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노인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들의 식품안전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식품위생 지식, 태도, 행동 조사 (Investigation of Foo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Analyzing Food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 최정화;이윤진;이은실;이혜상;장혜자;이경은;이나영;곽동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46-7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위생 지식, 태도, 식품취급 행동을 파악함으로써 식품안전 위험요인을 진단하여 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3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8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83.6%가 65세~80세, 69.5%가 단독거주 또는 노인 부부였으며, 49.2%가 50만 원 미만의 수입이었다. 노인들의 식품위생 지식은 '장을 볼 때 라면보다 냉동 오징어를 먼저 구입해야 한다'(도시 60.5%, 농촌 42.0%, P<0.001), '귤을 씻어서 먹어야 한다'(도시 75.4%, 농촌 49.7%, P<0.001), '간 쇠고기로 만든 고기완자전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도시 95.4%, 농촌 90.2%, P<0.001)의 항목에서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지식을 보였다. 식품위생 태도는 '나물은 맨손으로 무쳐야 맛이 좋다'(도시 34.9%, 농촌 33.2%, P<0.05)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이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먼저 구입한 식품을 먼저 먹으려고 한다'(도시 88.2%, 농촌 92.1%, P<0.001), '냉장고에 있는 음식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다고 느끼면 버리려고 한다'(도시 84.1%. 농촌 91.4%, P<0.001), '불고기를 조리할 때 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 확인을 하려고 한다'(도시 88.8%, 농촌 87.8%, P<0.05), '돼지고기를 굽던 젓가락과 식사에 사용하는 젓가락을 구분하려고 한다'(도시 78.5%, 농촌 70.6%, P<0.001)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태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점심때 밖에서 사 온 김밥을 식탁 위에 두었다가 저녁에 먹을 경우 상했을지 걱정을 한다'(도시 82.6%, 농촌 86.5%, P<0.05), '날달걀은 영양이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서 마시는 것을 선호한다'(도시 71.8%, 농촌 76.7%, P<0.05), '생굴을 먹을 때 배탈이 날까 걱정을 한다'(도시 53.9%, 농촌 64.2%, P<0.05)의 문항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위생 행동 분석 결과 대부분의 노인이 화장실에 다녀온 후, 외출에서 돌아온 후, 식사하기 전에는 손을 씻는다고 응답하였으나, 조리하는 도중 다른 일을 하고 다시 조리하게 될 경우 손을 씻는다고 응답한 노인은 도시 거주 노인(67.9%), 농촌 거주 노인(58.7%)으로 조사되었다. 생쇠고기를 자른 후 채소를 잘라야 할 때 도마세척 방법은 '흐르는 물로 도마를 닦는다'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싱크대 위 또는 식탁 위에서 해동시킨다'고 45명(33.8%)이 응답하였고,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40명(39.6%)이 응답하였다. 노인들이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으로 싱크대 위나 식탁 위에서 해동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건강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동기 강화프로그램을 접목하거나 일회성이 아닌 지속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성 노인의 비율보다 여성 노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설문조사가 복지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아 중산층 이상의 일반노인들에게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식품안전 문제를 진단하여 노인 대상 식생활 안전 교육자료 개발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과 부부동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요인 비교 (Comparison risk factors of cognitive decline between aged living alone and with a spouse)

