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선형 구조해석

Search Result 1,8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on-Linear Response of a Semi-Submersible with Non-linear Restoring Forces (비선형 복원력을 가지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비선형 응답)

  • Jo, Hyo-Jae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8 no.1
    • /
    • pp.123-130
    • /
    • 1994
  • 일반적으로 규칙파 또는 불규칙파중에서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응답을 추정할때, 선형계에 적합한 주파수 영역해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해양구조물은 Lower Hull과 단면적이 일정한 Column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만약 Column의 단면적이 홀수에 따라 변화한다면 복원력항에 비선형계를 적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복원력을 고려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응답을 추정할 수 있는 시간 영역 해석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Column형상이 다른 5개의 모델을 선정하여, 이들의 시간 영역 해석결과와 주파수 영역 해석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파랑외력으로서 불규칙파를 적용할 때, 비선형 복원력이 해양구조물에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 PDF

Experimental Identification of Nonlinear Parameters in Frequency Domain (주파수영역에서 비선형 연결부 매개변수의 실험적 규명)

  • 김원진;박윤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a
    • /
    • pp.57-61
    • /
    • 1993
  • 본 연구목적은 선형부분구조물과 그 부분구조물들을 결합하는 비선형연결부 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해석하기 위해 비선형 연결부의 모델변화를 효과적으 로 규명하는데 있다. 제안된 방법은 시간영역에서만 계산이 가능하였던 힘- 상태 사상법을 주파수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전체구조물에서 선형부분구조 물들은 분리 해석이 가능하고, 시간영역의 많은 데이터를 줄일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 및 장점을 검증하기 위해서 쿨롱마찰 비선형 특성을 갖는 두 가지의 구조물에 대하여 각각 실험적으로 연결부의 매개변 수를 규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ccurate Comparison of Nonlinear Solution Which Used Tangent Stiffness Equation and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접선 강성방정식과 비선형 강성방정식을 이용한 비선형 해의 정확성 비교에 관한 연구)

  • Kim, Seung-Deog;Kim, Nam-Seok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2
    • /
    • pp.95-103
    • /
    • 2010
  • This paper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The large structure must have thin thickness for build the large space structure there fore structure instability review is important when we do structural design. The structure instability of the shelled structure is accept it sensitively by varied conditions. This come to a nonlinear problem with be concomitant large deformation. Accuracy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must improve to examine structure instability. In this study, space truss is analysis model Among tangent stiffness equation and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is using nonlinearity analysis program. The study compares an analysis result to investigate accuracy and convergence properties improvement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 PDF

Geometrically Non-linear Model in Flexibility Method (유연도법에서의 기하학적 비선형 모델)

  • Kwon, Min-Ho;Kim, Jin-S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3-66
    • /
    • 2011
  • 유연도법 기반의 공식화에서는 변위영역의 형상함수를 라그랑지언(Lagrangian)보간법에 의한 곡률로부터 횡방향 변위를 유도한다. 곡률변위보간법으로 유도한 매트릭스를 사용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방법과 강성도법을 기반으로 한 비선형 기존의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비교하여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Spacone의 이론을 확장시켜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유연도법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예제를 통하여 실제 문제에 대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f Shape Finding of Equally Stressed Surface for Membrane Structures by Dynamic Relaxation Method (동적이완법에 의한 막구조의 등장력곡면 형태해석에 관한 연구)

  • 한상을;이경수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321-330
    • /
    • 1998
  • 막구조의 초기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막요소의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평형방정식을 유도하고, 등장력곡면(equally stressed surface)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정식화한다. 막구조는 대변형에 의한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포함하고, 막구조의 특성상 초기장력에 의한 초기변형을 고려해야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막구조와 같은 인장구조물의 비선형 수치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해석기법으로써, 동적이완법(Dynamic Relaxation Method)에 대한 해석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이 방법에 의해 수행한 해석결과를 검토함으로써 막구조 해석에 적용 가능한 수치해석기법을 제시하고, 수치해석에 대한 예를 통해 본 해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Sequential multiscale analysis of FCC nanofilm considering hyperelastic effect (비선형 탄성효과를 고려한 FCC 나노박막의 순차적 멀티스케일 해석)

