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사량

Search Result 4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asure Radiation and Correct Radiation in IR camera Image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복사량 계측 및 교정 연구)

  • Jeong, Jun-Ho;Kim, Jae-Hyup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0 no.4
    • /
    • pp.57-67
    • /
    • 2015
  • The concept of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objects based on infrared camera is widely applied to military applications. While the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infrared images has long been researched and the latest one can detect the object in sub-pixel, the object classification technology still needs more research. In this paper, we present object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measured radiant intensity of objects such as target, artillery, and missile using infrared camera.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method was verified by radiant intensity measuring experiment using black body. Also, possible measuring errors were compensated by modelling-based correction for accurate radiant intensity measure. After measuring radiation of object, the model of radiant intensity is standardiz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is research, the standardized model can be applied to the object classification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measured radiant intensity of target, artillery, and missile.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Samples and the Infrared Radiation on the Irradiance Variation of Light Sources (광원의 방사조도의 변동에 따른 시료의 온도와 적외선 복사량의 변화)

  • Han, Jong-Sung;Kim, Gi-Hoon;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23-228
    • /
    • 2004
  •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가 빛을 흡수하면 그 빛의 파장에 따른 복사에너지에 의하여 열적 반응이나 광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특히 적외선 복사에 의한 열적 반응은 물질의 온도상승이나 온도하강 등의 과정을 통하여 물질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적외선을 포함하는 복사에너지의 조사에 의하여 전시실, 진열장내의 전시물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그 온도의 변화 범위보다 적은 온도 변화가 전시물에서 일어나도록 조명을 제한하고 알맞은 광원을 선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원에 의한 시료의 온도상승과 적외선 복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을 구축하고, 전시조명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여러 광원을 대상으로 각 광원의 방사조도를 변화시키면서 시료의 표면온도와 적외선 복사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의 결과를 토대로 방사조도와 온도 및 적외선 복사량간의 함수관계를 파악하고, 조도의 변동에 따른 시료의 온도 변화 및 적외선 복사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imulated Radiances of the OSMI over the Oceans (대양에서의 OSMI 모의 복사량 산출)

  • 임효숙;김용승;이동한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5 no.3
    • /
    • pp.227-238
    • /
    • 1999
  • In advance of launch, simulated radiances of the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OSMI) will be very useful to guess the real imagery of OSMI and to prepare for data processing of OSMI. The data processing system for OSMI which is one of sensors aboard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scheduled for launch in 1999 is developed based on the SeaWiFS Data Analysis System (SeaDAS). Simulation of radiances requires information on the spectral band, orbital and sc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OSMI and KOMPSAT spacecraft. This paper also describes a method to create simulated radiances of the OSMI over the oceans. Our method for constructing a simulated OSMI imagery is to propagate a KOMPSAT orbit over a field of Coastal Zone Color Scanner (CZCS) pigment concentrations and to use the values and atmospheric components for calculation of total radiances. A modified Brouwer-Lyddane model with drag was used for the realistic orbit prediction, the CZCS pigment concentrations were used to compute water-leaving radiances, and a variety of radiative transfer models were used to calculate atmospheric contributions to total radiances detected by OSMI. Imagery of the simulated OSMI radiances for 412, 443, 490, 555, 765, 865nm was obtained. As expected, water-leaving radiances were only a small fraction (below 10%) of total radiances and sun glint contaminations were observed near the solar declination. Therefore, atmospheric correction is critical in the calcula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from total radiances. Because the imagery near the sun's glitter pattern is virtually useless and must be discarded, more advanced data collection planning will be required to succeed in the mission of OSMI which is consistent monitoring of global oceans during three year mission lifetime.

A Change in the Temperature and Infrared Radiation as a Variation of Irradiance (복사조도의 번동에 따른 온도 및 적외선복사량의 변화)

  • Han, Jong-Sung;Kim, Gi-Hoon;Kim, 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2
    • /
    • pp.28-34
    • /
    • 2005
  • Thermal reactions by infrared radiation brings about physical damage by temperature rise process or temperature drop process of the material. In this study, a measuring system was set up to measure the temperature rise of each sample by infrared radiation from light source. And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amples and amount of infrared radiation by various light source were measured with varying irradia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 from the test, we analyzed a functional relation between infrared and infrared radiation.