  • 박현아;송현종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3-96
    • /
    • 2021
  • Background & objective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s a main factor influencing the overall life of the elderly and places a burden of society. The aim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a spous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14 to 2018. 243 older adults who lived alone and 1,155 lived with a spouse with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s in normal range at the time of 201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risk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between i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Results: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cidence rate of elderly living alone was 30.5%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showed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age and residential area, while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age, education level, social networks,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gnitive function declin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a spouse were different. Accordingly, other measures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are necessary.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음주양상에 따른 건강상태 (A Study on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 백달현;황병덕;문효정;윤희정;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3호
    • /
    • pp.263-273
    • /
    • 2006
  • 연구대상자는 2000년 현재 경북 성주군에 거주하고 65세 이상노인 8,209명중 25개리에 설치되어있는 보건소,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에 인접하여 거주하고 있는 노인 2,542명 중 질병이나 기타 사유로 요양기관의 입소자 또는 장기출타, 주소불명 등을 제외한 2,421명(남자: 1,273명, 여자: 1,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 72.7세, 여자 72.8세였으며, 가족 구성상태는 부부만 사는 노인이 남자의 경우 66.5%, 여자의 경우 32.3% 이었고, 여자노인에서는 혼자서 생활하는 경우도 36.9%이었다. 대상자의 음주양상에서 남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35.1%, 음주중단자 16.1%, 음주자 48.8%이었다. 여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80.2%, 음주중단자 4.5%, 음주자 15.3%이었다. 음주중단자의 과거음주기간을 남 여별로 살펴보면 41년 이상이 남자의 경우 57.1%, 여자의 경우 23.1%로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건강수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주가 만성질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예방 가능한 건강 위험인자들의 조절과 생활형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건교육을 노인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노인들에 있어서 건강은 질병의 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목표를 설정하여 농촌지역의 노인보건사업 및 노인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한 노인 중 음주자에게 질병발생에 대한 지식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정기건강검진 실시로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절주를 할 수 있도록 지원과 인력 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과 미래기대 (Care and future expectations of families with severe disabilities)

  • 신경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39-146
    • /
    • 2020
  • 중증장애인의 돌봄은 비장애 가족에 비해 전 생애주기에 돌봄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자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물론 가족 전체에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우려가 높다. 장애가족 역시 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활에서 비 장애자녀나 부부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는 장애 돌봄자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장애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인 돌봄자의 과거와 현재 경험을 통한 현실적 지원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 영유아에 대한 장애확인 후 지원체계나 제도에 대한 정보전달이 등급판정 기관에서부터 제공. 둘째, 장애유형이나 개별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돌봄지원'의 사회, 정치, 제도, 경제적 차원에서의 제공. 셋째, 비장애 자녀대상의 프로그램의 제공과 장애인을 포함하거나 혹은 장애가족만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성인장애인을 위한 휴식과 쉼을 제공하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제공. 다섯째, 장애인 노화연령을 반영한 노인장기요양제도 적용과 장애인 커뮤니티케어의 제도화이다. 이러한 대안제시를 통해 연구는 성인과 노인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점의 제시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 생계비 산정 - 최저생계비, 표준생계비, 유락생계비의 산정 - (The Estimate of the Living Cost for the elderly Couple)

  • 이선형;이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39-152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living cost for the elderly couple living in a city in Korea. Living cost means expenditure per month for elderly couple. It was assumed that the elderly couple will need different living cost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The circumstances are health status, retirement status, and the level of living they want.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over the age 65 of household head. Total number of subject was 1,649 households. Used data was Annual Report survey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Analysis of data was done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s, median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ir standard living cost was 844,980 won by pure relative standard line and 842,300 won by quasi relative standard lines. And minimum living cost was 713,40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was 557,600 won (3/2 of median). And abundant Living cost was 1,068,02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1,263,450 won. The living cost of elderly households was about 81-83%, comparing with non-elderly households. Among the item of expenditure, the proportion of housing and medical care cost was larger than any other items.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 허익강;이태용;동진근;홍송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1-110
    • /
    • 2010
  • 연구목적: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과보철물 상태를 역학적으로 조사하고 이러한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인들의 치과보철물과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전광역시 소재 7개 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표본 275명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강건강인식 및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와 치아 및 치과보철물 상태에 대한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삶의 질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1.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부부가 함께 사는 가족형태에서GOHAI는 높게 나타났다. 2. 가철성 의치를 처음 사용한 평균연령은 62.11세였고 의치의 평균사용수명은 10.76년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57.5%가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총의치 사용자는 전체의 13.8%이었다. 3.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한 경우나 총의치에서 편악 보다는 상 하악을 함께 총의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저작 불편감과 발음문제를 적게 느끼며 저작능력지수와GOHAI는 높게 나타났다. 4. 의치 만족도가 높고, 항상 의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의치의 필요성이 없고 의치적합도가 양호한 경우에 GOHAI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저작이 가능한 기능 치아를 구강 내에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자연치아의 상실이 많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과보철물을 통하여 치아를 수복하여 줌으로 정상적인 저작기능을 회복하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여가활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299-313
    • /
    • 2014
  • 최근 맞벌이 부부 증가 및 이혼 등 가족해체로 인해 조손가정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어 학계와 정부에서는 이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조명하고, 긴급지원과 통합 서비스 개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의 발달적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입과 컨텐츠 개발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은 일반 노인들과 비교해 노년기에 증가하는 여가시간과 그 활동에 있어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약으로 인한 조부모들의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의 정신건강 영역으로 우울수준을 택하여 여가활동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로 미혼 손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조손가정 172명을 추출하여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운동과 종교활동 참여비율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여가유형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으며, 중간 수준의 우울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조부모의 우울감에는 여가활동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 수준, 운동활동의 참여, 여행 경험, 기타의 여가활동 참여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천적 개입으로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삶의 질, 역할과 기능 강화, 발달적 지원을 위한 여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노후 성격적응성향과 노인이 지각하는 기혼자녀와의 갈등관계연구 -장남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Later Personality Adjustment Types and the Aged Perception of the Conflict with their Married Children -Focu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Eldest Sons and Wives-)

