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뽕나무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4초

상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꾸지뽕나무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dsoil and Growth Regulator on Cutting Propagation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5-288
    • /
    • 2004
  • 꾸지뽕나무의 대량번식을 위한 상토와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삽목 번식에 관한 시험을 수행한 바, 삽목상토는 미풍화토에서 양호하여 숙지삽과 녹지삽에서 각각 56.9%, 62.3%의 발근율을 보였고, 생장조절제는 IBA 100 ppm처리에서 발근이 양호하여 숙지삽에서 57.9%, 녹지삽에서는 89.2%의 발근율을 보였다.

식물염료염색 견직물의 색채 및 견우도에 관하여 (Colour Difference and Colour Rastness of Dyed Silk Fabric with Serveral Kinds of Vegetable Dyes.)

  • 정인모;이용우;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64
    • /
    • 1986
  • 몇 종의 식물자료에서 추출한 염액으로 견을 염색하여 색채를 조사하고 염색견에 3종의 매염제처리를 한 후 세탁 및 내광견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annin계 및 뽕나무뿌리로 염색한 견포의 색채는 연한 다색계통이었으며 염색견포에 황산동 및 황산제일철로 매염처리하면 색상(Hue)은 염재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변화되었고 명도 및 채도(V/V)는 모두 감소되었다. 2. Tannin계 및 뽕나무뿌리로 염색한 견포에 황산동 및 황산제일철로 매염처리하면 미매염견에 비하여 세탁견도가 1급내외 향상되었고 매염처리견의 자외선조사에 의한 dye-loss율이 미매염처리 견보다 크게 감소되어 내광견도가 향상되었다.

  • PDF

뽕나무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의 효과와 피해잎의 화학성분 및 잠작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erveral Insecticides to the Mulberry Thrips(Pseudodendrothips mori NIWA))

  • 백현준;이원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2-36
    • /
    • 1984
  • 하추기 뽕나무 총채벌레의 우수 방제 약제 선발과 총채벌레 피해뽕잎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 및 뽕잎 성분 변화를 구명키 위한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채벌레 방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 약제는 Ortran, Furadan, Metasystox이었으며, Ortran과 Furadan의 약효 지속기간은 25일로 제일 길었다. 2. 총채벌레 피해뽕잎과 방제뽕으로 누에를 사육한 결과 수견양 방제뽕잎구는 상자당 3.68kg (10a당 5.15kg)이 증수되었다. 3. 방제뽕잎중의 수분 및 전탄수화물의 함량은 피해뽕잎중의 그것보다 높았고, 피해뽕잎이 조기에 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뽕나무 접목묘에 관한 연구 IV. 12월 중의 내동성 (Studies on the Mulberry Graftages IV. Cold Hardiness in December)

  • 이원주;이주원;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5-68
    • /
    • 1989
  • 뽕나무 묘목의 내동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개량뽕과 검설뽕의 접목묘를 12월 5일 굴취하여 -5, -10, -$25^{\circ}C$에서 각각 6, 12, 24,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활착율과 식재후의 발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5$^{\circ}C$에서는 48시간까지 방치하여도 활착과 발아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1$0^{\circ}C$에서는 6시간 방치하여도 활착율이 40-80% 감소하고, 발육도 현저히 장애를 받았으며, 개량뽕은 12시간부터, 검설뽕은 -15$^{\circ}C$에서 6시간부터 모두 동사하였다. 따라서 묘목의 저온에 대한 안전조건은 -5$^{\circ}C$에서 48시간 이내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뽕나무버섯으로부터 Fibrinolytic enzyme의 정제 및 특성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from Armillariella mellea)

  • 김준호;김양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83-588
    • /
    • 1998
  • 뽕나무버섯 추출물에서 fibrinolytic enzyme을 분리 정제하였다.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19800Da 이고 pH 7.0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여주는 neutral protease로 $55^{\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다. EDTA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metalloprotease로 추정되며 $Hg^{+2}$의 영향을 받아 활성이 상실되었다. N-terminal amino acid 분석 결과 15번째까지의 아미노산 잔기 순서는 X-X-T-N-G-X-T-X-S-R-Q-T-T-L-V 이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새로운 효소이다.

