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VI를 이용한 습윤지표를 기준으로 습윤 및 건조상황의 분류 방법 제안

Suggestion of Method to Classify Moisture or Dryness Condition from Moisture Index Obtained by NDVI

  • 김주철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신사철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황만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투고 : 2009.09.03
  • 심사 : 2009.12.15
  • 발행 : 2009.12.31

초록

NOAA/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얻어진 습윤지표 시계열 자료는 기왕의 연구로부터 지역의 습윤 및 건조 상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에 대하여 기후학적 물수지 모형에 의하여 얻어진 습윤지표를 습윤 및 건조 기후조건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재분류하였다. 습윤지표와 지역의 가뭄상황을 비교해 본 결과 지역의 습윤지표가 습윤/건조 상황의 탐지뿐만 아니라 징후의 감지, 지속기간 및 강도의 추정에도 대단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통계량에 따라 습윤지표를 기후구분으로 분류하는 단순화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습윤지표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습윤지표와 동일한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적 실제 가뭄현상과의 비교를 통해 본 습윤지표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Moisture Index time series derived from NOAA/AVHRR data have showed to be useful for humid and arid states. The humid/arid states of the Geum river basin are classified by means of the moisture index estimated from the climatic water budget model. Validations showed that the moisture index has excellent ability to detect humid/arid conditions and to measure time of its onset, intensity and duration. In this study, a simple method to classify the moisture index is proposed by statistical distribution condition. Also, the moisture index is compared with the regional actual state to detect drought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류경식, 황만하, 맹승진, 이상진. 2007. 유역관리 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유출특성 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3(4):527-534.
  2. 신사철, 황만하, 고익환, 이상진. 2006a. 식생 및 기온정보를 조합한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간편법 제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9(4):363-372.
  3. 신사철, 정수, 김경탁, 김주훈, 박정술. 2006b. NDVI를 이용한 가뭄지역 검출 및 부족수분량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02-114.
  4. 신사철, 황만하, 고익환. 2008. 기후학적 물수지에 의한 유역의 건조 및 습윤 상황 감시 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1(2):173-184.
  5. 신사철, 안태용. 2007.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산정방법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71-81.
  6.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2004.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5):407-424.
  7. 이주헌, 정상만, 김재한, 고양수. 2006. 가뭄모니 터링 시스템 구축: II. 정량적 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전망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9):801-812.
  8. 한국수자원공사. 2004. 실시간 물 관리 운영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13-174쪽.
  9. 한국수자원공사. 2006.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 보고서.
  10. Haan, C.T. 2002.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Iowa State Press. 378pp.
  11. Hamon, W.R. 1961.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roc. Am. Soc. Civil Engineering, J. of the Hydraulics Divisions. Vol. 87, pp. 107-120.
  12. Legates, D.R. and Mather, J.R. 1992. An evaluating of the average annual global water balance. Geographical review. Vol. 82, pp. 253-267. https://doi.org/10.2307/215350
  13. Shahin, M. 1985. Hydrology of Nile basin. Elsevier. 562pp.
  14. Tateishi, R. and C.H. Ahn. 1996. Mapping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balance for global land surfac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51:209-215. https://doi.org/10.1016/0924-2716(96)00015-9
  15.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ical Review. Vol. 38, pp. 55-94. https://doi.org/10.2307/210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