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확도 평가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41초

천연가스 분석의 불확도 평가 및 품질 보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for the analysis of natural gas)

  • 우진춘;김용두;배현길;이강진;허재영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90-497
    • /
    • 2006
  • 액화 천연가스(LNG) 공정 분석 결과의 불확도 요인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불확도 요인은 측정 반복성,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시료 채취 방법에 따른 농도 변화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으며, 이 중에서 중요한 불확도 요인은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다. 주요 성분인 메탄 및 에탄의 경우, 각각 $90.0{\pm}0.9%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 및 $6.26{\pm}0.08%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이었다. 가스 성분원소별로 각 불확도 요소의 기여 정도는 차이가 있었고, 메탄 분석의 경우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8%, 사용된 표준가스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5%,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에 의한 상대 표준불확도가 0.24%이었다.

정적법 고진공표준기에 의해 교정한 스피닝 로터 게이지 불확도 평가 (Uncertainty Analysis of Spinning Rotor Gauge Calibrated by High Vacuum Standard of Static Expansion Method)

  • 홍승수;임인태;신용현;정광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6-194
    • /
    • 2005
  • 정적법 고진공 표준기를 이용하여 스피닝 로터 게이지를 $4.04\times10^{-3}$ $Pa\~1.11\times10^{-2}$Pa에서 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권고한 측정불확도 표현지침에 따라 불확도를 계산 및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준압력 $7.5488\times10^{-3}$ Pa에서 교정된 SRG의 합성표준불확도는 $95\%$ 신뢰수준, 포함인자 k = 1에서 $3.0035\times10^{-5}$ Pa로 나타났다.

단락시험설비의 측정 전류 불확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ncertainty in Current Measurement for the Short-circuit Test System)

  • 김동수;이기택;류재남;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41-1042
    • /
    • 2011
  • 저압 차단기의 단락성능평가를 위한 단락시험설비의 측정시스템은 고전압, 대전류를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측정기들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 신뢰도의 확보를 위해 측정불확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 Shunt와 비교시험을 통하여 전류 측정 시스템의 측정불확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 PDF

미량 황화물계 악취물질 측정의 불확도 평가 (Uncertainty Evaluation in Measurement of Trace Sulfur Compounds)

  • 허귀석;유연미;신상만;이진홍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86
    • /
    • 2003
  • 대기중의 황화물은 대표적인 악취물질로서 악취오염원 관리시에 이에 대한 측정이 자주 이루어 지고있다. 황화물의 경우 nmole/mole(ppb) 또는 그 이하의 농도의 극미량에서도 사람이 악취를 느끼게 하고있어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매우 낮은 농도까지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황화물은 반응성이 크고, 흡착성이 커서 일반 휘발성 유기물과는 달리 낮은 농도에서 더욱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정확한 측정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황화물의 측정 정확도를 확립하기 위해서 측정 단계별 불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표준중량충격원을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 측정불확도 평가 (Evaluat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of buildings using standard heavy impact source)

  • 이용봉;권혁제;김창환;조만희;김항;정성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3-151
    • /
    • 2023
  • 본 논문은 표준 중량충격원을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불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반복 측정의 영향 이외에도 측정 위치의 영향, 가진 위치의 영향, 음압측정에 사용된 장비의 영향 및 충격원의 영향 등을 고려하였다. 평균 최대 바닥충격음 레벨 측정의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요인별 불확도 평가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을 실제 측정 결과에 적용하여 평균 최대 바닥충격음 레벨 및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기준음원의 교정 절차 개발 및 불확도 평가 사례 (Development of the calibration procedure of the reference sound source and case study on the uncertainty evaluation)

  • 서재갑;조완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4-350
    • /
    • 2024
  • 기준음원은 음향파워 측정에 활용되는 중요한 기준기로, 국제 표준으로 그 사양이 규정되어 있으며, 측정 표준 분야에서 주요 교정 품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음원은 공급 전압에 의하여 그 출력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국에서 자체적으로 교정 서비스 체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잔향실 조건에서 기준음원을 교정하는 절차를 수립하고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교정 절차는 기본적으로 음향 파워의 정밀급 측정과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ISO 3741의 잔향실을 활용한 측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한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제 2종의 기준 음원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불확도를 산출하였다. 측정 예를 통하여 잔향실 내 음압 분포의 불균일성과 체적 측정 불확도가 전체 불확도에 기여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입력 전압에 대한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여 음향 파워 측정에서 반영할 수 있는 불확도 기여량을 검토하였다.

