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전생태학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18초

환경복원에서 복원생태학, 경관생태학, 보전생물학의 역할 (The Roles of Restoration Ecology, Landscap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to Restore the Environment)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7-23
    • /
    • 2003
  • Restoration ecology is undergoing rapid growth as academic field over the last 15 years. The specification of goals for restoration projects is frequently described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a project. The endeavor for universal development of goa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continues to generate many discussion and controversy. I discuss the importance of restoration goals and diverse roots of restoration ecology, and show how the complex lineages within restoration ecology. I review the three major theme that currently are used to develop the restoration goals : restoration of species, restoration of whole ecosystem or landscapes, and the restoration of ecosystem services. Restoration ecology, landscap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share goals to conserve biodiversity, but differ in focus of approach. I review the differences among three fields. Conservation biology has been more zoological, more descriptive, and theoretical, and more emphasized the population and genetic research. However, restoration ecology has been more plant ecological, more experimental, and emphasized the community and plant succession. Landscape ecology has emphasized the interaction of ecosystem and dispersal among populations. I suggest the integration of restoration ecology, landscape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For example, conservation biolog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habitats by population study, restoration ecology will contribute to regenerate damaged ecosystem and ex situ preservation, and landscape ecology will contribute to restoration of population and landscape.

우리나라에서 보전우선순위를 위한 입지 및 식물종 선정의 평가기준 : 개관 (Evaluation Criterias of Site and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in Korea : An Overview)

  • Yong-Shik Kim;Michael Maunder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6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적용가능한 식물의 서식처 및 종의 선정에 대한 보전평가기준 특히 식물적 가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6년 사이에 발표된 야생동물의 보전가치의 평가에 관련된 논문에 발표된 기준을 재정리하였다. 희귀성, 다양성, 크기 및 정도 및 자연성 등은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준이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하여 서식처의 크기를 고려하여 16개의 요인을 정리하였다. 인간의 간섭, 생태적 분쇄성 및 희귀성 등은 서식처의 규모가 비교적 좁은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인 반면, 지역, 생태적 및 지리적 단위내에서의 다양성 위치 및 자연성 등은 입지의 규모가 큰 지역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유일성, 전형성, 연구 및 교육적 가치 등은 규모의 크기 여하를 불문하고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본 기준이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적용되어 앞으로 적용가능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장차 우리나라에서 마련되어야 할 보호지역 및 특정식물의 평가기준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보호구역으로서의 연안습지의 현황 평가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순천만 지역의 주민의식을 기초로 - (A Study of Methods for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resent State of the Coastal Wetlands as Protected Area - Focused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

  • 조계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0-138
    • /
    • 2010
  •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과 순천만 거주자의 인식조사에 기초하여 연안습지의 현황을 평가하고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기본틀 수립 및 향후 관리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민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98매(태안해안국립공원: 38매, 순천만: 60매)의 설문지가 유효 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주민의 만족도 조사에서 자연환경은 순천만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이 유사하게 나타나 두 지역간 만족도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환경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전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순천만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두 지역 주민들은 사회 경제환경에는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습지에 대한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 두 지역 모두 중요하다고 답한 사람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습지의 개발과 보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결과로는 두 지역 모두 보전과 완전보전을 원하는 사람이 현재 습지나 자연환경의 보전이 잘되고 있는 것처럼 보전을 더욱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연안습지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이상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때, 주변 환경이 양호한 순천만과 같은 경우에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개발을 유도하여야 하며, 태안해안국립공원과 같이 양호한 자연환경과 개발 잠재력이 있는 공존지역은 습지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자연과 어우러지는 개발 즉,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관광지로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경기도 민통선이북지역 주민과 공무원의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Analyses of perceptions and attitude about nature conservation of residents and compet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CZ of Gyeonggi-Do)

  • 이세라;맹희주;박은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9-249
    • /
    • 2009
  • 민통선이북지역은 주민들의 열악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개발이냐 자연환경보전이냐의 상반되는 의견으로 끊임없는 논란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민통선이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공무원들의 민통선 일원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연환경보전 및 개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파주시와 연천군 민통선지역 주민 265명과 시 군공무원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과 공무원들은 민통선 일원의 우수한 자연경관과 자연환경 및 다양한 생물종 보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이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환경은 많이 훼손되어 잘 보전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연천지역 주민은 더 그렇다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 주민들이 자연환경보전을 우선시하거나 최소한 보전과 조화를 이룬 개발을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지역 공무원들 또한 지역의 발전을 위한 희생적인 태도가 강한 것으로 파악되어 민통선지역에 대한 지속가능발전의 인식 토대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역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주민과 공무원간의 의견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파주지역의 경우 주민들이 지역개발을 더 원하는 데 비하여 공무원들은 환경훼손에 대한 우려와 자연환경보전 의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 갈등이 예상되었다. 향후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학술조사와함페 주민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하고 조화롭게 진행되도록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에 대한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소리환경 보전의 의의와 방향 - 일본의 소리풍경 100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n the Preservation of Sound Environment in Korea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100 Soundscapes of Japan -)

