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행시뮬레이터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위성 편대비행을 위한 궤도와 자세 통합 시뮬레이터 시스템 개발

  • Park, Han-Eol;Park, Sang-Ye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6.1-26.1
    • /
    • 2011
  • 위성 편대비행 시스템에서 궤도 및 자세의 결정과 제어를 동시에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실제 위성에서는 궤도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자세는 계속 변한다. 그러므로 임무수행을 위해 편대위성들의 자세를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편대위성들의 자세 결정과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실제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궤도 및 자세의 결정과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합된 시뮬레이터 시스템이 필요하다. 통합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개발은 기존에 연세대학교에서 개발한 GP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편대비행 테스트베드와 하드웨어 자세 시뮬레이터를 각각 보완한 후 통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두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통합을 위하여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나누어 설계와 개발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결합하는 절차로 통합을 완료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통합 시뮬레이터 시스템과 통합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궤도와 자세를 동시에 시뮬레이션 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통합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궤도와 자세가 통합된 하드웨어 시뮬레이터 시스템은 실제 위성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고 실제의 하드웨어 특성으로부터 생기는 에러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의 실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 PDF

연구개발용 항공기 시뮬레이터 응용기술

  • 남윤수;고준수
    • ICROS
    • /
    • v.3 no.2
    • /
    • pp.64-77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연구 개발용 시뮬레이터에 국한하여 논제를 다루기로 한다. 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연구 개발용 시뮬레이터는 비행제어시스템의 설계/제작/시험평가의 전 단계동안 사용되는 것으로써, 이 시뮬레이터 응용에 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하여 본 논문의 제 2장에서는 일반적인 FBW 비행제어시스템 설계에 관하여 논의한다.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연구개발용 시뮬레이터로서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을 하며, 제 4장에서는 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시험평가 기술에 관하여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은 본 논문의 결론을 유도한다.

  • PDF

Development Status of Helicopter Simulator Technology (헬리콥터 시뮬레이터 기술개발현황)

  • Seo, Gang-Ho;Kim, Y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6
    • /
    • pp.446-4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echnical status and future prospects regarding helicopter simulator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we briefly summarize the concept of the simulator and the development history of helicopter simulators. In the main section, the development status of helicopter simulation technology is first presented and the FAA/EASA certification is then introduced as a verification method for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simulator technology. In addition, several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along with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are discuss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elicopter flight simulator.

KA-32T Helicopter Flight Test for Full Flight Simulator Validation (KA-32T 헬기 시뮬레이터 검증을 위한 비행시험)

  • Choi, Hyoung-Sik;Jang, Jae-Won;Jeon, Dae-Keun;Jun, Hyang-Si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7 no.1
    • /
    • pp.1-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e KA-32 Helicopter Training Simulator Development Program, executed by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is to acquire a helicopter simulator which meets level C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FAA AC 120-63.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manages the development program and is suppos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flight dynamics model based on simulator design data and flight test data. The helicopter chosen for this project is the Kamov KA32T, operated by the Korean Forest Aviation Office. This paper presents the test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and execution of the flight tests. The program consist of tests for the simulator qualification, additional tests for model data and additional tests for model validation. The flight trials were performed from 30 July to 31 August at the Iksan airbase of the Forest Aviation Office (FAO).

  • PDF

Flight simulator Development for a Large Number of UAVs (대량 소형 무인 항공체 비행시뮬레이터 개발)

  • Choi, Hyo Hyun;Cho, So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99-300
    • /
    • 2018
  • 개인 레저용, 상업용형 소형 무인 항공체 (UAV, Unmanded Aerial Vehicle)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지상의 장애물과 법 규제 등으로 인하여 좁은 공간에 높은 밀도로 비행할 것이 예상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다수의 UAV가 비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테스트를 위하여 Nvidia社의 PhysX 물리 엔진을 사용한 Unity3D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결과를 보인다. 실제 비행 전 시뮬레이션으로 UAV의 이동 및 충돌여부, 병목현상 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개발 하였다.

