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지장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초

외톨개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의 재생장에 미치는 식물호르몬의 효과 (Effect of Plant Hormone on the Regeneration of Myagropsis myagroides(Fucales, Sargassaceae))

  • 김중래;이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1-277
    • /
    • 1985
  • 외톨개모자반의 재생장에 미치는 식물호르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1측지에서는 생식기탁이 형성중인 정단부위와 정단에서 30mm 떨어진 하위부, 그리고 제 2측지에서는 정단에 서 5 mm하위부인 3부분에서 절편을 취하여, PESI를 기본배지로 하고 2,4-D, kinetine, NAA 그리고 IAA의 mole 농도별 용액에서 60 일간 배양하였다. 1. 식물호르몬의 재생장에 미치는 유효농도는 $10^{-5}M{\sim}10^{-8}M$이며 조해농도는 $10^{-3}M{\sim}10^{-4}M$이었다. 2. 제1측지의 재생장효능은 kinetine $10^{-8}M$, 2,4-D, $10^{-5}M$, NAA $10^{-6}M$ 그리고 IAA $10^{-6}M$ 순이었다. 3. 제2측지의 재생장효능은 NAA $10^{-6}M$, kinetine $10^{-8}M$, IAA $10^{-6}M$ 그리고 2,4-D $10^{-5}M$ 순이었다. 4. 제1측지와 제2측지의 순재생률에서 최대치는 각각 kinetine $10^{-6}M(157.3\%)$과 NAA $10^{-6}M(447.2\%)$이었고, 대조에서도 $124.1\%$$228.9\%$로 재생효능은 제2측지가 높았다. 5. 제2측지 절편에서 재생분지한 돌기는 모두 생식기탁으로 분화하였다. 6. 생식기탁 절편은 배양 $20{\sim}30$일 사이에 재생분지한 소지가 전부 생식기탁으로 성장하여 생란기를 형성하였고 40 일 후부터는 방란후 소실하였다.

  • PDF

유채내한성 계통들의 묘소질과 형태와 월동비육 생육 및 수량과의 관계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Cold Resistance Rating with Growth in the Nursery Stage in Rape)

  • 권병선;김관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5-108
    • /
    • 1979
  • 유채재배면적 확대를 위한 내한성 계통들의 묘소질 조사를 1977∼8년 작물시험장 목포지장에서 실시한바, 1. 묘의 1주당생체중이 무겁고 수부신장도가 낮으며 엽형이 완전 포복형은 내한성에 강하였다. 2. 월동비율이 높은 계통들은 수량구성요소인 유효분지수와 1수채수가 많아서 수량에서도 증수였다.

  • PDF

줄기가 강하고 밝은 화색의 절화용 안개꽃 '더블샤인' 육성 (A New Cultivar of Gypsophila paniculata 'Double Shine' with Bright Colored Flower and Strong Stem)

  • 정동춘;최창학;송영주;임회춘;김정만;이진재;이정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93-96
    • /
    • 2012
  • 1999년 'Bristol Fairy' 유래의 결실되는 아조변이체인 'Gyp99' 계통을 선발하였고, 계통의 실생 중 선발을 거듭한 결과, 특성이 우수한 'Gyp08-63' 계통을 선발하여 2년간 특성검정을 통해 'Double Shine' 품종을 육성하였다. 'Double Shine' 품종의 초형은 개장형이고, 잎 모양은 둥근 피침형, 소화는 꽃잎수가 많고 암술이 2개인 밝은 백색 겹꽃으로 꽃잎은 주걱형, 꽃받침 모양은 컵형인 식물체 고유 특성을 가졌다. 또한 화경이 단단하고, 흰가루병과 충해에도 강한 편이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Double Shine' 개화는 대조품종인 'Bristol Fairy'보다 16일 늦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었으며, 측지 분화가 많고 줄기가 굵고 분지각은 작았고, 기형화 발생이 없었다.

