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용모델지수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42초

해수유동모델 검증을 위한 오차평가방법 비교 연구 (Skill Assessment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Hydrodynamic Model)

  • 김태윤;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3
    • /
    • 2011
  • 해수유동모델의 검증 및 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또는 적용가능한 10종류의 모델 오차평가방법 - 네가지의 정량적 평가방법(절대평균오차, 평균제곱근 오차, 상대적 절대평균오차, 백분율모델오차)과 여섯가지의 정성적 평가방법(상관계수, 신뢰지수, 일치지수, 모델효율성, 비용함수, 잔여량계수) - 을 소개하고, 실제 조위, 유속, 염분관측치와 3차원 곡선형 모델(CH3D)에서 구해진 플로리다 하구에서의 수치해에 이들 모델 오차평가방법들을 적용하였다. 조위 및 유속평가시 절대평균오차, 평균제곱근 오차, 상대적 절대평균오차, 상관계수, 일치지수, 모델효율성, 비용함수, 잔여량계수 등이 적합하였다. 그리고 염분평가시 절대평균오차, 평균제곱근 오차, 상대적 절대평균오차, 백분율모델오차, 상관계수, 신뢰지수, 비용함수, 잔여량계수 등의 사용이 타당하였다. 정량/정성적 평가방법들이 서로 유사한 평가경향을 보여 줌으로써, 상호간의 신뢰성도 보여 주었다. 다양한 모델 오차평가방법을 통하여 계산된 평가값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조위, 유속, 염분이 잘 재현된 해수유동모델의 평가범위를 제시하였다. 조위의 경우 상대적 절대평균 오차는 10%이내, 상관계수는 0.95이상, 일치지수는 0.98이상, 모델효율성은 0.93이상, 비용함수는 0.21이내이며, 유속의 경우 상대적 절대평균오차는 20%이내, 상관계수는 0.7이상, 일치지수는 0.8이상, 모델효율성은 0.5이상, 비용 함수는 0.5이내이며, 염분의 경우 상대적 절대평균오차와 백분율모델오차는 10%이내, 상관계수는 0.9이상, 신뢰지수는 1.15이내, 비용함수는 0.1이내 이다.

코스트 중요항목 분석을 통한 공사비 예측모델 연구 (Development of Construction Cost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Critical Work Items)

  • 이유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212-219
    • /
    • 2003
  • 건설공사에서 공사비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코스트 모델은 공사입찰$\cdot$계약단계에서 도급공사비 결정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건설사업 수행 전 단계에 걸쳐 건설공사에 소요될 비용을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예산범위 내에서 최적의 목적물을 설계 시공하여 궁극적으로 발주자의 투자비용에 대한 가치를 극대화하고 비용관리업무의 적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내역입찰방식을 널리 채택하고 있는 건설공사에서 내역서는 공사비 예측 및 계획 등 공사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여 왔으나, 현행 내역모델은 공사비의 예측 및 비용관리 측면에서 지나치게 상세하며, 공사계획 및 관리 업무와 연계시키는데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건설공사를 구성하는 세부 단위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은 모두 중요한 관리대상이지만, 단위작업의 내용에 따라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과 코스트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비용결정의 구조적 메커니즘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비용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내용을 규명하여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단순 간결한 코스트 예측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소한의 에이전트 배치를 통한 비용 효율적인 SFC 모니터링 방식 (A Cost-effective SFC Monitoring Approach with Minimum Agent Deployment)

  • 이지수;염상길;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2-125
    • /
    • 2018
  •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Service Function (SF)의 동적 구성을 위한 유연한 모델이 요구된다. Service Function Chaining (SFC)은 일련의 SF로 구성된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 배포 모델을 정의한다.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은 제어 평면을 중앙 집중화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를 단순화하여 SFC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DN 기반 SFC(SD_SFC)는 SF 장애를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모니터링 방식은 모든 SF에 Monitoring Agent(MA)를 배치하기 때문에 높은 시그널링 비용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한의 SF에 MA를 배치함으로써 시그널링 비용을 줄이는 SFC모니터링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SF selection 알고리즘은 최적화된 SF 집합을 사용하여 오버로드된 SF를 반환하여 MA를 배치한다. 우리는 제안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테스트베드 구현을 통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기존 방식에 비해서 시그널링 비용을 59.2% 절감하였다.

비용-일정 통합관리를 통한 건축공사 실적관리 (Performance Management through Time-Cost Integration in Construction Project)

  • 김동진;임형철;최정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379-382
    • /
    • 2001
  • 국내 건설프로젝트는 공정관리와 원가관리의 이원적 관리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정관리는 아직 그 체계가 미흡하고 상대적으로 관리의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의 원가위주의 관리체계로는 프로젝트 진행과정상의 수행성과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공기지연, 공사비초과, 생산성저하 둥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계획된 기간과 비용안에 효율적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일정의 통합관리를 통한 정확한 실적관리기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공정을 중심으로 한 실적관리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를 정확히 파악하여 성공적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방안으로 비용과 일정의 통합관리를 통한 실적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을 추정하기 위한 사용사례 점수 기반 모델 (A UCP-based Model to Estimate the Software Development Cost)

  • 박주석;정기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1호
    • /
    • pp.163-172
    • /
    • 2004
  •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 노력 추정 기법으로 사용사례점수(UCP, Use Case Point)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기술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적용한 AUCP(Adjusted Use Case Point)에 상수를 곱하여 개발 노력을 계산하는 선형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AUCP와 UUCP(Unadjusted Use Case Point)를 이용하여 개발노력을 추정하는 통계적인 모델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소프트웨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개발 기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선형 회귀모델이 부적합하다는 사실과 UCP 계산과정에서 TCF(Technical Complexity Factor)와 EF(Environmental Factor)를 적용에 따른 FP(Function Point) 오차 발생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사용사례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 연구의 문제점인 TCF와 EF를 고려하지 않고 직접 UUCP로부터 개발 노력을 추정한 수 있는 선형, 로그형, 다항식, 거듭제곱 및 지수함수 회귀모델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가장 적합한 모델로 지수형태의 비선형 회귀모델을 도출하였다.

