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대칭 축 강성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칭 축 강성을 가지는 발전기 회전자의 2X 진동 예측 (Prediction of 2X Vibration of a Generator Rotor with Asymmetric Shaft Stiffness)

  • 박철현;김영춘;조경구;양보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19
    • /
    • 2007
  • The large generator rotor used in fossil power plant has the possibility of high 2X vibration due to asymmetric shaft stiffness. The generator rotor is machined into pole faces to reduce stiffness difference and then is tested through 2X vibration measurement when the balancing works are performed in the balancing shop.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of large difference values between 2X vibration in the balancing shop and 2X vibration in site.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to estimate 2X vibration in site with more accuracy and applied for the retrofit of a fossil 400 MW class deteriorated generator. It shows that the new generator rotor is manufactured with a good 2X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is operated in a low 2X vibration level although the generator rotor has high 2X vibration in the balancing shop.

  • PDF

비대칭 단면을 갖는 박벽곡선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수치적 및 해석적 연구 (Analytical and Numerical Study on Saptially Coupled Free Vibration of Nonsymmetric Thin-Walled Curved Girders)

  • 김남일;김문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423-432
    • /
    • 2002
  • 비대칭 박벽단면을 갖는 곡선보의 자유진동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엄밀해 및 유한요소 이론을 제시한다. 단순지지된 일축대칭 박벽단면을 갖는 곡선보의 면내 자유진동 모드에 대응하는 엄밀해를 산정하였으며, 곡섬보를 유한요소로 분할하여 요소의 변위장을 요소의 변위벡터의 대하여 축방향 신장조건에서는 3차 그리고 비신장조건에서는 5차의 Hermitian 다항식으로 나타내고, 이를 운동방정식에 대입함으로써 탄성강성행렬과 질량행렬을 유도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엄밀해와 곡선보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ABAQUS 쉘요소를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특히 곡선보의 축방향 비신장조건과 두께-곡률효과가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비대칭 연단보강재가 설치된 직교이방성 개방단면 압축재의 탄성국부좌굴 (Elastic Local Buckling of Orthotropic Open Section Compression Members with Asymmetric Edge Stiffeners)

  • 윤순종;정상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1-7
    • /
    • 2001
  • 본 연구는 등분포 압축을 받는 비대칭 연단보강된 직교이방성 개방단면 구조용 부재의 탄성국부좌괄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결과이다. 비대칭 연단보강재는 비틀림강성을 무시한 보요소로 간주하였다. 플랜지판의 일부와 플랜지의 연단에 부착된 판으로 구성된 비대칭 연단보강재에 대한 이론적 해석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비대칭 연단보강재 단면의 도심을 지나는 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계산하였다. 유도된 식을 사용하여 비대칭 연단보강된 직교이방성 I형 압축재의 국부좌굴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 PDF

박벽 공간뼈대구조의 자유진동 및 안정성해석을 위한 일반이론 (General Theory for Free Vibration and Stability Analysis of Thin-walled Space Frames)

  • 김문영;김성보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1호
    • /
    • pp.191-204
    • /
    • 1998
  • 전단변형 효과를 무시하는 경우에 보존력을 받는 박벽공간뼈대구조의 자유진동 및 안정성해석을 위한 일반이론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비대칭 박벽단면의 임의점을 통과하는 부재축과 이와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좌표축을 도입하여 직각좌표계를 정의하고, 이 좌표축을 기준으로 semitangential 회전의 2차항을 고려하는 변위장을 도입하여 연속체에 대한 가상일의 원리로 부터 운동에너지, 탄성변형에너지, 그리고 초기응력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유도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형분포하중을 받는 박벽공간뼈대구조의 자유진동 및 안정성해석을 위한 운동방정식을 제시한다. 3차 Hermitian 다항식을 변위파라미터의 형상함수로 사용하여 박벽공간뼈대부재의 질량, 탄성강성 및 기하학적 강성행렬을 산정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위치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에 대한 하중보정강성행렬(load-correction stiffness matrix)을 제시한다. 본 이론 및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문헌의 결과와 비교하여 정당성을 입증한다.

  • PDF

초고속 구동축의 지지 조건에 따른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High-speed Driveshafts under the Variation of the Support Conditions)

  • 신응수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11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symmetrical support stiffness on the stability of a supercritical driveshaft with asymmetrical shaft stiffness and anisotropic bearings. The equations of motion is derived for a system including a rigid disk, a massless flexible asymmetric shaft, anisotropic bearings and a support beam. The Floquet theory is applied to perform the stability analysis with the variation of the support stiffness, the shaft asymmetry, the shaft damping and the shaft speed. The results show that the asymmetric support stiff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stability caused by primary resonance as well as the supercritical operation. First, the stiffness variation can stabilize the system around primary resonance by weakening the parametric resonance from the shaft asymmetry. Second, it also improve the stability characteristics at a supercritical operation when the support stiffness is not so high relative to the shaft stiffness.

