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nstruction Cost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Critical Work Items

코스트 중요항목 분석을 통한 공사비 예측모델 연구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In construction project planning and control, a cost model performs a critical role such as cost determination on a contract stage and cost tracing. The model can maximize owner's profit and value within the project budget and optimize cost management works on overall construction implementation stages. A BoQ(Bill of Quantities) generally adopted in a unit price contract has been applied as an important tool for cost control and forecast. However a previous cost model based on the BoQ has shown limitations in that it requires too detailed information and heavy manpower on cost management and difficulty in keeping relationship with construction planning, scheduling and progress management. The each cost items and unit prices which constitute of construction works are individually very important management factors but the relative weight for each items and prices have a difference on the contents and conditions of each conditions of each construction works. In consideration of this structural mechanism of cost determination, this research is aimed at examining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construction cost determination and propose and verify a new cost forecasting model which is more simple and efficient and also keeps the accuracy of cost management.

건설공사에서 공사비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코스트 모델은 공사입찰$\cdot$계약단계에서 도급공사비 결정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건설사업 수행 전 단계에 걸쳐 건설공사에 소요될 비용을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예산범위 내에서 최적의 목적물을 설계 시공하여 궁극적으로 발주자의 투자비용에 대한 가치를 극대화하고 비용관리업무의 적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내역입찰방식을 널리 채택하고 있는 건설공사에서 내역서는 공사비 예측 및 계획 등 공사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여 왔으나, 현행 내역모델은 공사비의 예측 및 비용관리 측면에서 지나치게 상세하며, 공사계획 및 관리 업무와 연계시키는데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건설공사를 구성하는 세부 단위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은 모두 중요한 관리대상이지만, 단위작업의 내용에 따라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과 코스트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비용결정의 구조적 메커니즘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비용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내용을 규명하여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단순 간결한 코스트 예측모델을 제안 및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한수, 김인호, ‘건축공사 코스트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동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6, 10, pp.317-323
  2. 안윤기 외, EXCEL 97 데이터 처리, 자유아카데미, 1998
  3. 이유섭, 한충희, ‘공공건설공사 도급공사비 결정프로세스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2000. 9, pp.75-82
  4. 이유섭, ‘건축공사 일정-비용 중요항목 분석을 통한 통합계획 모델 연구’, 박사학위논문, 2002
  5. Morrison, N., ‘The Accuracy of Quantity Surveyors' Cost Estimating',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984, 2, pp.57-75
  6. Ahuja, Hira N. & Campbell, W. J., Estimating ; from Concept toCompletion, Prentice-Hall, Inc., 1986, pp. 83-84
  7. Property Services Agencies(PSA), 'Significant Items Estimating', 1987
  8. Runeson, G., 'An Analysis of the Accuracy of Estimating and the Distribution of Tender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988, 6, pp.357-370
  9. Newton, S., 'An Agenda for Cost Modelling Research',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991, pp.97-112
  10. Skitmore, M. and Brandan, P., 'Developments in Contract Price Forcasting and Bidding Techniques', Quantity Surveying Techniques-New Directions, Blackwell Science, 1995, pp.75-120
  11. Fortune, C. J. and Hinks, A. J., ''The Selection of Building Price Forecasting Models', CIB W-55, 1996. pp.183-193
  12. Seeley, I. H., Building Economics(fourth Edition), Macmillan, 1996
  13. Munns, A K. and Al-Haimus, K. M., 'Estimating using Cost Significant Global Cost Model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00, 1, pp.575-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