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교육목적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동유럽 국가의 사교육 동향비교: 시장논리로 본 사교육 (A Comparative Study of Private Tutoring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 유재봉;최현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2
    • /
    • 2018
  • 오늘날 사교육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일어나면서 하나의 글로벌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따라서 사교육 연구도 교육의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유럽 국가에서의 사교육 동향을 살펴보고 그러한 사교육의 사회 경제적 의미를 논의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민주적 정치제도와 시장주의 경제제도로의 체제전환을 경험한 동유럽 국가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사교육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시장 논리의 관점에서 사교육의 증가 현상을 분석하며, 사교육의 증가에 대한 관리와 함께 공교육에서 교육기회를 평등하게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Private Learning Expenses of Young Childre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서문희;양미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9-20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만3~5세 유아의 사교육비 실태와 사교육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 연령 및 이용 기관유형, 모 취업여부, 가구소득에 따른 사교육 실시 여부와 사교육비를 살펴보고, 사교육비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25개 조사구에 거주하는 976가구의 자녀 만 3~5세 유아 1,6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검증,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3~5세 유아 중 86.7%가 사교육을 받고 있고,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치원을 이용하는 아동이 사교육을 많이 받았다. 사교육비는 평균 129,700원으로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아동 연령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미취업일수록, 출생순위가 높을수록 유아에게 지출되는 사교육비 규모가 유의미하게 커졌다. 사교육은 아동의 발달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키므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 유지연;박창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23-1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도 사교육비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 지역, 학교 집단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의 집단 간 구조적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사교육으로 많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사교육 문제에 있어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2011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사교육목적과 방과후학교 참여에 따른 사교육비지출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ccording to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After School Program Participation)

  • 이준호;황혜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2호
    • /
    • pp.1-14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usehold'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at aggravates a burden on households by using the data from the 2014 Private Education Survey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The effects of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that is pushed by the government on household'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lean toward preparing to enroll in school and relieving parents'uneasiness rather than prior learning Secon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the differences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ere verified. Households spend the highest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o enroll in school contrary to the lowest level, which was for the purpose of compensatory learning. Thir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that is regarded as a method of moderating households' private education burden,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Forth,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influenced by the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In 2014, the Korean government enforced a law that prohibits schools'education in advance (prior learning) and regulate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advertisement about prior learning. Regarding this regul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urposes and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to provide an empirical reference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of related policies.

E-learning이 사교육시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learning on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in Korea)

  • 김영기;서명석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1-662
    • /
    • 2004
  • 인터넷의 성장과 더불어 e-learning 을 통한 교육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을 통한 고교의 보충수업이 사교육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다. 올해부터 시작된 EBS의 수능교육은 TV와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사교육시장에 작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연구방법으로는 EBS의 수능교육의 수요자인 고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PDF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 박순흥;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49-65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해 사교육 참여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고 있는 KELS 1차년도(2005년)부터 3차년도(2007년)의 자료 중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참여 여부, 주당 사교육 시간, 월 사교육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성별,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자료, 부모님의 월소득,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아효능감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연구목적에 포함된 변수들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435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나, 사교육 요인 중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의 경우 학년과의 상호작용이 수학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영재교육 참여경험은 수학성취도 향상 정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육 비용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부정적 사교육 비용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영재교육경험의 영향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KLIPS Using A Polarization Index and Gini Coefficient)

  • 양정호;한희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139-315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의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교육비 지출 격차에 대한 추이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종 분석대상은 해당 년도마다 한국노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약 1,300개에서부터 1,800개 가구이다. 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2001년도 이후 사교육비 지출은 계속적으로 늘었으며, 5분위 집단으로 나눈 집단간 비교에서도 사교육비 지출에 격차가 크게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교육비 지출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적은 1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만원에 머무르고 있는데 반해서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월평균 100만원을 넘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교육비 지출 1분위와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격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최근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사교육비 양극화 추이를 브라운지수평활방법을 이용해 5년간을 예측한 결과는 사교육비 양극화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비에 대한 교육정책 수립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Analysis of Women's selection Pattern on Kindergarten/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 이경선;김주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64-47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유치원 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KLoWF)중에서, 만2세 이상 만6세 이하의 유아를 두고 있는 여성 1,8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대상 교육기관은 크게 세 가지(유치원, 보육시설, 사교육)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관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연령이 어릴수록 보육시설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유치원만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보육시설 및 사교육의 중복선택은, 만6세에서 유치원과 사교육 함께 이용하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과 유치원, 보육시설을 병행하는 비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나, 사교육을 병행하는 비율이 유치원과 보육시설만 이용하는 비율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일자리유무와 일자리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가 제시되었다.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 수도권 지역 사설학원을 중심으로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vision of and Demand for Private Tutoring Service Industrie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의 사회 경제적 속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거주하고 있으며, 사교육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 사교육 시설 중 가장 대표적인 사설학원의 유형별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교육 수요층을 기존의 초 중 고 학생뿐만 아니라 학령기 이전의 유치원생 및 대학생까지 확대하여 각 연령대별 그들의 거주지 분포와 관련 사교육 시설의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LISA)을 통하여 사설학원의 유형에 따라 사설학원 수강자의 수요와 군집 패턴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의 사설학원 유형별 시설 수 및 수강자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사회 경제적 설명변수를 도출하였다.

  • PDF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따른 창의적 체험학습활동의 현황과 과제

  • 이성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7-426
    • /
    • 2010
  • 현 정부의 대입제도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21세기형 우수인재를 발굴 육성을 위하여 공교육 정상화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아울러 입학사정관제를 활성화하여 사교육에 의존하는 사회풍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과열경쟁으로 인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 체험학습활동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위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육과정의 현황을 창의적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