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여가활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이윤정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학 전공)
  • Lee, Yoon-Jung (Dept. of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Hoseo University)
  • 투고 : 2013.11.30
  • 심사 : 2014.03.22
  • 발행 : 2014.05.30

초록

최근 맞벌이 부부 증가 및 이혼 등 가족해체로 인해 조손가정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어 학계와 정부에서는 이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조명하고, 긴급지원과 통합 서비스 개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의 발달적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입과 컨텐츠 개발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은 일반 노인들과 비교해 노년기에 증가하는 여가시간과 그 활동에 있어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약으로 인한 조부모들의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의 정신건강 영역으로 우울수준을 택하여 여가활동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로 미혼 손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조손가정 172명을 추출하여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운동과 종교활동 참여비율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여가유형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으며, 중간 수준의 우울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조부모의 우울감에는 여가활동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 수준, 운동활동의 참여, 여행 경험, 기타의 여가활동 참여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천적 개입으로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삶의 질, 역할과 기능 강화, 발달적 지원을 위한 여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Recently, an interest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s rising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orking couple and divorce. Discussing around developmental task of elderly, on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crease of grandparent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s leisure restriction. However, this factor has received far less rigorous analysis. Th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72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2011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Their analyses were composed of descriptive stat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generated several findings. First, grandparents participated in activities for exercise and religion at a high rate and their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7.1 of 15 what suggests middle level of depress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of exercise, travel experience,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and other special leisure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o have positive self-awareness and attitude about life in their position and living condition for help prevent depression were discussed.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13년도 호서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2013-0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