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안정적 시계열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on of the Elasticity of Employment and Policy Implications: The Use of Methods for the Analysis of Non-stationary Series (고용탄력성 추정과 정책적 시사점: 비안정적 시계열 분석 방법론을 이용한 고찰)

  • Hur, Jai-Joon;Koh, Young-Wo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4 no.3
    • /
    • pp.59-80
    • /
    • 2011
  • Using methods for the analysis of non-stationary series and error correction models, this study estimates the elasticity of employment with regard to growth rate and its variability. The authors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evidence that elasticity has reduced during the last 25 years, which implies that the slow-down of the employment growth did not result from a reduction of the elasticity but from the GDP growth slow-down. Therefore, policy efforts to enhance the capacity of job creation should be made in a manner that can extend the long-term growth potential.

  • PDF

안정적 시계열의 변이상태에 대한 판별연구-변압기 진동신호에 대한 응용을 중심으로-

  • 이정진;정찬수;송정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3
    • /
    • pp.617-628
    • /
    • 1997
  • 시계열 자료의 변이상태(transition status)에 대한 판별은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변압기의 진동신호와 같이 특정한 시계열모형을 적합시키기 힘든 자료는 변이 상태에 대한 판별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적인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신호에 대하여 각 주기별 최대값, 자기상관계수 및 편자기상관계수 등의 경험적 표본분포를 연구한 후, 이를 이용한 관리도를 만들어 변압기 진동신호의 변이상태에 대한 판별을 하였다. 이 방법은 품질관리의 관리도 이론을 시계열자료에 응용한 것으로 비정상적인 변압기 진동신호의 판별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왔다.

  • PDF

Applying Hilbert-Huang Transform to Extract Essential Patterns from Hand Accelerometer Data (힐버트-황 변환에 통한 Hand Accelerometer 데이터의 핵심 패턴 추출)

  • Choe, Byeongseog;Suh, Jung-Yul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2
    • /
    • pp.179-190
    • /
    • 2017
  • Hand Accelerometers are widely used to detect human motion patterns in real-time. It is essential to reliably identify which type of activity is performed by human subjects. This rests on having accurate template of each activity. Many human activities are represented as a set of multiple time-series data from such sensors, which are mostly non-stationary and non-linear in nature. This requires a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extract patterns from non-stationary and non-linear data. To achieve such a goal, we propose the method to apply Hilbert-Huang Transform which is known to be an effective way of extracting non-stationary and non-linear components from time-series data. It is applied on samples of accelerometer data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A Study on the Test and Visualization of Change in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Non-Stationary of Long-Term Time Series Data Based on Unit Root Test (Unit Root Test를 기반으로 한 장기 시계열 데이터의 Non-Stationary 발생에 따른 구조 변화 검정 및 시각화 연구)

  • Yoo, Jaeseong;Choo, Jaegu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7
    • /
    • pp.289-302
    • /
    • 2019
  • Structural change of time serie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observations is relatively stable in the period of constituting the entire time series data, but shows a sudden change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t a specific time point. Within a non-stationary long-term time seri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in a timely manner whether the change in short-term trends is transient or structurally changed.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always detect the change of the time series trend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cope with the 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cision makers to easily grasp the structural changes of time series by visualizing the test results based on the unit root test.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hort-term structural changes even in the long-term time series through the method of dividing the time series and testing it.

A study on the chaotic analysis of snoring signal (코골이 신호의 카오틱 신호 분석에 관한 연구)

  • Choo, Yeon-Gyu;Kang, Sung-Soo;Kim, B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655-657
    • /
    • 2010
  • 현재 코골이를 방지하는 위한 기구로는 양압 산소호흡기, 스프레이, 전기자극기, 수술, 구강내 보조기구가 있으나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너무 고가이어서 일반적인 코골이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하고 안정적인 코골이 신호인식을 위해 시계열 분석방법을 통해서 선형적인 성질보다 비선형적인 성질이 강한 코골이 신호의 카오틱 신호 유무를 해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시계열 데이터는 30대 성인남자로부터 수면시간 6시간중중 발생하는 코골이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샘플링 주파수 22kHz, 모노 형태로 수집한 것이다. 위상공간의 궤적 분석, 매입차원에 의한 상관적분 분석, 파워 스펙트럼과 자기상관함수 분석 등의 정량 및 정성적 분석방법을 통해서 수집한 코골이 신호의 분석결과 신호가 부분적으로 주기적 성질을 가지는 카오스 신호임을 확인하였다.