  • PDF

누에 인공사료의 Cellulose원 개발에 관한 연구(II) (Study on the Extracted Cellulose Powder from Natural Resources for Artificial Diet of Silkworm, Bombyx mori (II))

  • 김주읍;박광의;성수일;유재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3
    • /
    • 1977
  • 누에의 인공사료에 첨가하는 cellulose의 종류별 제제방법별 및 첨가량별로 사육시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cellulose 중에서는 뽕나무 cellulos가 잠체중과 견층비율이 높고 감잠비율은 낮으며 경과일수도 짧아서 가장 우수하고 그 다음이 소나무 cellulose로서 뽕나무 cellulose와 거의 비슷한 사육성적을 나타내었다. 2. Cellulose조제방법은 PA법이나 NaOH처리법이나 서로 비슷한 사육성적을 나타내었으며 cellulose원에 따른 차이도 거의 인정되지 않았으나 무처리 cellulose는 극히 불량하였다. 3. 인공사료에 첨가하는 cellulose의 양은 건물사료의 15∼22.5%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뽕나무 오디를 이용한 cyanidin-3-glucoside 함유 천연식용색소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ural Pigment with Mulberry Fruit as a Food Additive)

  • 김현복;김선림;고성혁;석영식;김용순;성규병;강필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8-22
    • /
    • 2011
  • 뽕나무 오디함유 천연색소 C3G의 식용색소화 및 안정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은 0.1 % citric acid-70% EtOH로서 오디로부터 제조한 순수 오디색소 분말의 수율은 8%이었다. 실제 농가에서 오디 색소 추출시 추출 시간 및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추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오디색소 추출시 품종의 선택이 중요하므로 C3G 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디 색소 분말은 알코올, 물 및 밀가루 등 식품 재료나 가공방법에 상관없이 적색소의 특성이 유지되므로 다양한 식품에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뽕나무 오갈병에 강한 常一뽕의 동질4배체 ″4原뽕27號″ 創成 (The Breeding of “Sawonppong 27” that is Autotetraploid of the Sangilppong which has Good Mulberry Dwarf Resistance (Morus spp.))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
    • /
    • 2002
  • 뽕나무 오갈병의 발생률이 적은 장려뽕품종 “상일뽕”생장점에 Colchicine 적하처리를 하여 4배성인 4원뽕27호를 육성하였으며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염색체수는 2n=56인 4배체 이다. 2. 봄철 발아개엽기는 중생뽕이며 잎모양은 타원형과 3열엽이 혼재하는 폭광형이고 잎두께는 두껍다. 3. 가지길이와 마디사이 길이는 짧고 가지 기부의 불발아가 없으며 내동성은 모품종인 상일뽕보다 강하다.

한국산 닥나무속(Broussonetia, 뽕나무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 윤경원;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0-85
    • /
    • 2009
  • 한국산 닥나무속 식물의 분류학적 특징을 재검토하였다. 한지를 만드는데 사용해 온 닥나무와 꾸지 나무의 교잡종인 꾸지닥나무가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에서 자생하고 있어 새로이 Broussonetia ${\times}$ hanjiana M. Kim으로 명명하였다. 꾸지닥나무는 그동안 일반인들이 닥나무라고 일컫기 때문에 꾸지닥나무 대신에 닥나무라고 하였다. 따라서 Broussonetia kazinoki는 닥나무 대신에 애기닥나무라고 변경하였다. 또한 가거도에서 발견된 자웅이주인 애기닥나무를 가거애기닥나무(B. kazinoki for. koreana M. Kim)라고 새로이 명명하였다.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3T3-L1세포 지방축적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건희;김은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8-147
    • /
    • 2019
  •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of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C), and Morus alba (M).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M-root ($34.56{\pm}0.045mg\;GAE/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oot and M-leaf. Total flavonoid contents of C-root were highest ($23.07{\pm}0.004mg\;QE/g$).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as used.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ipocytes are generated by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adipogenesis. Matured adipocytes accumulate in abnormal and cause obesity. We investigated effect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C and 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egrees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Root extracts of C and M, reduced lipid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root extracts of C and M, may be good candidates for managing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