신뢰구간상에서 EVMS 성과지수모델의 검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Verification of the Performance Index Model of EVMS in Credible Interval)

  • 강병욱;이영대;박혁;천용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8-481
    • /
    • 2002
  • 현재 국내 건설프로젝트에 EVMS가 도입되어 비용과 공정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EVMS는 선진 외국의 건설환경에 적합한 방법으로서 이 EVMS를 국내에 적용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VMS에서 최종공사비(EAC)를 예측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지수중의 하나인 합성지수(CI)의 가중치 n, m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신뢰구간상에 나타나는 합성지수(CI)를 검정하여 최종공사비(EAC)를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파라미터 접근법을 이용한 정전비용 변화에 따른 신뢰도지수 평가 (Reliability Evaluation Using a Parametric Approach)

  • 문국현;주성관;박종배;최재석;차준민;류성호;김홍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597_598
    • /
    • 2009
  • 전력계통의 신뢰도 평가는 전기에너지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최근 국내 전력산업에 경쟁적 시장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신뢰도 평가 연구에 시장 근원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라미터 접근법을 이용하여 정전비용 변화에 따른 신뢰도지수를 분석해 보았다. 수요 데이터의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다년간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신뢰도 평가 모델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 PDF

지역의 물관리를 위한 운영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al Index Calculation for Water Management of the Region)

  • 권용현;정성은;정지원;염경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1-641
    • /
    • 2015
  • 수자원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가 이슈화되고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는 현재 직면해 있는 물 문제를 ICT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가뭄과 홍수 등을 대응하기 위한 분산형 수자원, 그리고 수량과 수질등의 통합 관리를 지향하는 물관리 패러다임과 ICT와 물산업을 융복합화하여 양방향 실시간 운영을 통한 네트워크 구성, 그리고 대규모 수원개발과 장거리 수송방식으로부터 지역단위의 부존된 수자원인 다중수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이들 수원의 최적 블랜딩 기술 및 멀티워터루프를 이용한 수요자 중심의 물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부존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운영지수를 산정함으로써 지역의 평상시 물관리 운영과 상수공급차단, 다중수원에 오염물질 유입, 가뭄발생 등 비상시 상황에 물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스마트워터그리드에서 사용되는 물관리 운영지수는 비상시 지역간 플랫폼에 정상적으로 물공급이 어렵거나, 예상되어 유량 확보가 필요시 원활하게 유량 확보가 가능하도록 주변 지역간의 운영지수를 산정하여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시나리오에 나타내어 사용자가 플랫폼에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시한 운영지수이다. 물관리 운영지수는 중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에 선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량, 수질, 이송거리, 전력비용, 경제적인 영향 등을 고려하여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하고 통계적인 기법으로 유량, 수질, 이송거리, 전력비용, 경제적인 영향 등에 대한 장래추정치를 부여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하여 물관리 운영지수를 산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평상시에는 물수요 공급량을 정확히 관리하여 지역간의 수자원 불균형을 해소하고 비상시에는 상황을 대처하여 지역의 물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공아파트 실적데이터 기반의 지역지수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alculating Model for Local Index Based on Historical Data of Public Apartment Buildings)

  • 임대희;이승훈;서용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0
    • /
    • 2010
  • 국내 주택건설시장은 가격 경쟁의 심화와 함께 형태 구조적인 다양화가 동반되어 사업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사업 기획단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점점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개산견적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초기 기획단계의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나 프로그램 개발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역성을 고려하여 결과를 도출한 경우는 많지 않다. 비용 산정 시 지역적 보정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비용 추정이 가능하고, 이는 곧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아파트 실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지수 산정 방법론 및 산정 모델을 구축하고, 공사비 추정 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SysML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무기체계 정비도 지수 산출 (Computation of Maintainability Index Using SysML-Based M&S Technique for Improved Weapon Systems Development)

  • 유연용;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88-95
    • /
    • 2018
  • 정비도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얼마나 쉽게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좋은 정비도를 갖도록 개발된 시스템은 정비시간, 정비인력 및 소요자원 등의 절감을 통해 무기체계의 운용유지비용 관점에서 경쟁력을 갖게 된다. 시스템설계 후반기에서의 정비도 반영을 위한 설계변경은 비용 초과와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어서 설계 초기단계부터 정비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비도는 평균수리시간, 평균실정비시간 등으로 정량화할 수 있으나, 이는 시제품 제작 이후 또는 이력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추정가능하고 시스템 구성품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제약이 있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논문에서는 그래프 이론을 활용하였으나, 일련의 과정이 개별적으로 독립된 환경에서 수행되어 전체과정에 대한 관리의 효율성이 부족하다. 또한 3D 모델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계단계에서 정비도 평가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새로운 시스템 설계시 또는 설계초기에 적용할 때 제약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SysML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무기체계의 정비도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시스템 설계 및 정비도 추정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서, 시스템공학 도구 상의 정비속성 및 속성간 관계 값을 SysML 구조 다이어그램에 반영하여 구성품의 정비도를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나서 SysML Parametric 다이어그램을 생성하고 MATLAB과 연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량적인 정비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설계초기부터 시스템 모델과 정비도 모델의 통합으로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고, 정비도 지수가 낮은 구성품을 조기에 식별하여 설계 후반기에서의 설계변경에 따른 비용 및 일정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