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Parents and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김민정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수지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손한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김태선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7.10.15
  • Accepted : 2018.01.24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mployed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RPRC)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working mothers of dual-incom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32 working mot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n intervention group (n = 16) and a control group (n = 16).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terms of mothers'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Results: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ir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efficacy, whereas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PRC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working mothers'parenting confidence, which can be cruc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al outcomes of their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 정미라, 김민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271-291.
  2. 곽정인 (2000).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과 부모역할 만족도,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희정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군인가정 어머니를 위한 사이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2), 21-36.
  4. 김기현 (2000).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탐색. 한국생활과학지, 9(1), 71-84.
  5.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88
  6. 김문정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정 (2006). 맞벌이 가정의 아동복지감과 맞벌이 어머니의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7(2), 15-37.
  8.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민정 (2015).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311-332.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11
  10. 김민정, 도현심 (2001).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11.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김수지, 송승민, 신정희 등 (2015). 학령초기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36(3), 35-57. doi:10.5723/KJCS.2015.36.3.35
  12. 김상미 (2013).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상언 (2015). 유아교육기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2(2), 1-11.
  14. 김선희 (2006).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수지, 송승민, 윤지은, 신나나 (2015). 아동 그룹홈 시설장들의 부모교육 참가 과정에서 나타난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50, 247-277.
  16. 김안나, 권영숙 (2014).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 만족도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2(10), 375-384. doi:10.14400/JDC.2014.12.10.375
  17. 김애란 (2010). 취업모를 위한 On & Off-Line 통합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종운, 이명순 (2009). 관계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2(1), 61-76.
  19.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20. 김혜신, 김경신 (2003).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 갈등과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17-131.
  21. 노진아 (2003). 취업모의 심리적 특성과 직업변인에 따른 양육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도현심 (2012). 첫 부모역할 책. 서울: 지식채널.
  23.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 (2003). 또래괴롭힘 피해아 의 특성에 기초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103-121.
  24. 도현심, 김민정, 신나나, 박보경, 최미경 (2013). 아동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기초로. 아동학회지, 34(3), 151-177. doi:10.5723/KJCS.34.3.151
  25. 도현심, 신나나, 박보경, 김민정, 김혜인 (2014).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5(4), 179-198. doi:10.5723/KJCS.2014.35.4.179
  26. 도현심, 송승민, 이운경, 김민정, 신나나, 김태우 (2016). 학령 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37(3), 147-166. doi:10.5723/KJCS.2016.37.3.147
  27. 문태형 (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49-63.
  28. 문혁준 (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6), 97-107.
  29. 문혁준 (2000).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형태와 운영에 관한 연구: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20(1), 25-42.
  30. 문혁준 (2001).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05-219.
  31. 문혁준 (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2.
  32. 박영순 (2005). 어린이집의 부모교육에 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박영애 (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박정임 (2017). 맞벌이 가정의 부모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정자 (2010).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맞벌이 직장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박종서 (2016). 취업여성의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236, 18-36.
  37. 배지혜, 서혜영, 이숙현 (2002). 사무직 남성의 "일-자곡 갈등" 및 "가족-일 갈등"과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2), 43-64.
  38. 송승민, 김수지, 김민정, 조인영 (2015). 그룹홈 시설장의 청소년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2(8), 215-251.
  39. 안지영, 박성연 (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40. 양소남 (2011).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가족과 가족치료, 19(1), 103-126. doi:doi.org/10.21479/kaft.2011.19.1.103
  41. 윤혜미 (2000). 부모교육과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태도, 부모역할 만족도 및 체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43, 246-269.
  42. 이기순 (2003).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부모역할 만족도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금진 (2006). 의사소통장애 유아를 가진 취업모의 가족지원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1(3), 33-52.
  44. 이남희 (2014). 취업모의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을 위한 부모교육 집단 상담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상담코칭연구, 2, 121-144.
  45. 이병례, 한세영 (2007). 취업모의 부모역할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1(1), 19-35.
  46. 이선희, 도현심, 이운경, 오혜진, 신정희 (2016). 걸음마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37(2), 95-109. https://doi.org/10.5723/kjcs.2016.37.2.95
  47. 이승현 (2008). 맞벌이가족을 위한 탄력적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재림, 김지애, 차동혁, 이향희 (201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27-47. https://doi.org/10.7466/JKHMA.2013.31.3.027
  49. 이정숙 (1999). 취업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주기전여자대학 논문집, 19, 61-77.
