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적응 과정에 대한 탐색

"Our first baby was born" Experience in the newly-wed couples: A Qualitative Study

  • 최승미 (고려대학교 부부상담연구소) ;
  • 권정혜 (고려대학교 부부상담연구소)
  • 투고 : 2012.10.30
  • 심사 : 2012.12.13
  • 발행 : 2012.12.30

초록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기간 5년 미만, 첫 자녀 출산 후 3년 이내의 부부 13쌍에 대해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화 작업을 거쳐,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에 대한 패러다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 자녀를 출산한 부부들에게 관계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적 조건은 삼자적 가족구조로의 전환 및 결혼 적응 수준이었으며, 중심 현상으로는 양육 및 가사 부담, 출산 후 부부관계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남편의 지원과 관심, 원가족 지원의 중재 변인을 통해 그 강도가 완화 또는 악화되었다. 작용/상호작용적 전략에서 추출된 주요 범주는 새로운 역할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가족에 대한 의미부여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완성체로서의 가족 구성과 공유된 가치 경험이 얻어질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 결과 '부부의 새로운 역할 인식과 수용 및 우리성(We-ness)의 추구'라는 핵심범주가 추출되었다. 임신과 출산, 양육 전 과정에 걸쳐 부부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 '우리성'의 획득은 출산과 양육이라는 생애 전환기적 사건을 맞닥뜨린 부부가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fter the first baby is born. For this purpose, thirteen couples (marriage duration of less than five years; within three years of the child birth) were recruit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next step, we derived the marital relationship paradigm after the first baby arrived. The causal/situational conditions that caused chang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were the parenting burden and the marital adjustment level. The central phenomena were parenting and housework burden, which were moderated by the husbands'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couple's high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ir new role and pursuit of the shared meaning of the family. When the strategies were successful, a deeply satisfying feeling and shared values could be obtained. Finally, we identified the core category to integrate of other categories into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is 'the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ir new role and the pursuit of a sense of We-nes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1년도 고려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본 연구에 도움을 주신 백인규, 성벼리, 엄정혜, 오현주, 정정숙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