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정보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6초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부정적 구전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 (Negative Word-of-Mouth Behavior and Intentions of the Public Library Users in Taegu Metropolitan City)

  • 오동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9-147
    • /
    • 2004
  • 이 연구는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이용자 48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부정적 구전행동과 부정적 구전의도를 구분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불만족의 강도와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정적 구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불만족의 강도와 불평태도, 서비스의 중요성, 불평비용, 충성도, 외적귀인이 부정적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추가분석결과 불평행동경험은 부정적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감정 상태가 작은 디스플레이의 정보 탐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motional states on information search pattern on small display)

  • 김혁;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21-329
    • /
    • 2006
  • 최근 들어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기존의 인지적인 측면 이외에 감정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좁은 화면을 통해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검색을 수행 할 때 감정 상태에 따라 정보 검색 패턴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실험참가자들의 감정 상태를 긍정적 혹은 부정적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을 듣게 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과거 기억으로부터 긍정적인 감정 혹은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자서전적 회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감정 유발 과정이 끝난 뒤 각 실험 참가자들은 작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세 나라들에 대한 여행 정보를 검색하여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를 선택하였고, 실험참가자들이 탐색한 링크들의 경로 및 각 링크에 머무른 시간 등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었다 실험결과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서는 중립 상태와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비해 보다 신속한 정보탐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립 상태와 부정 감정 상태에서는 긍정 감정 상태에 비해 세부 항목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인지적 자원을 할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CT(정보통신기술)스트레스의 정서적영향과 스마트워크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Emotional Effects of ICT Stress and Smart Work on Work Performance)

  • 신일철;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09-319
    • /
    • 2022
  • 선행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근무환경의 스트레스가 조직 구성원들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업무성과를 저하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어왔다. 그러나 현재 코로나 팬데믹 시대를 맞아서 조직 구성원들이 스마트 환경하에 재택근무하는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긍정적 스트레스와 부정적 스트레스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서적 사건 반응이론을 토대로 직원들이 인지하는 긍정적, 부정적 ICT 스트레스가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으로 구분되는 정서적 영향을 통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워크가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설문은 리서치 전문회사에 의뢰하여 조사 하였고 Smart PLS 3.0 툴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가 직원들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주는 것이 아니며,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나타나는 도전적 스트레스가 직원들의 정서에 긍정적 감정을 유발시켜 업무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신제품 실패에 따른 기업의 대응유형전략이 소비자의 부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 공익연계 마케팅 활동여부와 메시지전략의 조절역할 (The Effects of a Company's Response Type Strategy due to New Product Failure on Consumers' Negative WOMs : The Moderating Roles of both Cause-related Marketing Activity and Message Strategy)

  • Yun, Hui Kyung;Choi, Young Min;Bae, Sang Wook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93-10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신제품의 실패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실시하는 위기대응 전략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구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상의 기업을 사용하여 위기 시나리오 및 대응전략을 조작한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유형 전략에 따르면, 위기 대응전략은 부정보다 사과를 실시하는 것이 부정적 구전을 더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제품 실패로 인한 위기 이전에 공익연계마케팅 활동을 실시한 회사는 소비자의 부정적 구전 완화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 실시하는 메시지 전략은 소비자의 부정적 구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기대응전략과 공익연계 마케팅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위기대응 전략과 메시지 전략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북 소유자의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main factors negative to the Netbook owers)

  • 권순홍;임양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47-450
    • /
    • 2014
  • 넷북은 크기, 무게, 가격의 이점으로 한 때 시장에서 강력한 하이테크 기기로 인정받은 적이 있다. 그렇지만 제품 자체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도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넷북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제품의 시장실패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실증연구결과, 사용자들의 입장에서 일반적으로 부정적 요인으로 간주된 사용 비용, 사용 노력, 관련 기기 부족은 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소유자들이 제품에 대해 갖고 있는 불신은 제품의 부정적 가치를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제품의 부정적 지각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북과 같은 하이테크 제품의 공급자는 소비자와 신뢰형성이 시장에서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경영전략의 수립 및 실행에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 PDF

스마트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Smart Education)

