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 LEE Jung Sick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 CHIN Pyung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정식 (여수대학교 어병학과) ;
  • 진평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is composed of esophagus, stomach, intestine, anus and four or five pyloric caeca. Pyloric caecum is a blind sac in shape and originated from pyloric portion of the stomach. Relative length of But (RLG), that is length of digestive tract to standard length, is 1.04 (n=10). Histological layer of the digestive tract is composed of serous membrane, muscular layer, undeveloped submucosal layer and mucosal layer. The mucosal folds of the esophagus are regular branched form, Esophageal muscularis mucosae is well-developed. Mucosal epithelial layer is composed of cuboidal or columnar epithelium and mucous secretory cell. Microvilli are absent in the free surface of mucosal epithelium. The mucosal folds of the stomach are regular unbranched form. The stomach has a well-developed muscular layer and muscularis mucosae. Microvilli are present in the free surface of mucosal surface epithelium. The fundic portion of the stomach have a well-developed gastric gland and more numerous secretory granules than the other parts. The mucosal folds of the pyloric caeca and the intestine are irregular branched form, Intestine is divided into the anterior, mid and posterior intestines with length of mucosal folds and histological features, Posterior intestine has a more developed striated border and goblet cells than the other parts. Mid intestine has a more abundant absorptive cells than the other parts in the intestine and pyloric caeca.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