함정 내 소음 평가를 위한 불확도 추정 기법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uncertainty for the air-borne noise measurements in a naval ship)

  • 김성용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96-402
    • /
    • 2014
  • 함정의 높은 함내소음은 승조원들 간의 의사전달을 방해하여 전투력 저하를 야기하고, 근무환경의 질을 떨어뜨리므로 함내소음 측정은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신조함정은 인수 시운전 단계에서 함내소음을 측정하고 제시된 기준을 만족하도록 건조되고 있다. 함내소음 측정 결과로부터 기준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측정 불확도를 고려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 인수 시운전시의 함내소음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함내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불확도 추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신조 함정 7척에 적용한 결과, 함내 소음 불확도는 1dB 이하로 오차가 시운전 평가서 허용 오차(2dB)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 실험방법은 허용기준을 만족하고는 있지만 보다 신뢰성 있는 측정 결과를 위해 실험 방법 등의 개선으로 허용오차를 줄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풍력자원평가를 위한 라이다 관측 시 풍속연직분포 불확도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n Vertical Wind Profile Measurement of LIDAR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 김현구;최지휘;장문석;전완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5.1-185.1
    • /
    • 2010
  • 원격탐사(remote sensing)란 관측 대상과의 접촉 없이 멀리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기상관측분야에는 이미 소다(SODAR) 장비가 폭넓게 사용되거 왔으나 최근 풍력자원평가(wind resource assessment)를 위한 풍황측정에 SODAR와 더불어 라이다(LIDAR)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참고로 SODAR(SOnic Detection And Ranging)는 수직 및 동서 남북 방향으로 음파를 발생시키고 대기유동에 의해 산란 반사된 에코를 수신하여 진동수 변화와 반사에코 강도를 측정하여 각 방향의 에코자료를 벡터 합성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을 산출하는 원리이다. 반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비교적 최근에 풍황측정 용도로 개발된 레이저 탐지에 바탕을 둔 원거리 센서로, 공기입자(먼지, 수증기, 구름, 안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발산의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를 이용하여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원격탐사 장비이다. 풍력자원평가 측면에서 라이다는 그 정확도가 IEC61400-12에 의거한 풍황탑(met-mast) 측정자료 다수와의 비교검증 실측평가(Albers et al., 2009)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라이다 시스템은 그림 1의 우측 그림과 같이 1초에 $360^{\circ}$를 스캔하여 50지점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스펙트럼으로 측정하되 설정된 관측높이에서 풍속은 샘플링 부피(sampling volume)의 평균값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샘플링 부피는 설정된 관측높이로부터 상하 12.5m, 총 25m의 높이구간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의 평균값을 그 중앙지점에서의 풍속으로 환산하는 알고리듬(algorithm)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풍속연직분포 관측 시 풍속환산 알고리듬에 의한 측정오차가 개입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측정 시 샘플링 부피의 구간 평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도(uncertainty)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관측의 불확도를 정량평가하고자 한다.

  • PDF

용량형진공계 교정 불확도 (Calibration uncertainty of a capacitance diaphragm gauge)

  • 홍승수;신용현;정광화;임인태;우삼용;김정형;최상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1
    • /
    • 2001
  • 1,333 Pa 용량의 용량형진공계를 저진공 국가표준기인 초음파간섭 수은주압력계(ultrasonic interferometer manometer)를 이용하여 교정하였다. 이 결과의 불확도를 국제표준화기구의 권고안의 A형 불확도, B형 불확도, 합성표준불확도, 확장불확도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표준압력 1.76 Pa~1.31$\times$$10^3$Pa에서의 합성표준불확도는 $1.38 \times10^{-2}\; Pa\sim3.03 \times10^{-1} $Pa이었으며, 상대불확도(합성표준불확도/표준압력)는 $2.3 \times 10^{-4}\;Pa\sim7.9 X\times10^{-3} $Pa 이었다.

  • PDF

진공측정표준의 불확도 평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Uncertainty Evaluation Model for Vacuum Measurement Standards)

  • 홍승수;임종연;신용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13-321
    • /
    • 201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에는 초음파간섭 수은주압력계(ultrasonic interferometer manometer, UIM), 정적형표준기(static volume expansion system, SVES), 오리피스형 정압표준기(orifice-type dynamic expansion system, ODES) 등 세 개의 주요한 국가 진공표준기가 있다. 이 장치들의 불확도 평가를 위해 각각 변수들의 측정 및 계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지침에 따라 표준기들의 확장불확도(expanded uncertainty, U)를 계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