  • 이은형;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161-1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고, 그렇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의 도입 필요성에는 크게 공감하며 긍정적인 인식 가지고 있으나, 본래 스마트교육의 개념 및 목표, 방법과는 다른 형태로 오개념을 형성하면서, 시범적용을 거친 스마트교육의 전면시행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성된 이유는 정책하달식 교육체계, 실제적용의 부작용, 신 도입교육의 전례, 교육철학의 부족, 잘못된 연수방향 등으로 해석된다. 전면시행될 스마트교육의 본래 목표 달성을 위해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보다 소프트웨어적인 투자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교육참여자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는 정책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 PDF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19 관련 국내논문의 토픽 및 감성연구 (Topic and Sentiment Analysis on COVID19 Research in Korea Using Text Analysis)

  • 허성민;양지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29-3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관련 연구논문의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동향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감성분석을 통해 부정적인 어조가 강한 경고가 되는 주제들을 알아본다. 잠재 디리슐레 할당(LDA)를 이용하여 총 8개의 토픽을 발견하 였고, 이를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과 비교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k-means 군집 알고리즘을 통해 각 토픽별로 세부 연구주제를 발견하였고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감성분석을 통해 각 토픽별 긍정적, 부정적인 단어들을 살펴보고 감성점수를 계산하여 연구논문의 주된 어조를 파악하였는데, 특히 생물 의학 관련, 국제적 역학관계, 심리적 영향과 관련된 연구에서 부정적인 어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나 해당 부문에 대해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자들이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정책결정자들이 연구지원 사업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조직 내 기술스트레스가 역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지원의 조절효과 (How Does Technostress Influence Employees' Role and Performance in An Organiz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Support)

  • 김근아;김상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97-124
    • /
    • 2014
  • 본 연구는 실증적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역할 스트레스와 성과에 대한 정보통신기술(ICT)에 의해 만들어진 스트레스(즉, 기술스트레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기술 이론과 역할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ICT가 어떠한 방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스트레스를 만들며 기술스트레스를 형성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크게 다음의 4가지 가설을 제안한다. (1) 기술스트레스는 역할 스트레스(즉, 역할 충돌과 역할 과중)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2) 역할 충돌은 부정적 심리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3) 역할 과중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에 각각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4) 혁신 지원은 기술 및 역할 스트레스와 부정적 심리 성과 및 IS 사용의 부정적 성과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조직의 ICT 사용자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부분최소자승(Partial Least Squares: PLS)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술스트레스와 역할 충돌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제외한 다른 가설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조직에서 개인이 경험한 스트레스에 대한 기존의 개념에 기술스트레스의 확인을 통해 또 다른 차원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기술스트레스와 역할 스트레스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의 검정을 통해 기술과 조직의 역할 사이의 관계 및 구조를 분석하는 문헌에 새로운 맥락을 제안한다. 실무적으로는 기술스트레스가 조직에 존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진단 도구를 제시하고, 기술스트레스의 역효과는 역할 스트레스를 줄이는 전략에 하나의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비인격적 감독이 종업원의 보안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과의 상호작용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n Willingness to Comply with the Security Policy: the Moder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 김영수;최영근;유태종;유진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243-1250
    • /
    • 2016
  • 본 논문은 조직내에서 나타나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종업원들이 정보보안 정책을 준수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를 종업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절하는 효과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 내의 정서적 사회적 유대감을 낮추고, 조직원들이 조직의 정보보안정책을 준수하려는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조직공정성은 비인격적 감독과 보안정책 준수의도 사이의 부정적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배공정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관계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상황에서 정부의 코로나 19 대책 관련 부정적 이슈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on the diffusion of negative issue related with the government's COVID-19 measures in a crisis situation)

  • 홍주현;차희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09-116
    • /
    • 2022
  •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확산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는 유튜브에서 코로나 19 방역과 백신 접종 관련 이슈의 확산 과정을 네트워크 분석했다. 마스크 대란, 확진자 급증, 백신 수급 문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결과 코로나 19 상황을 전달하는 언론사 채널의 영향력이 컸고, 조회 수도 높게 나타났다. 다만 보수 성향의 채널에서 감정적 헤드라인이 더 많았고, 보수 성향의 개인 채널이 정부에 대한 부정적 메시지를 확산했고 동영상 조회 수도 높게 나타났다. 정부는 소셜미디어에서 확산되는 부정적인 메시지와 허위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언론은 부정확한 정보, 허위정보에 대한 팩트체크를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