  • 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later personality adjustment types and the elderly percepted conflict with their married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the aged over 60 years in Seoul both having the eldest sons' couples and perceiving their own economics level as the middle-upper. The results based on this are as followed: 1) The Active Integrated Coper is appeared in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group in the better health condition in the 11-30 thousand won of personal expense in the professional and management occupation and in the more vigorous for social activity. The Failing Overcoper the Dependent Passive Coper and the Self-negating Undercoper is appeared in th female elder group in the later group of the older age in the lower educational level in the worse health condition in the group without spouse in one without income in the below 10 thousand won in the less preparation for the later life. 2) The problems of emotion and iew of values bring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m and theirs rather than the financial problem. when they are in the worse health condition in the group without religion in the group not cohabiting their eldest sons' couples and in the group not well-prepared for their later life as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old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conflict with their eldest sons' couples. 3) The lower the Active Integrated Coper is and the higher the Failing Overcoper is the more intense the conflict between them and their eldest sons' couples is. 4) Th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old's conflict with their eldest sons' couples among the later groups shows that it is in the less the Active Integrated Coper and in the more the Failing Overcoper that the conflict is more surfaced. 5) The educational level the level of the later life preparation the contact frequency with their daughter the level of their social activity as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Failing Overcoper as the later personality adjustment type answer for 22 percentage of the conflict.

  • PDF

부부가구와 1인가구 노인의 정신건강 비교 - 성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 - 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박보영;권호장;하미나;범은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5-20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tatus between elderly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spouse.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ENS), between 2010 and 2012. Subjects were over the age of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of complex sampling design of the KNHAENS and used the survey analysis method by SPSS (version 18). Results: Sleep time of female elders living alone was the shortest which was 2.59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Stress awareness of fe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was the highest, which was 3.21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Depression was the highest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hich was 2.26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Suicidal idea was the strongest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hich was 2.87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alone. Conclusio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ere weakest in regards to socio-economical aspect with the highest rate of poverty, low educational status, and unemployment. The mental health status of females was worse than that of males. In particular, the mental health status of females living alone was the worst.

치매지식,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노인부부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적용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Dyadic Data Analysis)

  • 고숙정;신성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76-28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5 couples aged 60 years or over who met eligibility criteria. All measures were self-administ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Dementia knowledge in elderly couples showed actor and partner effect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Self-efficacy in the wife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but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in the husband showed direct effects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dementia knowledge. Wife's depression had direct actor effect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and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fficacy and dementia knowledge. Husband's depression did not have direct actor effect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but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fficacy and dementia knowledge. Effect size of wives'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was larger than that of husbands'.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dementia knowledge and depression had a mutual effect.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o promote dementia preventive activity in elderly couples,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for both of the couple, but focused differently for wife and hus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