  • PDF

Development Trend of Cold Gas Propulsion System of a Simulator for Maneuvering and Attitude Control Design Verification of Spacecraft (우주비행체 기동 및 자세제어 설계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냉가스 추진시스템 개발 동향)

  • Kim, Jae-Hoon;Lee, Kyun Ho;Hong, Sung Kyung;Kim, Hae-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9 no.1
    • /
    • pp.87-97
    • /
    • 2015
  • In general, such ground based methods are utilized to validate maneuvering and attitude control logics of a spacecraft by a simulation with a flight software at a design phase and a integrated function test with actual hardwares at a system level. Recently, varification researches using operating simulators are getting increase using compact and precise components under a ground condition.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and summarized the development trend of cold gas propulsion systems for the spacecraft simulators and their maj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o derive fundamental data which are necessary for a conceptual design of the simulator.

Implementation of Joystick for Flight Simulator using WiFi Communication

  • Myeong-Chul Park;Sung-Ho Lee;Cha-Hun Par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8
    • /
    • pp.111-118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Fi-based joystick with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that can be used in flight simulators and VR fields. The flight simulator is a technology belonging to the ICT and SW application field and provides a simulation environment that reproduces the aircraft environment. Existing flight simulator control devices are fixed to a specific device and the user's activity area is limited. In this paper, a 3D space manipulation device was implemented for the user's free use of space. In addition, the proposed control device is designed as a WiFi communication board and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and performs 3-axis sensing for accurate and sophisticated control compared to existing VR equipment controllers. And the applicability was confirmed by implementing a Unity-based virtu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devic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 device operates norm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ing values in the game and the sensing values measured on the implemented board matched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VR and various metaverse related contents in addition to flight simulators.

Recovery Study for Satellite Contingency Using Satellite Simulator (위성 시뮬레이터 기능을 이용한 위성의 Contingency 대응방법 연구)

  • 조성기;이상욱;김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65-69
    • /
    • 2002
  • 위성의 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Contingency에 대한 분석과 이의 해결을 위한 운용자의 대응 과정은 매운 중요하다.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2004년 5월 발사 예정인 다목적 실용위성 2호 관제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으며 위성 시뮬레이터는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서브시스템이다 개발 중인 위성 시뮬레이터는 순수 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이며 위성의 하드웨어 서브시스템, 위성의 비행 소프트웨어, 위성 비행역학을 높은 정밀도를 갖는 모델로 구성하여 원격측정과 원격명령의 처리, 위성시스템, 기능검증, 위성 비행운동 예측과 분석, 위성 운용자 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위성 운용 중 발생 예측되는 Contingency 상황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다목적 실용위성 2호 관제시스템의 위성 시뮬레이터 기능과 그 이용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UAV Cluster Flight Simulation and Altitude Layer based on Gazebo (Gazebo 기반 UAV 군집 비행 시뮬레이션 개발 및 비행 고도 계층화 개발)

  • Choi, Hyo Hyun;Kim, Eung 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71-2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Gazebo 시뮬레이터 기반 UAV 군집 시뮬레이션 구현 및 비행 고도 계층화를 구현한 결과를 보인다. Gazebo 시뮬레이션과 Autopilot Program인 Pixhawk4 SITL(Software In The Loop)을 이용하여 UAV를 시뮬레이터에 생성한 뒤 사전에 정의된 Mission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행이 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Gazebo 시뮬레이터의 Box Object를 이용하여 UAV의 비행 고도를 시각적으로 계층화하여 표현하였다.

  • PDF

Preliminary Evaluation of Handling Qualities of a SAR(Search & Rescue) Helicopter Simulator Based on ADS-33 Requirements (ADS-33 평가기준에 따른 소방헬기 비행시뮬레이터의 비행조종성 예비평가)

  • Yoon, Sugjoon;Kim, Donghyun;Seong, Eunhye;Park, Taejun;Hwang, Hoyon;Ahn, Jon;Lee, J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9
    • /
    • pp.796-805
    • /
    • 2016
  • As a part of the first stage in the helicopter flight simulator development, this study numerically evaluates handling qualities of the dynamics model. The flight dynamics model was generated using public information for AS365 N2, the target aircraft of the simulator. The flight simulator is under development as a pilot training and research tool for firefighting missions. The assessment of the model intends to valid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before the model is enhanced with flight test data. The evaluation is based on the ADS-33E-PRF(Aero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 criteria, with consideration of category of the aircraft, missions, and environment. The numerical operations follow required or recommended procedures of flight test for compliance demonstration. Evaluation results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rating specified in maneuverability ADS-33E-PRF. Results have identified to provide a satisfactory platform for flight dynamic model in the general helicopter simulator generated based on the RotorLibFDM, and can be used as a base for basic training an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