  • 한명호;오양기
    • KIEAE Journal
    • /
    • 제8권3호
    • /
    • pp.43-50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sound environment preservation in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soundscap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it was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 contents of "100 The beautiful sounds of Korea - 1999" and "100 Soundscapes of Japan - 1996" in view of the intents of selection,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esults. The result show that there are th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 intent and the process of selection, types and extent of sound samples, interactions among human-sound environment-region, the identities of the regions as well as the recognized sound environment. Also, the result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eserve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sound environment of the region. In order to practice this ideology of soundscape in Korea, there is a necessity for converting people's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ng voluntary residents' movement.

식물종 및 식물군락의 중요도 평가의 기준-식물종 및 식생의 보전등급 설정에의 응용- (Criteria of Importance-Evaluation Method of Plant Species and Plant Community -Application to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on Class of Plant Species and Plant Community-)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3-395
    • /
    • 2004
  • 지역의 자연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물종 및 식물군락에 의한 평가수법을 검토하였다. 대양(1979), 중서(1980), 오전과 중촌(1989), Haber et al. (1991)의 시스템을 기초로 식물을 종속, 군락레벨로 나누어 평가항목의 시안을 제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종속레벨에 대해 총 9항목, 군락레벨에 에 대해 총 15항목이었다. 이들 항목은 종속레벨에 대해 세가지 다른 카테고리로 군락레벨에 대해 네가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이들 평가방법은 지역의 환경평가에 즈음하여 공간계획을 증진하고 행정적 문제를 완화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고 시사되었다 또 식물종이나 식생의 보전등급 설정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남덕유산 -소사고개 구간- (A Study on Vegetation Index for Zoning of Natural Ecosystem on Baekdudaegan -From Namdeogyusan to Sosagogae-)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8-166
    • /
    • 2004
  •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지역구분을 위하여 백두대간(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조사한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식생의 보전가치를 식생지수라는 것으로 수치화 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식생지수는 생물다양성, 임분의 보전가치, 환경의 청정성, 임분의 역사성, 입지의 생산성 등을 바탕으로 수치화 하였다. 식생지수는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식생지수 I의 경우 총 66개의 조사지 중에서 8개 지역 12.1%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21개 지역 31.8%, 37개 지역 56.1%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지수II의 경우 28개 지역 41.9%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19개 지역 28.8%, 19개 지역 28.8%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 유주한;조흥원;정성관;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0-22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선나무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생육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전 및 복원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것이다. 토양의 종류는 사양토, 식양토, 미사질양토이고 화학적 특성간 상관성은 전질소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게 나타났다. 생육특성의 경우 수고와 줄기직경은 I지역에서, 수관폭은 II지역에서, 엽수는 V지역에서, 종자수는 IV지역에서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였다.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성에서는 수폭과 줄기직경이 높게 나타났다. 생장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전기전도도와 수고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수고와 전기전도도의 설명력은 약 70.4%. 엽수와 전질소량은 약 70.2%였다. 미선나무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광도, 온도, 유전형질 등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된 정밀 환경분석이 요구되어진다.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 방안 (Assessment and Enhancement of Ecosystem Service on Hasidong Anin Coastal Sand Dune of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이은혜;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방안 마련을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신속평가 도구를 이용한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바탕으로 환경지속성지수 분석하였고, SWOT 분석을 통하여 생태계서비스 증진방안을 마련하였다.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환경지속성지수는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 모두 50% 미만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서비스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강점을 기회로 활용(SO전략), 강점을 이용한 위협요인 최소화(ST전략), 강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회를 활용(WO전략), 약점을 보완하고 위협을 최소화(WT전략)하는 생태계서비스 증진방안 6가지를 도출하였다. 향후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에서 생태계서비스 증진사업을 추진할 때 현재 훼손된 지역의 복원과 향후 침식 등으로 인한 피해 방지 등 제시한 문제를 극복하고 이를 통하여 생태계서비스를 증진시켜 하시동·안인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Park Management and Use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7-374
    • /
    • 200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을 찾은 이용객의 이용 행태의 분석 및 중요도-성취도 분석방법을 통해 관리와 이용관련 속성들에 대한 중요 정도와 실제만족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현지에서 실시되었다 총 254명이 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방문특성은 다른 국립공원 이용객조사에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와 더불어 이용보다는 보전이 우선하는 국립공원 관리정책에 더 큰 관심을 나타냈다 각 관리 및 이용관련 속성에 대한 중요 정도와 만족도 결과는 수질의 상태 자연식생의 보존상태 공원 내 쓰레기 문제,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특히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휴양.관광 프로그램의 다양성 여부와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