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만족도

검색결과 676건 처리시간 0.033초

급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불만족 요인 조사

  • 임정현;염혜선;이지현;노미라;윤여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한국인의 적정 소금섭취를 위한 식생활 전략
    • /
    • pp.457-457
    • /
    • 2002
  • PDF

강원지역 대학생들의 BMI에 따른 신체이형장애 조사 (Relationship of BMI to Body Dysmorphic Disorder among College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 안소연;오나래;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93-3300
    • /
    • 2013
  • 우리나라는 날씬하고 마른 체형을 선호하며 정상이나 저체중에도 체중조절이 일반화 되어 일상에 만연된 외모중시 풍조가 젊은 여성들 사이에 유행처럼 퍼져나가는 사회적분위기로 번지면서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하여 건강에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3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들의 신체 이형장애와의 관련성 그리고 우울과의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9월10일부터 21일 까지 강원 소재한 K대학교 보건계열 200명 비보건계열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여 총 31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학생들의 BMI에 따라 신체 불만 부위는 하체 전부에 대해서는 과체중인 여학생일수록 불만족하였으며(${\chi}^2$=6.97, p<.05), 허리-배에 대해서는 정상체중인 여학생이 가장 불만족하였고, 저체중인 여학생은 다른 여학생보다 덜 불만족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8.12, p<.05). 가슴(${\chi}^2$=8.45, p<.05)과 유방(${\chi}^2$=6.44, p<.05)에 대해서는 저체중인 여학생일수록 불만족하였으며, BMI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들의 BMI에 따라 신체 불만 부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과체중인 여학생일수록 하체 전부와 몸 전체에 대해 불만족하였으며, 정상체중인 여학생은 다른 여학생보다 허리-배에 대해 불만족하였고, 저체중인 여학생일수록 가슴과 유방에 대해 불만족하였다. 그러나, BMI에 따라 신체 불만 부위 변화를 위해 시도해보고 싶어 하는 방법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신체이형장애는 우울증과 연관되기 쉽고 사회 문화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추가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무공해식품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Making Processes of Organic Foods)

  • 남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9-394
    • /
    • 1994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공해식품의 구매동기로는 건강상의 이유(4.43/5점)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영양가의 이유(4.01), 맛의 이유(3.39)의 순으로 나타나 무공해식품이 지닌 장점이 곧 소비자의 구매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2. 첫번째의 무공해식품의 주정보원은 TV 라디오(65.1%)이었으며, 2위는 신문과 잡지(35.4%), 3위는 가족 친구 친지의 조언 상담(26.1%)으로 나타나 매스컴은 주요한 무공해식품의 정보원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3. 무공해식품의 구매시 전반적 고려정도(3.97/5점)가 상당히 높았고, 7가지 고려사항이 모두 높게 나타나 이 7가지 사항이 평가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위생상태와 신선도(4.37/5점), 영양가(4.13), 안전성(3.99)을 상당히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공해식품의 의견선도자는 매스컴(53.5%)이었으며, 구매시 자녀(50.6%)와 남편(34.3%)을 고려하여 구매하는 경향이었다. 4. 첫번째로 이용하는 구매장소는 슈퍼마켓(67.9%)이었으며 두번째의 장소로는 백화점(42.1%), 세번째로는 시장(35.5%) 및 인근가게(27.0%)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시 전반적 확인정도는 높았으며, 확인사항으로는 유통 보존기한(4.63)과 제조일자(4.59), 포장의 손상여부(4.47)는 반드시 확인하고 구입하는 경향이었으나, 제조회사명(3.83)을 확인하는 경우가 다소 낮았으며, 환경마크 및 품질보증표(3.91)와 식품첨가물(3.96)도 확인하는 경향이 높았다. 5. 구매 후 전반적 불만족도는 그다지 높지는 않았으나, 가격(4.03), 제품함량 부족(3.61), 성분과 제조날짜의 표시 미기재 및 불명확(3.45, 3.23)에 대해서 다소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6. 무공해식품의 전반적 고려정도와 확인정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는 무공해식품에 대한 관심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택유형이었다. 또한 전반적 불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 변수로는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도 주택유형으로 나타났다. 즉 무공해식품의 관심도가 많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무공해식품의 구매시 고려정도와 확인정도가 높으며, 소득이 많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무공해식품에 대한 전반적 불만족도가 높았다.

  • PDF

외식업체에서 상황대처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종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6권
    • /
    • pp.127-142
    • /
    • 2000
  • 오늘 날 외식업체는 고객욕구의 파악에 있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다 세심한 배려를 기울이기 보다는 서비스기업이 가지는 모방성의 특성에 따라 표면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신제품 개발과 서비스제공으로 경쟁력을 갖추려 하고 있다. 따라서 인적자원에 의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외식업체의 특성상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 와는 달리 고객의 입장에서 불만족의 요인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노출된 상 태에서 그러한 상황에 대처노력이 고객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향후 외식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외식업체의 서비스품질과 고객 만족의 관계에서 상황대처요인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일반적인 서비스 품질속성에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불만족요인에 대한 상황대처요인에 의해 전반적인 만족을 느낀다는 것이다. 특히 상황대처요인 가운데 대응의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두고 볼 때 외식업체에서는 고객만족을 위해 대응의지 제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 S여대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y Collections and Services in College Libraries: - the Case of S-Women's College Library -)

  • 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1-251
    • /
    • 2014
  • 이 연구는 S여대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즉, 도서관의 이용빈도, 상대적 중요성, 이용목적, 불만족 요인,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후에 학년, 전공계열별로 이용상의 만족도 및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 여학생의 내의 상품에 관한 불만족 요인과 선호이미지 연구- 부산시내 중고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male Adolescents′ Dissatisfaction Factors and Preferred Images of Underwear -Focused on 13-18 Aged Female Adolescents in Busan-)

  • 최은영
    • 복식
    • /
    • 제54권7호
    • /
    • pp.107-120
    • /
    • 2004
  • In this study. with the discovery of adolescents' dissatisfaction factors and preferred images of underwear, the Potentiality of adolescents' underwear market was illumina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develop a questionnaires. And data was collected from 309 adolescents female consumer in the age of 13-18 living in busan. The fe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the female adolescents' dissatisfaction with underwear was analyzed into seven factors. such as buying decision, deformation after laundring, feeling from putting on, price/product variety, the lack of effective design considering body shape, inconvenience for activity and aesthetics. And degree of dissatisfaction was significant different among groups classified by consumer's level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s age. Second, the female adolescents' preferred images of underwear are gorgeous/elegant, simple/plain, pure & innocent/modest. active and lovel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dolescents' desires of underwear product are different from adults'.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adolescents' underwear market.

수입의류와 국산의류의 불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issatisfaction towards Imported and Domestic Clothing)

  • 박혜정;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64-37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married women's dissatisfaction towards imported and domestic clothing and to test the role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dissatisfaction. Two-piece formal suit was selected as the item, and country of origin of imported suit was not controlled. Sampl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married women living in Seoul, Korea, between ages 30-59.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actor analysis,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indicate, in the Korean clothing market, both international and Korean marketers should be prudent with their price policies and should implemen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ir target market's demogrophic profile. Higher dissatisfaction towards domestic clothing in terms of most factors, under the rapidly globalizing market environment suggests the Korean marketers will be forced to face full-scale harsh competition from international mark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