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규칙 하중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8초

배관계 유체 유발진동 건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Fluid Induced Vibration Integrity Evaluation for the Pipe System)

  • 장훈;채장범;류호근;김동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16
    • /
    • 2014
  • 과거 유체 유발 진동(FIV : Fluid Induced Vibration)은 배관계 설계 하중에 고려되지 않은 설계 하중이었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소 또는 화력 발전소의 배관형상이 복잡하고 고온수가 배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배관계에서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한 배관진동이 발생하였다. 이에 배관 진동에 대하여 원인 분석과 배관 구조 건전성 평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배관 진동은 배관 형상에 따라 배관 내부 난류 유동에 대한 압력 변동이 하나의 원인이며, 고온수가 유동하는 배관일수록 압력 변동에 대한 배관 진동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관 내부 난류 유동에 대한 압력 변동을 불규칙 수력하중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관 내부에서 난류 유동으로 발생하는 불규칙 수력하중을 유동해석을 이용하여 PSD(Power Spectral Density)로 산출하고, PSD 하중을 이용하여 불규칙 구조 응답 해석을 수행하여 배관계 응력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배관 내부 난류 유동에 대한 불규칙 수력하중은 DES 난류 모델을 사용하여 시간에 대한 배관 내부 표면의 유체 속도를 유동 해석으로 산출하였으며, 유체 속도를 동압으로 계산한 후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PSD 하중으로 산출하였다. 그리고 불규칙 구조 응답 해석에서 배관 내부 유체 영향에 대한 진동 감쇠를 표현하기 위하여 유체 질량을 산출하고, 배관 구조 해석 모델 표면에 질량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배관 고유진동수 및 불규칙 구조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불규칙파중 다점계류중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력 및 운동응답특성 추정

  • 김옥석;오우준;김도정;이경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73
    • /
    • 2012
  • 본 연구는 선형이론에 기반한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불규칙파중에서 다점계류중인 해양구조물의 계류력과 운동응답특성을 추정하였다. 경험적인 실험에 의존했던 방법의 병행하여 해를 갖을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초기설계단계에서 계류력의 추정과 설치해역의 자연환경조건에서 해양구조물의 생명주기에 대한 추정을 하는 것은 충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설치해역은 연안해역의 환경조건을 적용하였으며 해석대상은 길이 200미터, 폭 30미터 높이 10미터의 강구조물에 대해서 선정하였다. 해석결과 대형구조물의 운동응답은 계류삭과 현수선의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불규칙 파랑하중에 대한 종횡강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정 IWAN 모델을 이용한 사질토의 반복경화거동에 대한 연구(II) : 모델 검증 (A Modified Parallel Iwan Model for Cyclic Hardening Behavior of Sand(II) : Verification)

  • 이진선;김동수;추연욱;윤종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57-6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동반된 논문에서 제안된 수정 병렬 IWAN 모델의 적용성을 금강 모래와 토요라 모래를 대상으로 비틂전단실험을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두가지 사질토에 대해서 대칭 하중과 불규칙 하중을 반복 재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변수는 다양한 상대밀도와 구속압 조건하에서 대칭 반복하중을 재하하여 결정하였다. 시험 결과, 하중반복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질토의 반복경화거동을 수정 병렬 IWAN 모델로 표현 가능하였으며, Pyke(1979)에 의해 제안된 불규칙 하중 형태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실험 조건이 유사한 대칭 반복하중 재하실험 결과로 얻어진 모델 변수를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다방향 불규칙 파랑중 파일 방파제에 의한 산란파 스펙트럼 (Scattering Wave Spectrum by a Pile Breakwater in Directional Irregular Waves)

  • 조일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86-595
    • /
    • 2007
  • 고유함수전개법을 사용하여 구한 파일 방파제에 의한 규칙파의 산란 해석해를 다방향 불규칙파로 확장하였다. 규칙파중 입사파의 주파수 그리고 입사각을 변화시키면서 구한 반사율과 투과율 그리고 파랑하중을 가지고 산란파 스펙트럼과 하중 스펙트럼을 표현하였다. 주파수와 입사각의 함수인 2차원 스펙트럼을 적분하여 산란파와 파랑하중의 대푯값을 구하고 방향분포함수, 주파향, 잠긴깊이 그리고 공극율이 투과율과 파랑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변동 하중하의 피로파괴

  • 송지호
    • 기계저널
    • /
    • 제30권2호
    • /
    • pp.115-130
    • /
    • 1990
  • 기구나 구조물에 작용하는 실제하중은 진폭 등이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이른 바 변동하중으로, 강 도설계에 있어서는 이러한 변동하중하의 피로에 관하여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 외에서는 현재까지 랜덤하중을 포함한 각종 변동하중 하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유익한 결 과도 얻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매우 단순한 변동하중하의 소수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실험 상의 어려움 등으로 주목할 만한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변동하중하의 피로 문제는 근래 국내의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어, 국내 학술지에도 이에 관한 해설 등(1)이 약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본 글에서는 랜덤하중을 포함한 변동하중하의 피로파괴에 관하여 기초사항과 함께 기본특성을 소개해 보기로 하였으며, 아울러 관련용어들도 정리해 두기로 하였다.

