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류학적 검토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2초

옥소바나듐 (IV)-카르복실레이트 착물의 자기적 및 적외적 분광학적 성질 (Magnetic and Infrared Spectral Studies of Oxovanadium (IV)-Carboxylate Complexes)

  • 심윤보;최성낙;박종열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6-83
    • /
    • 1986
  • 카르복실기를 갖는 리간드들과 옥소바나듐(IV) 사이에 형성되는 착화합물 ($VO(picn)_2$, $VO(htmq)_2$, $VO(quin)_2$$VO(pyra)_2{\cdot}2H_2O)$들을 합성하여 그들의 IR 및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자화율 값과 V=O결합의 신축진동수 값으로부터 $VO(picn)_2$$VO(htmq)_2$착화합물에 있어 강한 분자간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IR데이타를 근거로 할 때 4개의 옥소바나듐(IV) 착물들에 있어 카르복실기는 모두 한자리 배위자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자유리간드와 옥소바나듐 착물의 IR스펙트럼을 비교 검토하므로서 중심원자와 리간드주게원자들로 구성되는 배위권에서의 기본 진동 형태를 분류하고 착물 형성 후 나타난 새로운 IR흡수띠들을 분류한 진동 형태와 대응시켰다.

  • PDF

NDVI를 이용한 습윤지표를 기준으로 습윤 및 건조상황의 분류 방법 제안 (Suggestion of Method to Classify Moisture or Dryness Condition from Moisture Index Obtained by NDVI)

  • 김주철;신사철;이상진;황만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4-94
    • /
    • 2009
  • NOAA/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얻어진 습윤지표 시계열 자료는 기왕의 연구로부터 지역의 습윤 및 건조 상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에 대하여 기후학적 물수지 모형에 의하여 얻어진 습윤지표를 습윤 및 건조 기후조건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재분류하였다. 습윤지표와 지역의 가뭄상황을 비교해 본 결과 지역의 습윤지표가 습윤/건조 상황의 탐지뿐만 아니라 징후의 감지, 지속기간 및 강도의 추정에도 대단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통계량에 따라 습윤지표를 기후구분으로 분류하는 단순화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습윤지표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습윤지표와 동일한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적 실제 가뭄현상과의 비교를 통해 본 습윤지표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나자스말속(자라풀과)의 미기록 식물 2종: 동아나자스말, 큰톱니나자스말 (Two unrecorded species of Najas L. (Hydrocharitaceae) from Korean flora: N. orientalis and N. oguraensis)

  • 나혜련;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7-113
    • /
    • 2009
  • 국내에서 채집된 나자스말속(Najas L.) 식물에 대한 형태학적 식별형질을 검토한 결과, 동아나자스말 (N. orientalis)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이 확인되어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동아나자스말은 원형의 엽초와 뚜렷하게 튀어나온 외종피세포벽으로서 식별할 수 있으며, 남부지역(김해, 강진)에 분포한다. 큰톱니나자스말은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유사하지만 수꽃이 크고 약실이 4개인 점에서 구별되며, 남부지역(창원, 장흥)에서 확인되었다. 한편, 전국적으로 분포가 확인된 N. gracillima의 국명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실나자스말로 명명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종을 포함한 한국산 나자스말속의 여섯 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신강자초(新疆紫草)와 내몽자초(內蒙紫草)의 형태, 분포 및 분류학적 검토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Taxonomic Consideration of the Arnebia euchroma and A. guttata)