흰가루병에 강한 분홍색 절화용 안개꽃 '드림핑크' 육성 (A New Cultivar of Gypsophila paniculata with Powdery Mildew Resistance and Double Florets of Pink Color, 'Dream Pink')

  • 정동춘;임회춘;최창학;송영주;김정만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500-502
    • /
    • 2011
  • 1999년 'Bristol Fairy' 유래의 결실되는 아조변이체 Gyp99 계통을 선발하였고, 그 계통의 실생 중 계통선발을 거듭한 결과 특성이 우수한 Gyp06-29 계통을 선발하여 2년간 특성 검정을 통해 'Dream Pink'를 육성하였다. 'Dream Pink' 품종은 중간형의 초형을 가지고, 소화는 꽃잎수가 많고 암술이 2개인 분홍 겹꽃이며, 꽃잎은 도란형, 꽃받침 모양은 종형인 식물체 고유특성을 갖는다. 또한 화경이 강하고 흰가루병에 매우 강하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Dream Pink' 개화는 대조품종인 'My Pink'보다 5일 늦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었으며, 마디와 측지 분화가 많고 분지각은 작았다. 소화와 꽃받침 크기가 크고 꽃잎수가 많았다.

PE 필름 피복 재배가 땅콩 생육 및 종실의 단백질,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Seed Composition of Protein, Oil and Fatty Acid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Mulching in Peanut)

  • 이성우;김석동;박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7-651
    • /
    • 1997
  • 무피복 재배조건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 그리고 종실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무피복 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광땅콩, 대풍땅콩을 공시하고 흑색 비닐 피복재배와 비교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대광땅콩,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6일정도 지연되었으며 개화기는 각각 9일, 6일 지연되었고 입모율도 각각 3.7%, 16%감소되었다. 2. 분지장은 피복재배보다 대광땅콩 24%(11.2cm), 대풍땅콩 17%(6.9cm)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3. 성숙협수,100립중, 협실비율, 주당 종실수량등은 피복재배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밀식재배로 인한 재식밀도의 증가로 1ha당 종실수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와 비슷하였고 대풍땅콩의 경우는 26% 증수되었다. 4. 단백질함량은 대광땅콩의 경우, 피복재배보다 4% 증가하였으나 대풍땅콩은 3% 감소하였으며 지방함량은 두 품종 모두 각각 7%, 9% 감소되었다. 5.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는 대광, 대풍땅콩 모두 피복재배보다 증가하였으나 linolelc acid는 감소하였으며 O/L비율도 작아졌다.

  • PDF

석회 및 가리 시용이 땅콩의 생육 및 결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me and Potassium on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of Peanut Plant)

  • 손세호;김기준;현구택;이효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21-24
    • /
    • 1972
  • 1. 본 시험은 석회 및 가리의 시용량을 달리하여 땅콩 재배에 있어서 공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하에서 이루어졌다. 2. 분지장 및 분지수는 석회 및 가리의 시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정한도를 넘으면 오히려 감소되었다. 3. 지상부의 생체중은 가리의 시용량에 크게 관계없이 석회의 시용량에 따라 증가하나 그 한계점은 100kg/10a내외 이었다. 4. 석회와 가리의 일정한도내의 증시는 2입협을 증가시키는 반면 1입협과 공협수를 감소시키므로 결국 공협의 발생률을 저하시켰다. 5. 적량의 가리와 회석의 시용은 입중을 무겁게 하며 가리보다는 석회의 효과가 크고 또한 이들 양자간의 상호작용의 효과는 더욱 인정되었다. 6. 공협의 발생을 방지하고 최고의 종실수량을 얻기 위하여는 알맞은 N,P 이외에 가리 15kg, 석회 100kg 내외를 시용함이 합리적이라 본다.

  • PDF

참깨의 개화.등숙에 관한 연구 IV. 적엽처리가 참깨의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IV. Effects of Foliage Clipping on the Seed Maturity)