  50. 이혜진 (2015). NLP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취업모의 양육죄책감과 양육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장영심, 조영숙 (2014).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45-163.
  52. 장현숙 (2001). 맞벌이 가정의 부모교육. 지성과 창조, 4, 171-188.
  53.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 (2013).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65-387.
  54. 정보미, 김낙흥 (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 아동교육, 25(3), 377-393.
  55. 정유진, 전귀연 (2015).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대리양육 유형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타인양육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4), 673-691.
  56. 정현희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역할만족도와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7, 11-19.
  57. 조경란, 함경애, 천성문 (2013).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20(2), 369-395.
  58. 조은주 (2017). 관계놀이상담 기반의 부모교육이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진이진, 이미옥 (2011). APT 부모교육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8(2), 309-324.
  60. 채영희 (2008). 부모교육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과 요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최외선, 제석봉, 이경미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 연구, 4(1), 87-108.
  62. 최정욱 (2000). 부모의 맞벌이 여부가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애착 안정성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최형윤 (2007). 유아교육기관의 부모 교육.부모 참여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최혜진 (2003). 취업모의 부모교육 참여실태와 요구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통계청 (2014). 한국의 사회동향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6. 하쾌남, 정민자 (2017). 유아기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균형,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1), 111-134.
  67. 한경님 (2014).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효능감, 역할만족감 및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9, 287-315.
  68. 한은주(2000).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갈등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현온강, 조복희(1994). 부모의 역할만족도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2(1), 103-117.
  70. Barnett R. C., & Marshall N. L.(1992). Worker and mother roles, spillover effec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Women & Health, 18(2), 9-40. doi:10.1300/J013v18n02_02
  71. Bor, W., Sanders M. R., & Markie-Dadds, C. (2002). The effects of the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on preschool children with co-occurring disruptive behavior and attentional/hyperactive difficult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6), 571-587. doi:10.1023/A:1020807613155
  72. Breitenstein, S. M., Gross, D., Fogg, L., Ridge, A., Garvey, C., Julion, W., & Tucker, S. (2012). The Chicago Parent Program: Comparing 1-year outcomes for African American and Latino parents of young childr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5(5), 475-489. doi:10.1002/nur.21489
  73. Bronfenbrenner, U., & Morris, P. A. (2007). The bioecoloi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R. M. Lerner, & W. Dam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6th ed., (pp. 793-828). New Jersey, NJ: John Wiley & Sons. doi:10.1002/9780470147658.chpsy0114
  74. Brooks-Gunn, J., Han, W. J., & Waldfogel, J. (2002)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 cognitive outcomes in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3(4), 1052-1072. doi:10.1111/1467-8624.00457
  75. Bronstein, P., Ginsburg, G. S., & Herrera, I. S. (2005). Parental predictors of motivational orientation in early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6), 559-575. doi:10.1007/s10964-005-8946-0
  76. Cooklin, A. R., Westrupp, E., Strazdins,L., Giallo, R., Martin, A., & Nicholson, J. M. (2015). Mothers'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Associations with parenting quality and couple relationship.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1(2), 266-277. doi:10.1111/cch.12137
  77. Coverman, S. (1989).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stress: Addressing consequences of multiple role demands. Social Forces, 67(4), 965-982. doi:10.1093/sf/67.4.965
  78. Desjardin, J. L. (2003).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Volta Review, 103(4), 391-409.
  79. Deuling, J. K., & Burns, L. (2017). Perfectionism and work-family conflic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6, 326-330. doi:10.1016/j.paid.2017.05.013
  80. Doh, H. S., Kim, M, J., Shin, N., Song, S. M., Lee, W. K., & Kim, S. (2016).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for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8, 115-124. doi:10.1016/j.childyouth.2016.06.015
  81. Duxbury, L. E.,. & Higgins, C. A. (2001). Work-life balance in the new millennium: Where are we? Where do we need to go? Ottawa: Canadian Policy Research Networks.