다목적실용위성2호 Panchromatic sensor의 절대복사보정 초기실험

  • Lee, Seon-Gu;Gwon, Eun-Han;Kim,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11-314
    • /
    • 2007
  • 다목적실용위성2호 영상자료의 절대복사 보정계수 산출을 위하여 위성 통과시각에 맞추어 2007년 2월 3일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측정기기로는 Spectroradiometer GER-3700을 사용하였으며, 관측 Target은 아스팔트, 흙, 콘크리트, 잔디, Tarp 53%로 각 Target의 복사량을 측정한 후 지표면 반사도로 변환하였다. 현장에서 관측된 지표면 반사도를 복사전달모델 MODTRAN의 압력 자료로 사용하여 대기권 밖에서 관측될 복사량을 모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의된 각 Target의 복사량과 실제 위성 센서가 관측한 DN(Digital Number) 값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절대복사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센서의 반옹도가 반영되지 않은 임시 결과이며, 추후 보다 많은 현장실험 결과를 추가하여 정확한 절대복사 보정계수를 산출할 계획이다.

  • PDF

Effect of Direct Solar Radiation with Sloped Topography in a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중규모 기상모형에서 지표면 경사를 고려한 직달 복사량의 효과)

  • Shin, Sun-Hee;Lee, Young-Sun;Ha, Kyung-J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45-59
    • /
    • 2006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surfac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meteorological fields are examined in a mesoscale meteorlolgical model. We calculated the direct solar radiation using the illumination angle considering the inclination of topography and tried to find out its effect on meteorological fields. In above experiments, we selected two cases for the clear day and the cloudy day to show the effect of weather and represented the results for two cases. In the correction of the direct solar radiation, the results of two cases indicate that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on the steep Taeback and Soback mountains. And on the time-series analysis the east-facing slope of these mountains receives the more direct solar radiation about $10-60W/m^2$ in the morning hours but lesser in the afternoon hours than the horizontal surface while it is opposite on the west-facing slope. And the results mentioned above are more obvious at clear day. With the same analysis method, at clear day, the surface skin temperature is higher at all hours than that on horizontal surface on the both of slope. At cloudy and rainy day, the surface skin temperature on the east-facing slope is higher in the morning hours but lower in the afternoon hours than that on horizontal surface. But on the west-facing slope, it is higher at all hours than that on horizontal surface. In the two cases, the temperature considering the slope of surface is almost higher than that on the horizontal surface. The wind is stronger than that on the horizontal surface with increasing pressure gradient force according as increasing temperature gradient around the Taeback and the Soback mountains.

  • PDF

단일 밴드 중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표면온도 추정 방법 연구

  • Park, Uk;Lee, Yun-Gyeong;Won, Jung-Seon;Lee, Seung-Geun;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25-130
    • /
    • 2008
  • Mid-Infrared (MIR) 영상은 화산 활동 및 산불로 인한 재난관측, 지표물질 관측, 해수 온도 측정과 같은 분야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IR영역은 지표의 복사율과 대기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가 매우 심하고, 낮 영상의 경우 태양 복사량에 의한 영향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일밴드인 MIR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영상이 취득된 시간과 장소에서 관측된 태양 복사량 및 여러 가지 대기 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MIR 영상 연구가 다중밴드를 기반으로 한 것과 달리 단일 밴드의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MODIS MIR 영상을 대상으로 MODTRAN을 사용하여 MIR 영역의 대기보정 기법을 적용 한 뒤 복사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의 복사량을 측정하였다. 획득된 지표온도 영상의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온도 알고리즘인 split-window algorithm에 의해 얻어진 해수온도 영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오차 원인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 영상의 경우 -4.19${\pm}$1.19$^{\circ}C$ 정도의 온도 차가 났으며, 밤 영상의 경우 0.5$^{\pm}C$0.39$^{\circ}C$ 정도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낮 영상의 경우 지표의 복사율에 대한 온도의 민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높은 오차가 발생하지만, 밤 영상의 경우 태양빛에 의한 영향이 없으므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밴드 MIR영상을 이용한 지표온도 추정 시 대기에 의한 영향보다 지표 복사율에 의한 영향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 PDF

Derivation of Radiometric Calibration Coefficients for KOMPSAT-3A Mid-wave Infrared Data Using a Radiative Transfer Model: An Exploratory Example (복사전달모델을 이용한 KOMPSAT-3A 중적외선 데이터의 복사보정계수 산출: 탐구적 사례)

