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교육프로그램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for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9-119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진로성숙도의 관련성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래관계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쳐, 부모의 양육행동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관계의 향상을 위한 교육과 상담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또래관계를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과 진로성숙도의 관련성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Analysis of Current Use Smartphone of 3 to 5 Years old Children and Parents' Perception

  • Choi, Dea-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93-298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데이터 수집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의 원데이터 중 3~5세에 해당하는 909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3~5세 영유아는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동영상 서비스와 게임, 음악듣기, 검색서비스 교육콘텐츠 등의 순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은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의존도에 대해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영유아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 시청과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영유아기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교육 콘텐츠는 미디어 사용에 대한 포괄적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Parents and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 김민정;김수지;김정은;손한결;김태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6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RPRC)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32 working mot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n intervention group (n = 16) and a control group (n = 16).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terms of mothers'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Results: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ir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efficacy, whereas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PRC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working mothers'parenting confidence, which can be cruc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al outcomes of their children.

걸음마기 모(母)-아(兒) 놀이에서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Enhancing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Toddler in Play Class)

  • 김영옥;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8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enhancing mother's positive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mother-toddler pla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47 pairs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or a control group.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participated in the 8 sessions of the play class. Only treatment groups receive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sessions. Data were analysed by t-tests using SPSS 15.0. Results showed that (1) the mothers' positive interactions have been increased; (2)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leasure have also been increased, whereas the parenting stresses were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e play session was effective in helping the mothers' positive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n parenting toddlers.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 김정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pplicable for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of the young childr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education, but were unable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However, they welcome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Second, to develop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e parents' needs should be assessed and preliminary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works and subject specialists' opinions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results of research about web-based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 web-based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web-based programs for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Third, various types of needs and demands should be assessed during the step-by-step program application periods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Finally,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and assessed the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 (The Parents Recognized Early Childhood Personality Character Education Conditions and Requirements)

  • 손은경;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330-345
    • /
    • 2016
  •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거주하며, 공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학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님들의 유아 인성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관심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전인교육과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에서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유아 인성교육의 집중 및 활동분야는 기본생활습관과 일상생활지도 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에서 유아 인성교육의 활동은 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동정도는 낮은 편이었고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인성교육의 방법과 정보의 부족이었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의 부모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프로그램으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Parents Consultation Experiences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 박주영;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6-59
    • /
    • 2021
  • 목적 :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에 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여 추후 부모상담 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임상경력 8년 이상으로 사설센터에서 근무하는 아동작업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으며, 추가적인 내용 확인은 이메일로 받았다. 녹음된 내용은 전사 뒤 분석하여,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였다. 결과 :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화, 4개 주제모음,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2개의 범주화에는 부모상담의 중요성과 부모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었고, 4개의 주제모음에는 부모상담의 의미, 부모-아동-치료사 간의 상호성, 치료사의 노력, 필요한 역량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임 아동작업치료사에 의미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아동작업치료사의 부모상담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