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1.02
  • Accepted : 2013.02.2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engagement of gifted education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by apply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on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For the analysis, we used KELS data including the score of Mathematics achievement from 2005 to 2007 in order to get useful variables like whether or not to engage private tutoring, weekly time and monthly cost of private tutoring,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gender, prior achievement of 6th grade, parents' monthly income,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 sample consisted of 4,435 7th graders from Korean middle schools who were included in the KELS and have the data available to a significant dataset having no missing values include. The result suggest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predicted students' high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rade and private tutoring time and cost has negative impac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has negative impact on the growth of mathematics achievement, bu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cos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shows affirmative impact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cos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directly.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discussed deeply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influence and its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해 사교육 참여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고 있는 KELS 1차년도(2005년)부터 3차년도(2007년)의 자료 중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참여 여부, 주당 사교육 시간, 월 사교육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성별,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자료, 부모님의 월소득,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아효능감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연구목적에 포함된 변수들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435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나, 사교육 요인 중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의 경우 학년과의 상호작용이 수학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영재교육 참여경험은 수학성취도 향상 정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육 비용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부정적 사교육 비용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영재교육경험의 영향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중 (2007).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중3-고2 시기 지출에 대한 탐색 분석. 제3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논문집. 3-18.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강태중 (2008). '사교육' 팽창의 교육적 함의 탐색. 교육원리연구, 13(1), 47-72.
  3. 강창희, 류덕현 (2008).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on acade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제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111-13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경근, 변수용 (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7(1), 23-51.
  5. 김미숙, 이미경, 강병직, 김영아, 김인순, 박지은, 서예원, 유경재, 이희연, 전경남(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표준 정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양분, 김성식, 박성호, 민병철, 강상진, 김현철, 신종호 (2006).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06-22.
  7. 김진영 (2007). 국제비교를 통해 본 사교육의 원인과 결과. 공공경제, 12(2), 119-151.
  8. 김현진 (2007). 가정배경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85-508.
  9. 남기곤 (2008). 사교육시간과 학업성적과의 관련성: PISA 자료를 이용한 국제비교분석. 한국경제학보, 15(1), 55-90.
  10. 류한구, 김양분, 강상진, 남궁지영 (2004). 국가 수준의 종단적 교육 조사 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04-4.
  11. 박철성 (2011). 학부모의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사교육 수요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17(1), 73-119.
  12. 반상진, 정성석, 양성관 (2005). 과외가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학술대회 논문집, 493-530.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박현정, 상경아, 강주연 (2008).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평가연구, 21(4), 107-127.
  14. 신종호, 김용남, 부은주, 서은진 (2008). 학부모 개입 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제2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157-17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양태연, 한기순 (2009). C 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37-155.
  16. 오영수, 윤정식 (2003).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2(1), 33-56.
  17. 오호영 (2011). 누가, 왜 사교육을 받는가. 2011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18. 이경화, 박춘성, 유경훈, 최병연 (2009). 수학.과학 영재성 검사에서 창의성과 사고력 및 수학.과학 학업성취 간의 관계와 영재판별 준거 분석. 교육심리연구, 23(3), 543-560.
  19. 이규민, 강상진, 노명완, 유제명, 류희찬 (2006). 국가수준의 종단적 교육조사 연구를 위한 성취도 검사 및 척도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최선영 (2008).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영재 학급에 대한 효과성 조사. 초등과학교육, 27(4), 437-445.
  21. 통계청 (2008). 2007 사교육비실태조사 결과 발표. 대전: 통계청.
  22. 통계청 (2011). 2010 사교육비실태조사 결과 발표. 대전: 통계청.
  23. 한국교육개발원 (2003).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수탁연구. CR2003-19.
  24. 한국교육개발원 (2009). 2009 선진형 영재교육 정착 추진계획.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중고등학생의 적성 및 학습시간 변화. KRIVET Issue Brief, 제3호 (2012. 5. 15.).
  26. 한기순 (2006).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의 총체적 진단과 분석. 한국과학재단.
  27. Borland, J. H. (2005). Gifted education without gifted children: The case for no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Ed.).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pp. 1-1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Delcourt, M. A. B., & Evans, K. (1994). Qualitative Extension of the Learning Outcomes Study.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88019).
  29. Hertzog, N. B. (2003).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Gifted Child Quarterly, 47(2), 131-143.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4
  30. Marsh, H. W., & Hau, K. (2003). Big-fish-little-pond effect on academic self concept. American Psychologist, 58(5), 364-376. https://doi.org/10.1037/0003-066X.58.5.364
  31. Raudenbush, S. W., &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32. Bui, S. A., Craig, S. G., & Imberman, S. A. (2010). Is Gifted Education a Bright Idea? Assessing the Impact of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on Achievement.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NBER) Working papers 17089.
  33. VanTassel-Baska, J. (2006). A content 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across 20 gifted programs:A clarion call for enhanced gifted program development. Gifted Child Quarterly, 50(3), 199-215. https://doi.org/10.1177/0016986206050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