  82. Dreikurs, R., & Soltz, V. (1968). Children: The challenge. NY: Meredith Press.
  83. Fujiwara, T., Kato, N., & Sanders, M. R. (2011). Effectiveness of group positive parenting program (triple p) in changing child behavior,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adjustment: An intervention study in Japa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6), 804-813. doi:10.1007/s10826-011-9448-1
  84. Gibaud-Wallst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85. Greenhaus, J. H., Parasuraman, S., & Collins, K. M. (2001). Career involvement and family involvement as moderators of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ithdrawal from a profess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6(2), 91-100. doi:10.1037//1076-8998.6.2.91
  86. Hartung, D., & Hahlweg, K. (2010). Strengthening parent well-being at the work-family interface: A German trial on workplace Triple P.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20(5), 404-418. doi:10.1002/casp.1046
  87. Hawkins, A. J., & Roberts, T. A. (1992). Designing a primary intervention to help dual-earner couples share housework and child care. Family Relations, 41(2), 169-177. doi:10.2307/584829
  88. Hill, E.J. (2005). Work-family facilitation and conflict, working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stressors and support. Journal of Family Issues, 26(6), 793-819 doi:10.1177/0192513X05277542
  89. Hoffman, M. L. (1983).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es in moral internalization. In E. T. Higgins, D. N. Ruble, & W. W. Hartup(Eds.), Social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pp. 236-274).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Kim, M. J., Doh, H. S, Hong, J. S., & Choi, M. K. (2011). Social skills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aggressive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6), 838-845. doi:10.1016/j.childyouth.2010.12.001
  91. Knafo, A., & Plomin, R. (2006). Parental discipline and affectio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Genetic and environmental link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1), 147-164. doi:10.1037/0022-3514.90.1.147
  92. Knutson, J. F., DeGarmo, D. S., & Reid, J. B. (2004). Social disadvantage and neglectful parenting as precursors to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and aggressive child behavior: Testing a theoretical model. Aggressive Behavior, 30(3), 187-205. doi:10.1002/ab.20016
  93. Leerkes, E. M., & Crockenberg, S. C. (2002). The development of maternal self-efficacy and its impact on maternal behavior. Infancy, 3(2), 227-247. doi:10.1207/S15327078IN0302_7
  94. Massengill, D. (2004). Do parents benefit? Perspectives of low-income parents who received a free early readiness program for their chil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1(3), 179-185. doi:doi.org/10.1023/B:ECEJ.0000012136.71443.9e
  95. Menon, M., Tobin, D. D., Corby, B. C., Hodges, E. V. E., & Perry, D. G. (2007). The developmental costs of high self-esteem for antisocial children. Child Development, 78(6), 1627-1639. doi:10.1111/j.1467-8624.2007.01089.x
  96. Mondell, S., & Tyler, F. B. (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73-78. doi:10.1037/0012-1649.17.1.73
  97. Olson, J. E., Frieze, I. H., & Detlefsen, E. G. (1990). Having it all? combining work and family in a male and a female profession. Sex Roles, 23(9-10), 515-533. doi:10.1007/BF00289766
  98. Parke, R. D.(2004) Development in the famil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 356-399. doi:10.1146/annurev.psych.55.090902.141528
  99.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36(2), 413-424. doi:10.2307/1126465
  100. Shaw, D. S., Bell, R. Q., & Gilliom, M. (2000). A truly early-starter model of antisocial behavior revisited.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3(3), 155-172. doi:10.1023/A:1009599208790
  101. Shaw, D. S., Dishion, T. J., Supplee, L., Gardner, F., & Arnds, K. (2006). Randomized trial of a family-centered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early conduct problems: 2-year effects of the family check-up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1), 1-9. doi:10.1037/1022-006X.74.1.1
  102. Sitimina, S. A., Fikryb, A., Ismailc, Z., & Husseinb, N. (2017). Work-family conflict among worki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in Malaysia. Procedia Computer Science, 105, 345-352. doi:10.1016/j.procs.2017.01.232
  103. Sui, O. L., Spector, P. E., Cooper, C. L., & Lu, C. Q. (2005). Work stress, self-efficacy, Chinese work values, and work well-being in Hong Kong and Beij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2(3), 274-288. doi:10.1037/1072-5245.12.3.274
  104. Trotter, H., & Rafferty, H. (2014). A follow-up to the incredible years parenting programme: The reflections of mothers one to two years later. Educational & Child Psychology, 31(4), 40-57.
  105. Querido, J. G., Warner, T. D., & Eyberg, S. M. (2002). Parenting styles and child behavior in African American families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1(2), 272-277. doi:10.1207/S15374424JCCP3102_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