가 있으며, 전국 교사교육 인가위원회인 NCATE가 ALA와 함께 교육프로그램 인가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SLMS의 배치는 주 교육청 또는 지역 교육기관 인가단체에서 규정하는데 2002년 현재 19개 주가 규정을 갖고 있으며 늘어나는 추세이다. 6개의 지역 인가단체 중 3개 단체는 아주 명확한 규정을 확립하고 있다. 분야별 수석교사 평가제도인 NBPTS와 최근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의 위상을 위협하는 '65% 해법‘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진흥법시대의 과제와 전망 - 인력 문제를 중심으로 - (Current Issues and Prospects of the Era of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with a focus on manpower issue -)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59-180
    • /
    • 2019
  • 이 연구는 모든 학교에 1명 이상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도록 규정한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시행령의 개정에 따라 제기되는 인력 문제의 과제와 전망을 탐구하였다. 정부의 정책과 계획을 토대로 사서교사 인력 수요를 검토하고 현재의 인력 양성 규모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향후 예측되는 인력 수요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 과정의 증설과 학부 교직 승인 인원의 증원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법을 통해 개선된 인력제도가 현장에 깊이 뿌리내기 위한 과제로 양성 교육의 내실화와 현장 역량의 강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의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역량 제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이원화된 인력체제의 통합 방안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