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사교육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KIGES의 사사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사사교육 모형 개발 (A Mentorship Model based on KIGES' Mentorship program)

  • 성현숙;이상천;허정윤;우정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93-112
    • /
    • 2004
  • 심화교육의 한 형태인 사사교육은 21세기를 주도할 과학영재들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알려져 오고 있다. 사사교육은 과학영재들에게 멘터와의 긴밀한 관계 및 연구를 통해 자신의 능력 및 과학자로서의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KIGES)은 지난 5년간 사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KIGES의 경험을 포함하여 사사교육이 과학영재에게 제공하는 이점들을 토대로 사사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사사교육 모형은 향후 사사교육 참여자들에게 사사교육의 과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사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in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 조선희;이건호;김희백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3-1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사사교육 선발고사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두 분과(생물분과: n=19, 물리분과: n=21)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검사(WAIS, RAPM)와 창의력검사(TTCT-언어, TTCT-도형)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점수와 사사교육 선발점수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검사결과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WAIS IQ>98%). 반면, 이들의 창의력수준은 지능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사교육 선발점수와 지능점수 및 창의력점수 사이의 상관도 분석결과 생물분과의 선발고사는 WAIS 및 TTCT-언어와 양의 상관도를 보였으며, 물리분과의 선발고사는 RAPM과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이 지능수준은 매우 높은데 비해 일반적 창의력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며, 사사교육 선발고사는 높은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 분야의 우수한 성과물 산출을 위해서는 높은 지능에 못지않게 창의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과학영재의 창의력 평가에 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을 위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entorship Education Model for the Gifted of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 윤기상;김범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48-58
    • /
    • 2011
  • 이 연구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는 사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발표된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모형은 과학고 학생이 참여하는 R&E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들을 위한 사사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적 명확한 단계와 용어를 사용하면서 과학탐구 능력과 과학 창의성에 이론적 배경을 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모형들을 분석하였고, 과학 탐구 과정과 과학 논문 형식에 비교하여 서론-방법-결과-결론 4단계로 이루어진 과학 논문 형식을 채택하였다. 본격적인 연구 전에 '준비' 단계를, 연구 후에 '정리' 단계를 두어 총 6단계로 이루어진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토대로 국립 K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물리 사사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모형을 평가하고 수정하였다. 적용 결과, 모형의 장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이 모형은 전체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피드백이 필요한 부분 등의 개선점은 보완되었다. 결론적으로 준비-서론-방법-결과-결론-정리 6단계로 이루어진 사사 모형을 제안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팀 구성, 래포 형성, 일정 안내를, '서론' 단계에서는 이론 교육, 실험 기능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안내, 연구문제 설정을, '방법' 단계에서는 실험 시스템 구성, 실험설계, 재료 준비를, '결과'단계에서는 실험수행, 그래프 작성, 자료 해석을, '결론' 단계에서는 토의, 결론 도출, 새로운 연구주제 제안을, '정리'단계에서는 보고서 작성, 발표, 반성을 세부 과정으로 제안하였다. '서론'과 '방법' 사이에, '방법'과 '결과' 사이에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세부 과정별로 필요한 과학탐구요소와 과학창의성요소를 표시하여 멘토가 참고하도록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에서 수행되는 연구윤리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에 대한 멘토 과학자와 교사의 인식비교 (Comparison between Mentor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of Creation of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in High School)

  • 이지원;이범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7-43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와 교사는 연구윤리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사사교육에서 윤리적 교육환경을 어떻게 조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 32명과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의 내용에 대하여 과학자와 교사 모두 위조, 변조, 표절하지 않기를 가장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수준에 대해서 과학자와 교사 모두 고등학교급 과학영재에게 대학생 수준의 연구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에 대해 교사는 연구수행 중 각 단계별로 필요한 윤리적 의사결정의 개별 교육, 과학자는 연구노트 작성법 지도가 가장 순위가 높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교사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를 들었고, 과학자는 연구윤리가 학생 스스로의 문제라고 인식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과학영재가 윤리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교사는 연구지도에 주어진 시간, 과학자는 멘토의 윤리성이라고 보았다. 윤리적 연구 환경의 조성 방법에 대해 교사는 실패가 용인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자유도를 늘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윤리적 연구환경 조성의 주요 어려움으로 교사는 연구시간의 제약,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압박을 들었다. 이 결과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 교육 중 어떻게 연구윤리를 교육하여야 하는지와 어떻게 윤리적 연구 환경을 만들어나갈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학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분석 - 중등 영재학생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Analyzing a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Output for Mentor-Independent Study - A Case Study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