補剛平板의 一般理論 硏究 (Study on the General Theory of Stiffened Plates)

  • 김천욱;원종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87-295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보강평간이론의 일반화를 위하여 해석모델을 비대칭 사교보강 평판으로 설정하였으며 응력과 변형율의 관계식을 수정도심을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힘의 평형관계로부터 직교축방향 곡률의 영향을 고려한 수정도심의 위치를 산정하였으 며 변형에너지법에 의하여 보강재교차부의 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판의 처짐의 4계편미 분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본 이론의 정밀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진동법에 의한 실험 등가강성을 산정하고 이론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집중질량을 가지는 원환의 자유진동 해석 (Free vibrational analysis of a circular ring with a concentrated mass)

  • 홍진선;김석현;이장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70-176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원환 또는 많은 축 대칭 구조물은 가공의 불균일성, 재질의 불 균일성, 불순물 또는 결함의 존재, 부분적인 질량 및 강성의 증감에 의하여 원래 하나 의 모우드로 있었던 모우드의 분리 현상이 일어나고 원주방향, 반경방향의 진동모우드 의 절선(nodal line)과 반절선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전체 진동응답 의 양상이 이상화된 원환 또는 축대칭 셸의 경우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종의 진동의 수치해석 및 실험에서 이미 관찰되었으나 현재까지 미 소 비대칭요소를 가지는 축대칭 구조(원환 또는 축대칭 셸)의 이론해 및 근사해에 대 한 연구보고는 매우 적다. 미소 비채칭을 갖는 축 대칭구조의 진동연구의 기본이 되 는 연구로서 축 대칭 셸의 기본요소 중 하나인 원환의 진동에 대한 집중질량의 영향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면내압축하중(面內壓縮荷重)을 받는 판(板)의 2차좌굴거동(次座屈擧動)에 관한 연구(硏究) (Secondary Buckling Behaviour of Plate under Inpane Compressive Loading)

  • 고재용;;백점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66-80
    • /
    • 1996
  • 최근 고장력강(高張力鋼)이 구조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어서 판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판두께가 얇아지므로해서 좌굴(座屈)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좌굴(座屈)발생후 판의 거동(擧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좌굴(座屈) 발생후 2차좌굴(次座屈)이라고 하는 하중하(荷重下)에서는 판(板)의 처짐모드가 갑자기 변한다. 전체구조물의 붕괴강도(崩壞强度)를 고려할 때 2차좌굴(次座屈)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면내압축하중(面內壓縮荷重)을 받는 판(板)의 2차좌굴거동(次座屈擧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초기처짐을 갖는 판(板)을 대상으로 하여 탄성대변형해석(彈性大變形解析)을 실시하여, 2차좌굴(次座屈)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즉, 정사각형판은 대칭의 처짐성분은 영향이 있으나 비대칭의 처짐성분은 영향이 전혀 없다. 또한, 종횡비(縱橫比)를 갖는 판(板)은 모든 처짐성분의 영향이 있으며 초기좌굴(初期座屈)후 면내강성(面內剛性)이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 PDF

건축구조물의 지진해석에서 좌표축의 설정에 따른 보정계수 산정법 (Scale-Up Factor for Seismic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 for Various Coordinate Systems)

  • 유일향;이동근;고현;김태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33-47
    • /
    • 2007
  • 실무에서 지진해석법으로 널리 쓰이는 방법은 등가정적해석법과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이다. 이 중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밑면전단력은 구조물의 주축을 해석좌표축에 어떻게 배치하는가와 상관없이 일관된 값을 나타낸다. 그러나 응답스펙트럼해석은 해석좌표 축에 구조물의 주축을 다르게 배치하여 해석을 수행하면 밑면전단력이 각기 다르게 발생한다. 이는 엔지니어가 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구조물의 주축을 해석좌표축에 어떻게 설정했는지에 따라 설계부재력이 모두 달라질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응답스펙트럼해석은 지진을 가한 방향의 직각방향에서 적지 않은 응답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한방향 해석에 대한 X와 Y축을 따라 분리되는 이러한 양방향 응답은 보정계수 산정시 쓰이는 밑면전단력을 작게 만들며 이는 결과적으로 보정계수를 크게하여 과다설계의 우려가 생긴다. 내진설계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평의 강성 차이에 따라 구조물을 크게 세 가지(양방향 대칭 구조물, 한방향 비대칭구조물, 양방향 비대칭구조물)로 분류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간단한 모델을 선정하고 구조물의 주축을 회전시켜가면서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경우의 예제구조물이 가지는 동적특성과 설계부재력을 살펴보았다. 현재 실무에서 적용되는 보정계수 산정법에 의한 설계부재력과 앞선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보정계수 산정법에 의한 설계부재력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보정계수 산정법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새로 제안된 보정계수 산정법에 의하여 설계부재력을 산정하는 것이 내진설계시 엔지니어들이 겪을 수 있는 혼란을 덜어주며 경제적인 부재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