  • Kim, Yongse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2
    • /
    • pp.1629-1634
    • /
    • 2020
  • It is essential to convert the Digital Number (DN) measured from Earth observing satellites into the physical parameter of radiance when deriving the geophysical parameter such as surface temperature in the satellite data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date the DN·Radiance equation established from lab measurements, using the KOMPSAT-3A mid-wave infrared data and the MODTRAN radiative transfer mode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mproved DN·Radiance equation allows us to produce the realistic values of radiance. We expect in the forthcoming study that the radiances calculated as such should be more quantitatively validated with the use of relevant in-situ measurements and a radiative transfer model.

Estimation of Net Longwave Radiation in South Korea using Stefan Boltzmann Equation (대기복사식을 이용한 남한지역 순 장파복사량의 추정)

  • Kim, Hyun Woo;Hwang, Kyotaek;Choi, Minha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9-219
    • /
    • 2011
  • 순 장파복사량은 지표면으로 입사되는 하강 장파복사량(Downward Longwave Radiation, $R_{ld}$)과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상승 장파복사량(Upward Longwave Radiation, $R_{lu}$)의 차이로 정의되는데 이는 에너지 수지 및 농업기상 연구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서 다루어져 온 순복사량의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R_{lu}$의 경우 지표면 온도와 방사율(emissivity)를 이용하여 산출되므로 정확히 추정이 가능하나, $R_{ld}$의 경우 대기 최상층에서 관측되는 방사량과 지표면 근처의 방사량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실측이 어렵다. $R_{ld}$는 야간 복사계(pyrgeometer)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관측기기 자체가 구비되어있는 관측소가 적어 매우 드물게 이용된다. 또한 단파 복사 에너지 측정 기기에 비해 비용이 많이들고 종종 관측값이 큰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상 관측소에서 얻어지는 증기압과 온도 관측치를 물리식, 경험식 등에 적용하여 산정하게 된다. 현재는 $R_{ld}$의 추정은 관측된 방사량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험식을 기반으로 지표면 근처의 대기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 산정 알고리즘 개발의 시발점으로써 $R_{ld}$를 먼저 구하고 $R_{lu}$를 구하였다. 신뢰성 높은 방법을 이용하여 $R_{ld}$를 구하게 되면 정확도 높은 $R_N$을 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보다 정확한 증발산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R_{ld}$는 일반적으로 clear sky 조건 하에서의 복사 에너지 플럭스($R_{ldc}$)를 구한 후 구름의 양에 따라 보정한다. 하강 장파복사량의 경우 널리 사용되는 공식 중 하나인 Brutsaert의 공식을 사용하였다. 광릉, 해남에 위치한 플럭스 타워지점에서 실측된 기온과 실제 수증기압을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지점별 $R_{ldc}$를 먼저 구하고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뒤 최종적으로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순 장파복사량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MODIS 07 대기 프로파일 산출물(Atmospheric Profile Product)중 기온 및 이슬점온도를 추출하여 산정식의 입력자료로서 사용하였다. 상승 장파복사량의 경우 MODIS 11 지표면 온도 산출물(Land Surface Temperature product)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는 남한 지역의 증발산량 추정 및 에너지 수지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본 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TCP/IP Using Minimal Resources in IoT Systems

  • Lee, Seung-Chul;Shin, Dongh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0
    • /
    • pp.125-133
    • /
    • 2020
  • In this paper, we design 4-layer TCP/IP that utilizes minimal memory and processor resources in Internet of Things(IoT) systems. The TCP/IP designed in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memory resource is minimized by using minimal memory allocation. Second, processor resource is minimized by using minimal memory copy. Third, the execution time of the TCP/IP can be completed in a deterministic time. Fourth, there is no memory leak problem. The standard in minimal resources for memory and processor deriv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the network subsystems of the already implemented IoT systems are efficiently implemented.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memory allocation and copy of the network subsystem of Zephyr, an open source IoT kernel recently released by the Linux Foundation, we found that it was bigger than the standard in minimal resources derived in this paper. The network subsystem of Zephyr was improved according to the design proposed in this paper, confirming that the amount of memory allocation and copy were decreased by about 39% and 67%, respectively, and the execution time was also reduced by about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