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름과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6초

충남지역 밭작물 재배지 잡초발생 및 분포현황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엄민용;박수혁;서수정;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62-268
    • /
    • 2014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하는 충청남도 17개 시 군에 속하는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콩)재배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 현황을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충남지역 주요 식량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총 36과 130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59%를 차지하는 77종, 월년생잡초가 21%로 2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0%로 26종이었다. 바랭이가 중요치 10.19%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망초(7.82%), 쇠비름(5.22%), 명아주(5.21%) 순으로 우점하였다. 환경부지정 악성 위해잡초로 분류된 서양금혼초와 가시상추를 포함한 외래잡초 44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식량작물재배지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예측 및 잡초군락 변화 파악으로 체계적인 잡초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확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북부 밭 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Northern Gyeonggi-do)

  • 오영주;이욱재;홍선희;이용호;나채선;이인용;김창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76-283
    • /
    • 2014
  • 경기북부 밭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42과 129속 178종 1아종 21변종 1품종, 총 20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활형은 전체 식물 중에 다년생은 70종으로 34.9%, 일년생은 131종으로 65.1%로 분석되었다. 이중 국화과가 21%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은 벼과 12%와 마디풀과 7% 그리고 십자화과 5% 순으로 출현하였다. 밭에 출현한 잡초 중에서 외래잡초는 18과 62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 잡초의 우점종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치 분석에서는 쇠비름이 가장 높았으며 돌피, 개비름 순으로 조사되었다. 작물별로 잡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DCA 분석결과 율무밭의 잡초종이 다른 밭의 잡초종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발생정보는 경기북부 밭 잡초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약용식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rom Medicinal plants)

  • 최근표;정병희;이동일;이현용;이진하;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9-402
    • /
    • 2002
  • 50가지 식물자원을 대상으로 혈압상승을 주도하는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그결과 추출물농도 1mg/ml에서 50%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식물은 산뽕나무, 머위, 산부추, 돌나물, 꿀풀, 쇠비름, 마가목, 복분자, 속새, 감초, 창포 등 11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1mg/ml농도에서 목단, 곰취, 도인, 길경, 만형자, 참취, 익모초, 산조인, 가래나무, 석곡, 오갈피, 목향 등 12종은 $40{\sim}49%$의 비교적 높은 ACE 억제활성을 보였다. 1mg/ml에서 $30{\sim}39%$의 억제율을 보인 식물은 백부자, 백출, 세신, 당귀, 인삼, 천궁, 치자 등이었으며 현호색, 행인, 단삼, 백작약, 두충 강활 박하, 진피, 방기, 고본, 구기자, 홍화, 포황, 음양곽, 원지등은 $10{\sim}29%$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앞으로 ACE 억제활성이 높은 식물자원의 유효성분에 대한 물질확인과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검증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참당귀 밭 잡초방제(雜草防除) (Chemical Control of Weed for Angelica gigas NAKAI)

  • 서정식;손서규;김기식;서상명;김동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7-192
    • /
    • 1994
  • 참당귀(當歸) 이시재배시(移植栽培時) 몇가지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가 잡초발생(雜草發生)과 당귀(當歸)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코져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가 출아기(出芽期)와 추대률(抽臺率)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나타나지 않았다. 2. Simazin Wp 와 Methabenzthiazuron Wp 처리(處理)는 도장(圖場) 약해(藥害)가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Linuron Wp, Pendimethain Ec, Triflurain Ec 는 배양처리구(倍量處理區)에서도 약해발생(藥害發生)이 없었다. 3. 잡초(雜草) 방제가(防除價)는 Pendimethalin Ec, Linuron Wp 처리(處理)에서 89.6, 88.3 이었으며, 발생초종(發生草種)도 $5{\sim}7$종(種)으로 다른 약제처리에서 보다 적었다. 4. 발생잡초(發生雜草)는 광엽잡초(廣葉雜草) >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 > 쇠뜨기 순(順)으로 발생(發生)이 많았으며 우점초종(優点草種)은 명아주, 황새냉이, 쇠비름, 바랭이, 쇠뜨기 등(等)이었다. 5.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기준량(基準量)과, 배량(倍量)에서 손제초(除草)에 비(比)해 Linuron Wp, Pendimethaine Ec 처리구(處理區)에서 다소(多少) 증가(增收)되는 경향이었다.

  • PDF

경운방법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Silage Corn)

  • 김종덕;권찬호;구양회;신명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7-31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옥수수의 경운방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옥수수의 경운방법을 달리 하였을 때 토양특성, 잡초 및 사초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본 시험의 시험구 배치는 4개의 경운방법을 달리한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경운과 로타리를 한 처리구이며, T2는 로타리, T3는 디스크, T4는 무경운으로 하였다. 옥수수 파종전과 수확 후 토양의 특성에서는 pH 및 토양유기물은 파종전보다 수확시에 감소하였으나 다른 것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경운방법의 비교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옥수수의 출사소요일수는 무경운이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내도복성은 옥수수의 대지름이 굵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디스크보다 높았다. 옥수수의 주요 잡초는 피 (Echinochloa crusgall), 어저귀 (Abutilon avicennae)), 바랭이 (Digitatia saguinalis) 및 비름 (Amaranthus retroflexus) 등이었으며, 경운방법간 비교에서는 무경운이 다른 처리구보다 잡초수량이 적었다. 옥수수의 건물률 및 암이삭 비율은 관행과 로타리구가 디스크와 무경운보다 높았다. 그러나 건물 및 TDN 수량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로타리구보다 많았다. 따라서 미세경운인 디스크와 무경운은 내도복성과 수량을 증가키시고 잡초수량을 감소시키는 경운방법으로 적합하였다.

