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

검색결과 2,085건 처리시간 0.033초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 다면성 (Multifaceted Aspect of Inclusive Care Experienced by Residential Child Care Staffs)

  • 윤성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05-317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경험한 통합보육을 통해 통합보육의 다면성과 성공적 통합보육 수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아동양육시설에서 통합보육을 경험한 10명의 보육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에 따라 전사 자료를 분석했다. 보육사들은 통합보육 수행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적응과정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에게 충분한 돌봄을 제공할 수 없어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들은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때에 받을 수 있도록 행정기관과의 즉각적 소통의 창구 마련, 장애아동 케어와 관련한 보육사 교육지원 및 특수교사 파견 등을 원하고 있으며, 3교대 정책에 대해서는 모두 반대의견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양육시설에서의 통합보육 다면성에 따른 지원방안으로서 보육사의 처우와 급여 문제, 시설보호아동들의 교육 기회와 양육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을 환기 하는데 있어 향후 연구 방향을 추가로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직장 및 민간보육시설설치자금 융자계획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81호
    • /
    • pp.143-166
    • /
    • 1997
  • 보건복지부에서는 보육대상아동에 비하여 부족한 직장 및 민간보육시설을 조속히 확충하여 아동의 건전한 보육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94년부터 직장 및 민간보육시설 설치자금 융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바, ''97년도 직장 및 민간 보육시설 설치자금 융자계획''이 다음과 같이 실시되오니 회원사에서도 이를 적극 검토$\cdot$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PDF

취업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영아의 보육이 어머니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 of Maternal Beliefs about Employ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to Maternal Well-Being)

  • 장영은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1-116
    • /
    • 2006
  • 본 연구는 모성취업에 대한 태도에 따른 영아보육의 특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취업 중이거나 학교를 다니는 809명의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자녀가 생후 1개월, 6개월, 그리고 15개월일 때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성취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어머니들은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더 나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으며, 개별 보육보다 시설 보육을, 그리고 더 많은 시간의 보육을 이용하였다. 이들 어머니들은 자녀들이 친인척에 의해 보육되는 경우(relative care)보다 보육시설(child care center)을 이용할 때 더 낮은 수준의 역할 긴장과 높은 수준의 취업결정 만족감을 나타냈다. 보다 부정적 태도를 가진 어머니들은 가정보육(child care home) 이용시 역할긴장 수준이 낮았다. 영아들이 생후 6개월 무렵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보육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취업 결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나 15개월에는 부정적 태도의 어머니에게만 이 관계가 유의했다.

  • PDF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과 정부실패: 보육정책에서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

  • 현진권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104
    • /
    • 2008
  • 사회복지 분야는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 대표적인 정책영역이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시장기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정부개입은 정부실패라는 왜곡을 발생시킨다. 사회복지 서비스는 공공재라기 보다는 가치재로서, 사유재 성격을 가지므로 정부와 시장역할에 대한 균형된 시각이 필요하다. 시장실패와 함께 정부실패라는 경제적 왜곡현상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정부와 시장의 최적역할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육정책의 방향은 공공성이 높으므로, 정부가 주도가 되어 모든 국민들에게 똑같은 보육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다. 획일적인 보육서비스 질을 정부재원의 확대로서 높이려는 정책방향은 필연적으로 정부실패라는 왜곡을 발생시킨다. 현재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민간부문의 보육서비스 질이 낮은 근본원인은 시장규제에 있다. 즉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을 금지하고, 가격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육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시장의 정부규제를 철폐해야 한다. 보육시장에 대한 규제 철폐없이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보육재정의 확대는 재정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보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은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을 통해서이다. 보육서비스의 외부 불경제 효과가 높은 만큼, 시장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일정소득 이하 계층에 대한 보육서비스는 정부에서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일정소득 수준이상의 계층에게는 다양한 수요가 시장기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장실패의 논리와 함께 정부실패라는 왜곡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부와 시장기능에 대한 최적의 역할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Job Turnover and Occupational Turnover of Child Care Teachers by Child Care Efficacy and Burnout)

  • 양연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5-221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이직의도보다는 전직의도를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이직의도와 전직의도는 보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소진될수록 높았다. 셋째, 다른 보육시설로의 이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에 의해 소진될수록 높아졌다.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로 소진될수록 높아졌으나,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이 높을 때 보육효능감이 높으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이직 및 전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활동에서 경험하는 소진을 줄이고, 보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괄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 최미나;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3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 3-5세 유아 248명(남아: 112명, 여아: 136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보육경험(보육 시작 시기, 1일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경험 중 보육기관 변경횟수가 잦을수록 유아는 공격성을 더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경험이 모든 유아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보육경험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The principals' difficulties in opening procedur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 차미영;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7
    • /
    • 2010
  • 본 연구는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 대한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의 요구와 이해를 기초로 보다 체계적인 직장보육시설 개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개원한지 2년 미만인 직장보육시설의 시설장 5명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사업장 담당자들의 보육시설의 특성 및 개원 절차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위탁체 운영방향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직원인 학부모의 집단적 요구 조절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행정기관별로 다원화되어 있는 복잡한 행정체계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직장보육시설장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사업장의 특성에 따른 보육시설 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기대 창업보육센터 보육닥터제 (Incubating Consultant in Business Incubator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90-192
    • /
    • 200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 창업보육센터에서는 교수 현장연구학기제, 중소기업기술애로 등의 경험을 토대로 입주업체의 보육닥터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보육닥터제도란 우리대학 가용 인력(교수. 대학원생)을 활용하여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업체에 대한 기술지도 및 경영지도를 실시하는 것을 말하며. 우수 벤처기업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대학이 갖춘 양질의 고급기술인력을 활용한다면 향후 그 효과 및 성과는 기대가 되며, 이에 보육닥터제의 운영방안과 방법들에 대하여 고찰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