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만족도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적 지원이 맞벌이 주말부부의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ole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 김은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ole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Ninety-three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ives received more informational support than their husband. Wives also received more support from their family of origin. (2) For wives, instrumental support from their family of origin and friends reduced their role conflicts. (3) For both wives and husbands, wives family of origin played most important role among social network. (4)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colleagu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ole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 PDF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 갈등대처방식의 조절효과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Coping Strategies)

  • 김영희;정선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5호
    • /
    • pp.65-82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flict-coping strategie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peri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8 couples from Cheongju who have been married less than fourteen years. For husbands and wives who have been married less than 7 years, nothing moderated the interac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However, for husbands who have been married between 8 and 14 years, their conflict withdrawal moderated the interac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For their wives, their conflict-expression strategy and their husbands' conflict-expression strategy moderated the interac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 참여도 및 가정생활만족도 (Perception of Equity.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Dual-Career Couple)

  • 이정우;강기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7-152
    • /
    • 2001
  • On the basis of the equity theory, as the couple perceives their relationship is equitable, they tend to make decisions jointly and are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v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quity, 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dual-career coup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it shows that many socioeconomic$.$psychological variables have direct indirect impa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um factor, so this study proves the application of the cause-effect modes.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equity of wives were higher than husbands.

  • PDF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The relationship of marital communication, home management strategy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of urban housewives)

  • 심혜선;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29-14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arital communication, home management strategy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463 wives who lived lived in Seou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efficiency of marital communi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ge, education level, work status, monthly income, number of children, internal-external controllabiltiy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2) Time strategy and housework strategy were differed by their socidemo-graph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But finance strategy was not affected by any variable. 3) Influential variables of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the efficiency of marital communication, perception of life level and home management strategy.

  • PDF

기혼 여성의 남편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upport and Depression in Korean Married Wome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nubial Bliss)

  • 정유림;정성화;한삼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63-271
    • /
    • 2018
  • 여성가족패널(KLoWF)조사 4차년도(2011-2012)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2,120명의 기혼 여성을 선정하였으며,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의 변수를 고려하였다. 남편지지는 남편과의 충분한 대화, 남편과의 견해 일치, 부부생활 만족도와 남편신뢰, 남편과의 문화생활, 운동과 봉사 및 공동체 참여, 시댁식구 만남, 친청식구 만남, 가사노동 만족도 그리고 돌봄 만족도로 11개의 문항을 고려하였다. 결혼행복감은 매우 불행하다 10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되었고, 우울은 CES-D 10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남편지지와 결혼행복감 및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남편지지가 높을수록 결혼행복감 또한 높았으며 우울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구조방정식모형 결과, 남편인식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부부활동과 가사분담 또한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그러나 부모방문은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남편지지 중 기혼여성의 남편에 대한 인식은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고, 부부활동, 부모방문 그리고 가사분담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우울을 줄이는 정책적 계획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실업 이후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관한 연구: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Marital Satisfaction since Unemployment - Difference in Self-esteem by Patterns -)

  • 남석인;김준표;이수진;윤희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97-1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및 실업을 경험한 부부의 관계만족에 대한 종단적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의 특징, 영향요인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2차 년도부터 11차 년도의 자료 중 취업상태에 있다가 이후 5년 간 실업을 경험한 443 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 유형은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지속적 감소형, 감소 후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다섯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 만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집단은 부부관계에 긍정 혹은 부정적 변화가 일어나는 집단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기혼여성의 부적응적 성격과 부부간의 갈등행동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ried Women's Maladaptive-Personality Conflict-Behavior on Marital Adjustment)

  • 송두리;문정숙;김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1호
    • /
    • pp.65-7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aladaptive personality (borderline personality,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dependent personality) and conflict behavior on marital adjustment(dyadic satisfaction, dyadic consensus, dyadic cohesion, and affectional expression) among married wom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25 married women who lived in Cheong-buk, in Gyeonggi province, Korea.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WIN versio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ss borderline personality was perceived, the more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perceived, In addition, a greater perceived amount of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of wives was linked to highdyadic satisfaction in the wives'. Wives'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w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predict dyadic satisfaction. 2) The less borderline personality was perceived, the less dependent personality was perceived, while the more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perceived, the more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of husbands was perceived, with the, wives' incidence of dyadic consensus appearing high. Husbands'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w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predict a dyadic consensus. 3) The less borderline personality was perceived, the more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perceived, In addition, more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of the husbands was linked to highdyadic cohesion in the wives'. Husbands'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was the most important to predict dyadic cohesion relatively. 4) The more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of wives was perceived, the higher the wives' affectional expression appeared. The wives' destructive conflict behavior w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predict affectional expression.

첫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적응 과정에 대한 탐색 ("Our first baby was born" Experience in the newly-wed couples: A Qualitative Study)

  • 최승미;권정혜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7권4호
    • /
    • pp.679-704
    • /
    • 2012
  •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기간 5년 미만, 첫 자녀 출산 후 3년 이내의 부부 13쌍에 대해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화 작업을 거쳐,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에 대한 패러다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 자녀를 출산한 부부들에게 관계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적 조건은 삼자적 가족구조로의 전환 및 결혼 적응 수준이었으며, 중심 현상으로는 양육 및 가사 부담, 출산 후 부부관계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남편의 지원과 관심, 원가족 지원의 중재 변인을 통해 그 강도가 완화 또는 악화되었다. 작용/상호작용적 전략에서 추출된 주요 범주는 새로운 역할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가족에 대한 의미부여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완성체로서의 가족 구성과 공유된 가치 경험이 얻어질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 결과 '부부의 새로운 역할 인식과 수용 및 우리성(We-ness)의 추구'라는 핵심범주가 추출되었다. 임신과 출산, 양육 전 과정에 걸쳐 부부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 '우리성'의 획득은 출산과 양육이라는 생애 전환기적 사건을 맞닥뜨린 부부가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