승봉도 식물상에 관한 분류 및 생태학적 연구 (Taxonomical and Ec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Seungbong Island)

  • Lee, Ho Joon;Seon Choel Choi;Young Hee Lee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2호
    • /
    • pp.105-116
    • /
    • 1990
  • 승봉도는 인천항으로 부터 약100여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소도로서 1981년 6월 30일부터 7월 1일까지 2일간, 1981년 8월 20일부터 21일까지 2일간 조사에 의해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도서의 소생식물은 총 193종(70과, 151속, 170종, 22변종, 1품종)으로 곰솔(Pinus thunbergii)이 우점종으로 밝혀졌으며 자연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양치식물 계수(Pte-Q)는 0.95로 한반도전체(1.7)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곰솔 임상하에는 삽주, 억새 및 진달래가 주로 분포되어 있고 명아주, 강아지풀 및 비름 등의 분포가 빈약한 것은 곰솔 잎에서 분필되는 어떠한 화학물질에 의한 allelopathy현상으로 생각된다. 타도서에 비하여 화작지와 초지의 면적이 적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되며, 우점종인 곰솔림하의 식물의 생장이 빈약한것은 곰솔 림하의 상대 조도가 낮은데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해양의 식물은 총 11종으로 비교적 종수가 다양하였다.

  • PDF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에 의한 과수원에서의 잡초방제효과 (Evaluation of Carfentrazone-ethy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Glyphosate or Glufosinate for Weed Control in Orchards)

  • 이희재;한성욱;구자옥;김명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6-261
    • /
    • 1997
  • 배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잡초생장기인 6월 중순에 조사한 결과 광엽초종은 쑥, 명아주, 여뀌, 망초, 닭의장풀, 메꽃, 비름 등이 우점발생하였고 화본과초종은 피, 바랭이, 강아지풀 등이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초종들이 거의 분포하였다. 새로운 경엽처리 제초제인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의 약량에 따른 혼합처리시 과수에 대한 약해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광엽초종에 대한 살초효과는 뚜렷하였으나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Glyphosate나 glufosinate의 단제 처리구에서 보다 carfentrazone-ethyl과의 혼합처리구에서 glyphosate나 glufosinate를 표준약량의 절반으로 혼합하더라도 약효발현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혼합처리에 의해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처리후 10일까지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보다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광엽 및 화본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약효의 지속기간이 길어점에 따라 후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도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 혼합처리시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헤어리벳치 잔류물이 제초활성 및 작물 약해에 미치는 영향 (Herbicidal Activities and Crop Injury of Hairy Vetch Residues)

  • 원옥재;로미즈 우딘;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5-182
    • /
    • 2011
  • 헤어리벳베치 잔류물의 제초효과와 작물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헤어리벳치 잔류물을 온실, 비닐하우스 및 포장조건에서 복토처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실조건에서 헤어리벳치와 토양(60:40) 혼합처리에서 90% 이상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90:10 혼합비율에서는 100% 고사되었다. 제초효과는 일반적으로 화본과잡초에 비해 광엽잡초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헤어리벳치 잔류물은 비닐하우스에서는 갈퀴덩굴, 명아주, 질경이와 소리쟁이에서 우수한 제초효과를 보였고, 포장조건에서는 갈퀴덩굴, 소리쟁이와 털비름에서 제초효과가 높았다. 헤어리벳치 혼합비물(60:40)을 0.5~0.75cm 깊이로 복토하였을 때 비닐하우스와 포장조건에서 약 80% 이상의 제초효과를 나타냈다. 헤어리벳치 잔류물은 상추를 제외한 옥수수, 콩, 무, 고추, 배추, 오이, 토마토, 들깨에서 모두 작물의 생장에 영향이 없었다.

식물병원균에 대한 몇가지 저급지방산의 항균특성 (Antifungal Properties of Some Short Chain Fatty Ac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박종성;갑원계개;서촌정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86
  •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5종의 저급지방산인 isobutyric(C-4), butyric(C-4), isovaleric(C-5), valeric (C-5), caproic(C-6) acids등이 그들 사이에 항균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시한 25종의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생장에 대하여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지방산의 항균력은 포자발아검정이나 균사신장검정에 있어서 공시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자발아검정에 공시한 17종의 병원균과 균사신장검정에 공시한 16종의 병원균은 그들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제각기 완전히 저해하는 각각의 지방산의 최저저해농도(MIC)에 따라 3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도 이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1) Caproic acid는 공시균의 균사신장보다 포자발아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였으나 약간의 예외는 있었지만 그 밖의 지방산은 이와같은 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2) 지방산의 사슬이 길수록 항균력도 강하다. 3) n-Butyric acid와 n-Valeric acid는 그들의 이성체보다 항균력이 강하다. 4) 각각의 지방산은 부생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에 대한 것보다 활물기생균이나 몇가지 조건적 기생균의 그것들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 PDF

물푸레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8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물푸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물푸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물푸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쇠비름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S. dysenteriae의 배양액에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