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Criterias of Site and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in Korea : An Overview

우리나라에서 보전우선순위를 위한 입지 및 식물종 선정의 평가기준 : 개관

  • Yong-Shik Kim (College of Agriculture & Animal Science, Yeongnam Univ.) ;
  • Michael Maunder (Conservation Unit, Living Collections Department, Royal Botanic Gardens, Kew, Richmond)
  • Published : 1994.08.01

Abstract

The criteria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assessment of wildlife conservation values and particularly botanical values during the last decade, 1969~1986, were reviewed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set of criteria applicable for Korea. Fifteen studies, including studies of particular sites reviews of ecological evaluation are reviewed. Four criteria, rarity, diversity, size & extent and naturalness were used in more than half of these studies reviewed. The sixteen components were arranged with the scale of the sites, in view of the Korean situation. The human Interference, ecological fragility. as well as rarity, etc. were major components to be considered at small scale sites. In the contrary, area, diversity position in ecological and geographical unit, and naturalness, etc. considered the major components at larger scale sites. The components such as uniqueness, typicalness, research and educational, etc. were considered both applicable. Although this criteria should be tested by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amended there after, It will be one of the first-step to evaluate of the protected areas, as well as specific plant species in the future.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적용가능한 식물의 서식처 및 종의 선정에 대한 보전평가기준 특히 식물적 가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6년 사이에 발표된 야생동물의 보전가치의 평가에 관련된 논문에 발표된 기준을 재정리하였다. 희귀성, 다양성, 크기 및 정도 및 자연성 등은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준이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하여 서식처의 크기를 고려하여 16개의 요인을 정리하였다. 인간의 간섭, 생태적 분쇄성 및 희귀성 등은 서식처의 규모가 비교적 좁은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인 반면, 지역, 생태적 및 지리적 단위내에서의 다양성 위치 및 자연성 등은 입지의 규모가 큰 지역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유일성, 전형성, 연구 및 교육적 가치 등은 규모의 크기 여하를 불문하고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본 기준이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적용되어 앞으로 적용가능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장차 우리나라에서 마련되어야 할 보호지역 및 특정식물의 평가기준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