  • PDF

Real-time Error Detection Based on Time Series Prediction for Embedded Sensors (임베디드 센서를 위한 시계열 예측 기반 실시간 오류 검출 기법)

  • Kim, Hyung-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2
    • /
    • pp.11-21
    • /
    • 2011
  • An embedded senso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s spatial environment, such as barriers or distance, through low power and signal strength. Due to these causes, noise data frequently occur in an embedded sensor. Because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mbedded sensor exists in a time series, it is hard to detect an error which continuously takes place in the time series information on a realtime basis. In this paper, we proposes an error detection method based on time-series prediction that detects error signals of embedded sensors in rea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mbedded devices. The error detection method based on time-series prediction proposed in this paper determines errors in generated embedded device signals using a stable distance function. When detecting errors by monitoring signals from an embedded device, the stable distance function can detect error signals effectively by applying error weight to the latest signals. When detecting errors by monitoring signals from an embedded device, the stable distance function can detect error signals effectively by applying error weight to the latest signals.

장기관측자료 시계열분석을 통한 대수층 특성 평가

  • 원이정;김형수;구민호;서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65-268
    • /
    • 2002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및 부여 정동ㆍ자왕 지역의 장기수위관측 데이터 및 강수, 대기압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대수층의 함양특성 및 특히, 대기압에 대한 지하수위 변화 특성을 통한 대수층의 특성(properties) 유추 가능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하천에 인접한 자왕지구의 경우 자기상관분석에 의하면 다른 세 지역에 비해 데이터 값이 안정적이지 못하며, 대기압 변화에 대한 상관분석에서도 낮은 상관성을 나타낸다. 강수에 대한 함양 특성을 상호상관분석을 통해 해 보았으나, 강설에 의한 영향인지 대체적인 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차후 장기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좀 더 정확한 대수층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Hydrologic Time Series Forecasting using SVM (SVM을 이용한 수문 시계열 자료의 예측)

  • Hwang, Seok-Hwan;Kim, Joong-Ho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72-1976
    • /
    • 2007
  • 정확한 수문자료를 예측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현재까지 진행되어 왔다.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그 구조가 신경망과 유사하나 신경망과는 다르게 철저히 통계적, 수학적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고 비선형예측 모형이며 지역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다는 점 등으로 인해 상당히 견고한 모형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경우의 수문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통계학적 모형과 신경망 모형 그리고 수문학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적용된 사례가 매우적은 SVM 모형의 예측 결과 비교를 통해 모형의 장단점을 평가하였다. 비교 결과 SVM 모형은 수문시계열 자료 예측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안정적이고 정확한 예측 결과를 보여 주었다.

  • PDF

한국주가지수(韓國株價指數) 수익률(收益率)의 변동특성(變動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 R/S 분석을 중심으로 -

  • Yu, Seong-Hui;Kim, Sang-Ra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3
    • /
    • pp.183-201
    • /
    • 1997
  •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주가지수수익률의 변동특성이 카오스를 내재하고 있는지 아니면 랜덤과정을 따르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Hurst의 R/S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1980년 1월 5일부터 1996년 말까지 총 4,982일 동안의 일별종합주가지수를 대수수익률로 전환한 시계열자료로 R/S분석한 결과 안정성과 주기유무를 판별하는 V-통계량 그래프에 의하면 83일과 33일의 비주기적 순환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가우시안 랜덤과정과 그다지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형성을 제거한 ARMA잔차와 비선형성을 제거한 GARCHM잔차자료에 대한 R/S분석한 결과도 원래 시계열보다 더 가우시안 랜덤과정에 더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총 10개의 대리자료를 만들어서 평균을 취한 값으로 분석한 결과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일별주가지수수익률에 내재하는 선형성분을 ARMA과정에 의정에 제거하고 남은 잔차중에는 비선형성분이 여전히 잔존하는데 그것이 일부 GARCHM과정에 의해서 미미하고 가우시안 랜덤과정이 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Factors Affecting Core Resistivity Measurements (II)-Characteristics of Time Series Data and Determination Method of Resistivity (코어비저항 측정에 미치는 영향요소에 대한 실험적 고찰(Ⅱ) - 시계열자료의 특성과 대표비저항 값의 결정)

  • Kim, Yeong Hwa;Choe, Ye 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2 no.4
    • /
    • pp.269-276
    • /
    • 1999
  • As a part of trying to get the resistivity values correctly from laboratory core resistivity measurement, the effect of sample holders in resistivity measurement was analyzed and a better way to determine the representative resistivity value from the time series resistivity data was searched. Modified GS type and modified two-electrode type sample holders were devised and their effect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GS and two-electrode type sample holders. The modified two-electrode type sample holder has benefits both in repetition and simplicity in data acquisition.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trend of the time series resistivity data obtained with different kind of sample holders and source frequencies shows that the maximum curvature point method gives the best result in determining representative resistivity val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