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principals' difficulties in opening procedur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Cha, Mi Young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Son, Won Kyoung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6, no.2, 2010 , pp. 17-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incipals' difficulties in opening procedure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principal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study with several in-depth interviews in group and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rincipals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 have hard time 1)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erson in charge about the distinctive nature of childcare center 2) in the relationship with consignee 3) due to collective demands of parents 4) because of the complex administration system 5) because of operation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igner.
Keywords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rincipal; preoaratory prodecure for opening; difficul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선애, 한유진(2005). 맞벌이 부모의 직장보육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태도와 복지 향상 기대.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51-363.   과학기술학회마을
2 김수연, 나종혜(2008). 보육시설장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45-56.   과학기술학회마을
3 김순림(2006). 직장보육시설 설치 관련 정책방향. 노동리뷰, 83-87.
4 김지현(2005). 직장보육 관련법의 변화과정 및 직장보육서비스의 개선방안. 한국생활과학지, 14(2), 251-268.   과학기술학회마을
5 김진이(2000). 보육욕구조사에 의한 아동보육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사회복지학, 42, 139-168.
6 김현주(2004). 직장보육시설 이용만족도가 취업모의 직무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경자(1997). 직장보육시설의 부모 만족도 향상 방안.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보건복지부(2005). 영유아보육법.
9 보건복지부(2010). 보육사업안내.
10 서문희, 이연희, 임유경(2003). 보육료 지원제도 개선방안.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손지미(1998).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송경섭(2008).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실태 및 업무관련 문제 분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13(2), 107-127.
14 양영아, 서영숙(2005). 보육시설장이 바라보는 보육시설 운영과정에서의 보육 본질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57-78.
15 유현정(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희정(1997).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7 임선희, 정선영, 최 원(2003), 직장보육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C대학의 경우. 교육 발전논집, 24(1), 29-64.
18 이금순(2006). 직장보육시설의 활성화 방안.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기숙, 박은해, 김희진(2003). 직장보육시설 활성화 방안. 이화교육총서 교육과학연구소, 2003-06.
20 이창수(2007).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위한 보육정택의 발전방향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정덕희(2008). 민간보육시설장의 일과 갈등.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93-119.
22 직장보육시설지원센터(2010). 직장보육의 이해. http://www.escac.or.kr에서 2010년 6월 2일 인출.
23 홍은경, 백영숙, 김성숙(2007).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4), 55-76.
24 황순옥(2007). 한국직장보육시설과 외국직장보육시설의 지원체계에 대한 비교분석.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황정숙(2000). 유치원 설립과 개원 준비 과정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2), 97-123.
26 저출산 대책, 복지예산부터 늘려라. (2010. 1. 15). 경향신문.
27 Bogdan, R. C., & Biklen, S. K. (1991).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 연구. (신옥순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1982 출판)
28 Friendman D. E., & Galinsky E. (1992). Work and family issues : a legitimate business concern. In S. Zedeck(Ed.). Work families, and organization(pp. 168-207).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9 Honing, A. S. & Caldwell, B. M. (1981). What are the Issue In Quality Infant to Older Car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17970.
30 Merriam, S. B. (1991).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88 출판)
31 NICHD Early Child Reaseach Network. (2000).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r child care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sciencs, 4, 116-135.   DOI   ScienceOn
32 Schandl, Kathleen M.(1992). The Significance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Benefits Quarterly, Third Quarter, 8, 81-85.
33 S. L. Burud, P. R. Aschbacher & J. McCroskey(1984).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Investing in Human Resources. Dover, Massachusette: Auburn House Publishing Company.