  • 송준호;최고야;양선규;문병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3-70
    • /
    • 2019
  • Objective : Arnebiae Radix, the roots of Arnebia euchroma (Royle) Johnst. or A. guttata Bunge, is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East Asia. In the Korean Pharmacopoeia, three authentic species, including two Arnebia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 have recognized as a Lithospermi Radix. But, the morphological and taxonomic information of two authentic Arnebia species lacks date since their distribution and difficulty of accessing the natural habitats. Methods : A full description of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organs in the original plants was carried out using digital calipers and stereoscope. For providing their taxonomic and nomenclatural synonyms, we reviewed various plant checklists and taxonomic literature. Results : This study provides taxonomic information of A. euchroma and A. guttata based on a morphological examination of authentic plant individuals and field observation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wo Arnebia species, maj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nomenclatural reviews, distribution maps, and lists of voucher specimens examined are provided. The shape of leaves, root length, stem number, calyx length and pubescence as well as corolla color were useful characteristics for identification. Moreover, we confirmed that A. euchroma and A. guttata are clearly heterostylous species. Conclusion : Our research provides valuable basic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as quality control for distinguishing between Arnebiae Radix and its adulterants. These results will help in the understanding of authentic plants and also provide the verified materials and voucher information.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 홍은비;김다예;이광야;박지성;송철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9-199
    • /
    • 2021
  •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기반시설 및 용수관리로 재해를 예방하고 물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 종합정보시스템인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2년부터 저수지별 일공급량을 측정하여 기록 관리하고 있어, 저수지의 수위차와 공급량을 사용하여 저수지의 일유입량을 산정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고 저수지 종합건전성 평가를 위해 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량부문은 수문학적으로 하천환경 및 수생태계에 민감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로 지표를 구성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High Flow, Low Flow, Seasonality, Zero Flow, Variability로 구성하였다. 수질부문은 자연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 기준에 의한 분류를 통해 저수지의 건전성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자연적 요인은 환경부의 수질환경기준에 제시된 항목 중 저수지 건전성을 대표할 수 있는 수온, DO, COD, SS, TN, TP 및 TOC를 선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적용을 위해 적누, 이담, 송고 저수지를 선정하였다. 3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량, 수질 부문으로 나누어 부문별 건전성 및 종합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지표의 분석단위를 통일시키기 위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자료의 왜곡정도가 큰 경우에는 로그변환을 취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다. 가중치 적용은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는 전문가의 설문에 의한 방법보다는 수학적 방법을 이용한 주성분과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지수에 따라 하천별 현황을 주제별, 시기별로 검토하였으며 객관적이고 이해가 쉽게 5개 등급으로 등급분류를 해 저수지별 건전성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한국산 병어속(병어과) 어류 2종의 학명 검토 (Review of the Scientific Name for Two Species of Genus Pampus (Stromateidae) in Korea)

  • 이연명;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4-252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산 병어 및 덕대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 중국 및 일본산 병어속(Pampus) 어류의 형태 및 분자 특징을 비교하였다. 한국산 병어는 후두부의 파상 무늬가 가슴지느러미 너머로 뻗어 있고, 새개부 아래쪽 가장자리 홈이 없고, 척추골수가 34개인 점에서 Pampus punctatissimus로 동정되었다. 한국산 덕대는 후두부의 파상 무늬가 가슴지느러미 앞끝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새개부 아래쪽 가장자리 홈이 아래턱 배쪽까지 뻗어 있고, 척추골수가 38~42개인 점에서 Pampus argenteus로 동정되었다. 또한 한국산 병어는 일본산 P. punctatissimus와 평균 0.1% 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덕대는 중국산 P. argenteus와 평균 0.3%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산 병어를 P. punctatissimus로, 한국산 덕대를 P. argenteus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시사한다.

가자미 식해로부터 콜레스테를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olesterol Degradation Bacteria from Korea Traditional Salt Fermented Flat Fish)

  • 김관필;이창호;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2-101
    • /
    • 2001
  • 전통 발효 식품인 가자미 식 해로부터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분리된 균주들로 부터 여러 단계의 균주 선별시험을 통하여 cholesterol oxidate 생산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SFF34의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세포벽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Bacillus sp.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어 분리균을 Bacillus sp. SFF34로 명명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 배지 조성은 2.0% glucose, 0.5% yeast extract, 0.03% MgSO$_4$.7$H_2O$, 0.02% $K_2$HPO$_4$, 0.2% NH$_4$NO$_3$, 0.2% Cholesterol로 판명되었으며, 배양 조건은 3$0^{\circ}C$, 초기 pH 7.0, 진탕속도는 150rpm에서 24시간 배양시효소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42 U/ml).