  • PDF

지진을 받는 현수교의 수직진동 (Vertical Seismic Vibration of Suspension Bridges)

  • 최지훈;이존자;김수보;이용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통권48호
    • /
    • pp.581-593
    • /
    • 2000
  • 본 연구는 지진하중을 받는 현수교의 수직 동적 해석방법을 발전시켰다. 시간 영역해석, 불규칙 진동 해석 및 스펙트럼 해석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불규칙 진동 해석을 다시 수치적분을 이용하는 방법과 수학적 적분식 및 상관계수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누고 각각은 다시 지진하중을 white noise로 가정한 경우와 filtered white noise로 가정한 경우에 대해 CQC 방법과 SRSS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수교의 모델링은 빔, 트러스 및 프레임요소를 사용하였고 케이블과 주탑은 사하중에 의한 기하학적 강성을 고려하였다.

  • PDF

불규칙한 노면(路面)을 주행하는 이동하중에 의한 연속교의 동적거동에 관한 이론 및 실험적 연구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Behavior of Continuous Bridge having Irregular Surface under-Moving Load)

  • 장승필;임성순;조서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1-30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과 실험적인 방법으로 이동하중용 받는 불규칙한 노면을 갖는 연속교의 동적거동을 연구하였다. 차량하중은 차축의 스프링효과를 포함하였으며 이로 인해 교량과 차량의 운동방정식은 결합된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었고 이를 반복시산법으로 해결하였다. 실험적인 방법에서는 상사율을 고려하여 원형과 모형에서 동일한 동적거동이 나타나도록 모델을 제작하였고 이러한 교량 불규칙조도면, 진입부 단차면, 연속 단차면을 주어 실험하였다. 속도의 분포와 조도면의 양상 및 차량의 진동에 따른 교량의 동적거동을 이론 및 실험적인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복합적층판의 비선형 불규칙 진동 해석에 관한 고전 이론, 1차 및 3차 전단 이론의 비교 연구 (Nonlinear Random Vibration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by Comparison of Classical Theory, 1st and 3rd Order Shear Theories)

  • Kang, Joowon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29-138
    • /
    • 2000
  • 새로운 공학재료의 하나인 복합재료는 뛰어난 역학적 성질로 인해 공학 전 분야에 걸쳐 사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복합재료에 대한 개발뿐만 아니라 정적 혹은 동적 하중을 받는 복합 구조물의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왔고 대부분 가해지는 하중은 확정적인 것으로 가정되었다. 그러나 실제 많은 상황에 있어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의 성질은 불규칙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 진동을 받는 복합적층판의 비선형 해석을 유한요소법에 의거하여 해석하였으며 고전 판 이론과 전단변형을 고려한 1차, 3차 이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많은 복합재료들은 전단 변형에 있어 재료적인 비선형을 나타내므로 이를 본 연구에 포함하였다.

  • PDF

가변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피로 해석 및 시험

  • 이장무
    • 기계저널
    • /
    • 제16권4호
    • /
    • pp.12-18
    • /
    • 1976
  • 기계 및 구조물들이 등진폭하중만을 받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서 대부분이 진폭과 주파수가 불규 칙하게 변하는 하중을 받는다. 실하중이력이 불규칙(random)한 모양을 갖는 것은 비행기, 자동차, 선박 등의 많은 기구물들이 공기의 터블런스, 거치론 도로표면 및 대양의 파도와 같이 random한 주위환경에 접하기 때문이다. 이 random한 환경과 구조물의 탄성성질들로 인해서 구조물로부터 측정된 하중응답신호들(응신율,변위 혹은 가속도)은 건폭과 주파수가 random하게 변하는 특정한 형태의 파형을 갖는다. 현금 우리나라에 이 방면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여 complex load history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관련된 피로시험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실지진하중을 이용한 포화사질토의 액상화 저항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of Saturated Sand Using Real Earthquake Loading)

  • 심재욱;박근보;최재순;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29-337
    • /
    • 2002
  • 최근까지 지반의 액상화 저항강도를 산정하기 위한 실내시험의 대부분은 실지진하중을 재하하기보다는 Seed와 Idriss(1975)가 제안한 등가전단응력 개념에 기초하여 지진이 발생시키는 최대전단응력의 65%를 최대진폭으로 한 정현하중을 반복재하시켜왔다. 이러한 정현하중이 정확하게 실제 지반에 작용하는 불규칙한 지진력을 모사하고 있다고 볼 수 없으나, 시험상의 편의성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이용이 빈번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지진하중 하에서 포화 사질토의 거동변화를 규명하고자 정현하중이 아닌 불규칙한 지진하중을 이용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지진규모의 실지진 시간이력을 진동하중으로 작용시킨 진동삼축시험을 통해 지진규모 및 지속시간의 변화에 따른 포화사질토의 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기존의 등가전단응력 개념에 기초한 액상화 저항강도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중약진 지진대로 구분되는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진규모에 적용가능한 수정계수를 제시하고 이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