  • Kim, Won-Bae;Cho, Mae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53-2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표면효과와 비선형 탄성효과를 고려한 FCC 나노박막의 순차적 멀티스케일 해석 모델을 제시한다. 표면에서의 구성방정식은 표면응력과 표면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표시되며, 표면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표면물성들은 EAM 포텐셜을 이용한 원자적 계산 방법으로 계산된다. 두께가 얇은 나노박막은 표면응력으로 인하여 면내 방향으로 수축 또는 인장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나노박막의 평형상태에서의 변형율은 두께가 얇은 박막의 경우 재료가 선형 탄성 영역을 벗어나는 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나노박막의 해석시 벌크 영역의 비선형 탄성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비선형 탄성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CC 구조를 가지는 금속의 비선형 탄성 모델을 제시하고, EAM 포텐셜로 계산된 응력과 탄성 계수를 이용하여 매칭 기법을 통하여 비선형 탄성 모델의 계수들을 결정한다. 또한 Cauchy-Born Rule 모델과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비선형 탄성 모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 PDF

Nonlinear Analysis of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구조의 비선형 해석)

  • 서수연;이원호;이리형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3 no.2
    • /
    • pp.189-196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nalysis technique to predict the behavior of PC wall structures subjected to cyclic load. While PC wall panel is idealized by finite elements, the joints at which PC walls are connected each other are idealized by nonlinear spring elements. Axial and shear spring elements are developed for simulating shear, compression and tension behaviors of joints.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each spring elements we presen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incorporated into the computer program of DRAIN-2DX. The proposed analysis technique is evaluated by analyzing specimens previously tested and comparing with those. On the strength, stiffness, energy dissipation and lateral drift, analytical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with test results. This means the proposed technique is effective to predict the response of the PC wall structures.

  • PDF

Geometrically Non-Linear Analysis of Space Frames Considering Finite Rotations (유한회전을 고려한 공간뼈대의 기하학적 비선형해석)

  • Chu, Seok 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9 no.1 s.30
    • /
    • pp.81-9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유한 회전에 의한 효과를 고려한 곡선 보요소를 개발하고, 이 요소를 이용하여 공간뼈대 구조물의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곡선 보요소는 증분 변위장에 Rodriguez의 2차 유한 회전항을 포함시킴으로써, 유한 회전에 의한 기하학적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대변형 해석을 위하여 Total Lagrangian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는, 여러개의 임계점을 갖는 비선형 거동가지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중 및 변위 증분의 조합법이 사용되었다. 공간 뼈대 구조물의 해석 예제를 통하여,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에서 발생하는 유한 회전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한요소의 효율성 및 비선형 알고리즘으로 선택한 하중 및 변위 증분의 조합법의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Nonlinear Analysis for Negative Moment Distribution of MRS Slab End Joints (비선형 해석에 의한 MRS 슬래브 단부 접합부의 모멘트 분포 연구)

  • Moon, Jeong-Ho;Oh, Young-Hun;Lim, Jae-H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3 no.2
    • /
    • pp.177-184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approach of PC system with continuous connections at member ends. In multi-ribbed moment resisting slab (MRS) system, double tee members are connected continuously over inverted tee beams with the continuous reinforcements placed within topping concrete. Thus, negative moments are concentrated within the narrow connection area. In order to propose a design metho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mpanion study were examined using detailed nonlinear analysis. Then nonlinear static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partial continuity effect and the moment redistribution mechanism. Material and cross sectional properties were obtained from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mpanion study. Plastic hinge properties for nonlinear static analysis were modeled with cracking moment, nominal moment, corresponding member deformations, etc.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large amount of negative moment of MRS slab can be reduced by applying partial continuity and moment redistribution in MRS joint.

A Study on the Analysis of Plane Framework Considering Nonlinearity of Member and Rota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s Joining the Beams to the Columns (부재 비선형과 접합부의 회전강성을 고려한 골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 김경수;윤성기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3
    • /
    • pp.319-32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골조의 안정과 구조적인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2차 효과에 의한 기하학적 비선형 문제, 세장비가 작은 부재 단면의 소성, 보-기둥 접합부의 상태, 그리고 부재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기하학적 초기결함을 고려한 복합적인 비선형 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철골조 구조물의 거동을 근사적으로 예측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비선형 해석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상호관계를 파악되기 위해서 각 해석에 따른 좌굴하중과 거동을 비교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