  • 이정일;강철환;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73
    • /
    • 1985
  • 참깨의 초형에 따른 비닐피복과 작기 그리고 적엽시기와 적엽부의별 적엽이 참깨의 동화기관과 종실의 결실.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후기등숙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일련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화 후 25일 하위엽 적엽에 따른 천립중 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보다, 비닐피복구는 무피복 보다, 맥후작은 단작 보다 천립중 감소가 컸다. 단경형 단작 하위적엽에서는 상위삭 천립중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2. 하위적엽에 의한 등숙립 비율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 보다, 맥후작은 단경 보다 등숙립 비율의 감소가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대차 없었다. 단경단작 25% 적엽에서 상위삭의 등숙립 비율은 무처리대비 약 6%의 증가를 보였으며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3. 개화 후 30 일.단경형.하위 25% 적엽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의 등숙률 증가를 보였으나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으며 상위적엽에 의하여 등숙률이 크게 떨어져 이 시기의 동화중심엽은 상위엽으로 추정되었고 단경형보다는 분지형의 하위엽이 등숙후기까지도 엽의 활력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단경.분지형 공히 큰 폭으로 등숙립 비율이 떨어졌다. 4. 하위 50 % 적엽에서 상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 엽에서 보다 39%가 더 증가되었으며 상위 50% 적엽에 의하여 하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대비 66%가 증가되어 한 쪽엽 적엽에 의하여 반대에 위치한 엽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보상작용이 인정되었다. 5 하위 50% 적엽에 의하여 광합성은 무처리에 비하여 58 %의 증가를 보였으나 상위 50 % 적엽에서는 Omg$CO_2$/d$m^2$/hr로서 잔존 하위엽에서 생성한 동화양분은 그 엽의 자체의 호흡에 의한 소모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식생장 후기 상위적엽에 의하여 광합성 작용은 치명적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잔존 하위엽의 광합성 기여도는 낮을 것으로 인정되었다. 6. 수확지수에서는 하위 25% 적엽에 의하여 무처리 대비 28%의 증가를 보인 반면 상위 50% 적엽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13% 감소되었다. 7. 하위 50% 적엽에서 잔존 엽면적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엽 면적에 비하여 48 %가 증가되었으나 상위적엽에서는 5% 증가에 그쳐 적엽에 의하여 신생 상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큰 반면에 노쇠한 하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거의 없었다. 8. 적엽에 따른 수량차는 분지형이 단경형에서 보다, 맥후작이 단작에서 보다 무처리에 비하여 감수폭이 터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단경.단작 하위 25 % 적엽에서 비닐피복과 무피복 공히 수량이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5 %와 8 %가 증가하였으며 타 적엽구에서는 감수되었다. 10.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34 % 감수된 반면 개화 후 3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 대비 24 % 감수에 그쳐 개화 후 10일 엽에서의 동화물질 생산 기여도가 개화 후 30 일 엽에서 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개화 후 10 일에는 단경.분지형 공히 하위 50 % 적엽구에서 가장 많은 감수를 보여 이 시기의 광합성 활동 중심엽은 하위엽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2-648
    • /
    • 1999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 PDF

벼 어린모 뿌리의 분화 및 신장에 미치는 Metalaxyl의 종자침청처리 효과 (Effect of Exogenous Metalaxyl Seed-Soaking on Root Initiation and Elongation of Young Rice Seedling)

  • 김제규;박광호;이문희;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45-553
    • /
    • 1993
  • 벼 기계이앙을 위한 어린모 육묘에서 뿌리엉킴촉진에 탁원한 효과가 있는 metalaxyl의 묘 뿌리분화 및 신장생장에 관한 일부 생리적 기작을 밝히고자 metalaxyl 침지처리에 따른 어린모의 근활력, 발근력, 아미노산 함량 변화, 광합성 및 엽록소함량등을 조사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etalaxyl(25%, 수화제) 200ppm에 침지처리한 어린모는 무처리에 비하여 전육묘기간중에 근활력이 높았으며 특히 파종후 10~13일에 현저하게 높았다. 2.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길이는 무처리보다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뿌리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3.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수는 무처리와 비슷한였으나, 관근에서 발생된 분지근(측근)의 수는 2~3배 증가되어 분기근의 분화를 촉진시켰다. 4. 어린모 뿌리의 alanine함량은 metalaxy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alanine 함량과 근활력, 또 metalaxyl 농도와 분지근수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metalaxyl 침지처리는 어린모 뿌리에서 거의 모든 종류의 아니노산 함량을 증가시켰다. 6. metalaxyl처리는 어린모 체내의 엽록소 및 전질소 함량을 높이고, 광합성량을 증가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