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atu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chive and the Archival Preliminary Study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현황과 기록학적 분석 시론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as a nationwide movement from the bottom of the uprising, which opened Korean moder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said revolution, the map of East Asian powers changed. It was an event with very significant meaning. When the revolution occurred in 1894, the peasant revolutionaries could not escape from the yoke of the traitors who rebelled. However, as time passed, recognition of the event also changed. Since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994, concerns and interests regarding the event have increased. Studies on this revolution have also been invigorated, thus shedding new light on the incident. By focusing on the historical sources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and archive of the event is studied, its value reviewed, and its collection, classification, arrangement, and description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tudies.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전국에 걸쳐 일어난 밑으로부터의 항쟁이다. 이 사건은 우리나라 근대화의 서막을 열었으며 이 사건을 전후로 동아시아의 세력판도가 달라지는 전환점이 된 의미가 큰 사건이다. 동학혁명에 대한 인식은 1894년 당시 동학농민군은 반란을 일으킨 세력으로서 역적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근현대의 질곡을 거쳐 점차 변화되었다. 마침내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점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연구도 활발해지면서 재조명되었다. 본고에서는 동학농민혁명사료를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현황과 가치 및 성격을 살펴보았으며 시론적으로 기록학적 관점에서 수집과 분류, 정리와 기술에 대해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효숙. 2011. 동학농민군 탄압 인물과 그 행적-미나미 코시로, 이두황, 조희연, 이도재를 중심으로. 동학연구, 22, 129-162.
  2. 국사편찬위원회. 1959. 동학란기록, 상.하. 서울: 역사문제연구소.
  3. 김용섭. 1958. 전봉준 공초의 분석: 동학난의 성격 일반. 사학연구, 2, 1-49.
  4.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사연구회. 2014.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과 21세기 동아시아 미래 전망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사연구회.
  5.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1996. 동학농민전쟁 사료총서 1-30권, 서울: 사운연구소.
  6. 동학농민혁명기록물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2016.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 정읍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7.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7.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 2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8.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8.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3, 4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9.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9.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5, 6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0.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10.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7, 8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1.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11.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9, 10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2.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13.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1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3.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14.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2, 13권. 서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4. 미나미고시로. 2015. 미나미고시로문서. 동학농민혁명신국역총서 5권.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5. 박맹수. 2015. 미마미고시로 문서 해제. 동학농민혁명 신국역총서 5권.
  16. 박맹수. 2014.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실상과 동아시아적 의미. 남도역사연구, 26. 9-35.
  17. 박맹수. 2009.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서울: 모시는 사람들.
  18. 박맹수. 2009. 전라도 유교 지식인의 동학농민군 인식와 대응. 한국근현대사연구, 51, 108-138.
  19. 박학래. 2015. 학초전. 동학농미혁명신국역총서 2권.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 배항섭. 1994. 충청지역 동학농민군의 동향과 동학교단: 홍양기사와 금번집략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23, 87-105.
  21. 신영우. 1994a. '동학농민전쟁' 연구와 일기자료. 역사와 현실, 12, 283-308.
  22. 신영우. 1994b. 자료소개 '동학농민전쟁' 연구와 일기자료. 역사와 현실, 12, 283-30.
  23. 역사문제연구소.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회. 1996.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30권. 서울: 사운연구소.
  24. 이이화. 1989. 오지영 동학사의 내용검토: 주로 1894년 동학농민전쟁과 관련하여. 민족문화, 12, 143-167.
  25. 이진영. 1993. 동학농민전쟁기 호남지역 태인 고현내면의 반농민군 구성과 활동: 김기술과 도강김씨를 중심으로. 전라문화논총, 6. 39-77.
  26. 조경구. 2003. 고문서 정리(整理)에 대한 기록학적 연구: 새로운 고문서 정리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기록학연구, 7, 37-74.
  27. 조시영 외. 2014. 소모사실 외. 동학농민혁명신국역총서 2권.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8. 채미하. 2004. 일본 근대 역사기록물의 분류와 기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9. 황현. 오하기문. (김종익 역. 1995. 오하기문. 서울: 역시비평사).
  30. 최병헌 외. 2014. 종리 원사 부 동학사 외. 동학농민혁명신국역총서 1권.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31. Miller, Fredric. 1990.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 S.A.A. (조경구 역. 2002.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의 정리와 기술. 서울: 진리탐구).
  32. 동학농민혁명종합시스템홈페이지
  3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DB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