  • PDF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현황과 기록학적 분석 시론 (The Statu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chive and the Archival Preliminary Study)

  • 정성미
    • 기록학연구
    • /
    • 제50호
    • /
    • pp.231-271
    • /
    • 2016
  •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전국에 걸쳐 일어난 밑으로부터의 항쟁이다. 이 사건은 우리나라 근대화의 서막을 열었으며 이 사건을 전후로 동아시아의 세력판도가 달라지는 전환점이 된 의미가 큰 사건이다. 동학혁명에 대한 인식은 1894년 당시 동학농민군은 반란을 일으킨 세력으로서 역적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근현대의 질곡을 거쳐 점차 변화되었다. 마침내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점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연구도 활발해지면서 재조명되었다. 본고에서는 동학농민혁명사료를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현황과 가치 및 성격을 살펴보았으며 시론적으로 기록학적 관점에서 수집과 분류, 정리와 기술에 대해 검토하였다.

산림청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특산식물 목록의 재고 (A Reconsideration of the List of National Endemic Plants (appendix 4-1) Under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Proposed by Korea Forest Service)

  • 박수경;길희영;김휘;장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38-58
    • /
    • 2013
  • 각 국가별로 고유종(혹은 특산종)은 보전생물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며 국가의 법률 시행에 의해 각 국가별로 분포의 제한이 되는 특산식물에 대한 관리를 하게 된다. 국가 기관인 환경부에서는 2005년도에 고유종목록을 출간하였고, 2011년 산림청에서는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 중[별표 1의 4] 특산식물 목록을 법으로 공표하였다. 이 법의 목록을 중심으로 법제화된 목록에서 제시된 빈번한 학명의 오류와 잘못된 종의 개념에 의한 목록을 점검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환경부는 527종, 산림청은 360종의 목록을 발표하였는데 양 국가 기관에서 공통으로 언급한 종은 환경부 목록의 품종(107) 수를 제외한 분류군(416)으로 계산하면 286종으로 산림청 목록의 약 80%에 해당된다. 산림청의 특산식물 목록을 근간으로 분석한 결과, 확인되는 단순 오타 오류는 67개(18.7%), 서명과 나명의 비합법적으로 발표한 이름은 모두 14종(3.9%)이며, 중국에 분포해서 특산식물에서 배제되어야 하는 12종(3.4%) 등 전체 목록의 4분의 1(24.9%)이 오류에 해당된다. 반면, 목록 중 분류학적 연구와 검토가 불충분해서 분류군의 실체를 인정하기 어려운 분류군(미해결후보종, unresolved candidates)인 73종(19.6%), 분류학적 이명으로 확인된 196종(55.5%)을 제외하면 특산식물은 59종(16.5%)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런 특산식물 목록의 오류는 종에 대한 개념 문제, 해당 종에 대한 정보 부족, 그리고 국가기관의 학명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오류에 대한 수정이 없는 잘못된 정보의 제공이 원인이다. 실제 고유종 대상이 되는 종들의 보전관리가 시급하게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과도한 고유종 선정에 의해 상대적인 관심에서 멀어져 미래에 멸종위기에 대한 문제를 자초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loristic Target Species - An Ecological Paradox of Floristic Regions -)

  • 김종원;엄병철;박정석;김윤하;최병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18-326
    • /
    • 2023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식물상 정보를 이용한 지역환경을 평가하는 주요 수단이며, 종의 선정과 평가는 식물구계 정보에 의거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물구계에 대해 학술적 진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식물구계 관련 핵심문헌 7편을 검토하였으며, 식물구계 적용 근거를 비교 검증하였다. 1919년의 Nakai 울릉도 식물상 조사보고서는 식물구계에 관련한 일반적인 지리구분(지방)을 처음으로 기재했다. Oh는 1977년에 한국의 유관속식물에 대한 식물지리구계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1978년에는 Lee & Yim이 중부와 남부를 가르는 구계도를 제시했고,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식물구계 경계는 조정되고 개정되었다. 마침내 2018년에는 Lee & Yim (1978)에서 변형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식물구계도가 채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구계들은 연구자 간에 차이가 있었고, 구계 지표 식물의 불일치성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상이성에 대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식화된 모든 식물구계도는 선험적으로 그은 임의 선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환경영향평가 및 국가 식물상 평가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그 실효성과 실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생태학적 전략을 제안했다 : 종분포 고유성(nativeness)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식물상 및 식물구계의 성취와 서식처 기반(habitat-based) 식물상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