  • 이헌수;박종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5-2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 사사과정에 있는 수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사사독립연구를 실시하여 수확영재의 사사독립연구에서 얻어진 산출물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산출물 발표과정에서의 영재학생의 심리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는 수학영재성 중 수학적 능력의 구성요소만 귀납적 연역적 추론 능력을 발현하게 한다. 둘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영재성 관련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중 수학적 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이 영재학생에게서 발현하게 한다. 셋째, 영재학생의 사사독립연구에 대한 산출물 발표는 영재학생에게 수학 영재성의 구성요소 중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자기 신뢰감 등과 관련된 요소를 상승하게 한다.

정보 영재반 중학생들의 IT 융합 사사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IT fused Mentorship Project Performance with Gifted Secondary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Class)

  • 전영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58
    • /
    • 2016
  • 이 논문은 2년의 수학-정보 통합 영재교육 과정을 마치고 사사과정에 진입한 중학생들이 IT 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 형성평가의 관점에서 사사과정 프로그램을 보완할 요인을 도출하였다. 담당 교수는 학생들이 중학생 3학년의 수준과 사사 과정의 특징을 감안하여 로봇키트와 미디어를 융합한 상호작용적 IT 융합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었다. 2015년 2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사사과정 기간 동안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문서와 보고서를 비롯하여 사진 및 동영상 자료, 작업 결과물, 학생들과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컴퓨팅 실력과 IT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가 제각기 달랐음에도 팀별 프로젝트 수행은 아이디어 탐색과 설계에 해당되는 초기 단계보다 그 이후의 구현 단계에서 적극적이고 안정된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의 산출물을 연구와 교육(R&E)의 9단계 모델에 따라 형성평가한 결과 작품 완성도에서 상중하에 따른 개인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향후에 질적으로 보완해야 할 방향 및 사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학영재교육에서의 시사

  • 방승진;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7권
    • /
    • pp.127-138
    • /
    • 2003
  • 아주대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학영재교육에서의 사사에 대한 기본적 아이디어와 과기부 과제 창의적 사사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여 본다. 대학교에서 수학영재교육을 실시하는 큰 이유는 수학적 창조자인 수학자에게서 수학논문을 쓰는 법과 수학자로서 필요한 인성을 익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PDF

미적 체험을 강조한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발도르프교육의 작도교육의 활용 - (A Case Study on the Mentorship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with Construction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s. - Focused on Waldorf Education -)

  • 조영미;정연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21-636
    • /
    • 2013
  • 최근 수학의 정의적 영역의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지만, 정의적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수학의 심미적 가치는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에서 아이들의 감성의 발달과 예술성에 바탕을 둔 발도르프교육에서 활성화된 작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미적 측면이 강조된 영재 사사교육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 수업에서는 특별히 '심미적 안목', '통합적 안목', '실질적 기능'의 함양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작도를 통하여 기하학적 구조가 지닌 특성을 심미적 체험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중에서 이슬람 문양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협력하여 만든 공동의 주요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 PDF

창의적 생산자 양성을 위한 사사교육

  • 이상천;최호성;안덕순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샵 21세기 창의적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 교육
    • /
    • pp.139-145
    • /
    • 2002
  • PDF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en Survey)

  • 김경대;심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2-290
    • /
    • 2008
  • R&E 프로그램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과학 고등학교의 과학영재들을 위한 사사교육 프로그램으로, 1년 동안 현직 과학자와 과학교사가 멘토로 참여하며 학생들이 실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인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신장,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인식과 희망 전공 등의 항목에 대해서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한국과학기술원 학부과정 신입생 182명을 대상으로 사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동료들과의 협력(81.0%), 전문 과학지식의 습득(80.8%),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이해(77.5%), 과학에 대한 흥미(68.7%), 과학적 탐구방법(62.7%), 창의적 사고력(61.5%) 등의 순으로 향상되었다고 긍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KAIST 신입생들 사이에 출신 고등학교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적 탐구방법 향상(p<.01), 연구과제에 관한 전문적인 과학지식 향상(p<.01)의 항목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자로서의 품성 및 자질 함양,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이라고 하는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으로서 R&E 프로그램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